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세종도서
증정불가
종이책 절판
ebook

재난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회복지실천

[2019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재난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파괴할 수 있는 가장 치명적인 사건 중 하나이다. 재난은 자연현상에서 연유하든 사회현상에서 연유하든 결국 사회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재난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거나 재난이 일어난 후에도 재난의 피해를 가능하면 경감하기 위해 진행되는 장단기적 복구 과정에는 많은 사회적 자원의 투입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잘 살고 부유한 선진국가에서는 재난 관련 정책들이 잘 추진되고 있는 반면에, 가난하고 자원이 부족하면서도 재난에 많이 노출되고 있는 후진국에서는 재난정책의 추진이 더 많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재난 관련 정책들을 추진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재난은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사회적 취약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가혹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런 연유로 어떤 지역에서는 재난이 발생한 후 다음 해 혹은 다음 번 재난이 일어날 때까지도 복구가 안 되어 있기도 하고, 어떤 지역에서는 신속하면서도 재난이 일어나기 이전보다 더 훌륭한 생활조건들(사회인프라 구축)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지난번에 공동으로 저술하였던 책이 재난사회복지론이란 타이틀로 출간되었다. 그 책은 지금의 책보다는 훨씬 더 재난사회복지론의 일반적 내용을 다루면서 주로 재난주기별로 작동해야 하는 재난사회복지의 기능에 초점을 두었다. 그에 반해 본 서는 경제사회적 불평등과 직간접적 연관을 가진 재난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실천이 거시적이고 미시적으로 어떻게 행해져야 하며, 현재 실천되고 있는 내용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다루고 있다. 물론 이 책의 모든 장이 재난불평등 완화와 연결하여 저술하지는 못하였지만, 가능하면 재난불평등의 현재적 의미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해소방안으로의 사회복지실천을 구상하며 제안하고 시범으로 보여주고자 전체 13장으로 구성했다. 제1장부터 제3장까지는 이론적 고찰에 해당하고, 제4장부터 제8장까지는 재난관리의 전체 체계 속에서 자리하면서 중요하게 기능해야 할 의료관리체계, 교육체계, 사회서비스 체계, 매스미디어 체계, 정신건강체계를 다루었다. 또한 제9장에서 제12장까지는 사회적 취약성을 지닌 그룹으로서 재난불평등의 당사자에 해당되는 여성, 아동, 노숙인, 노인에 대한 재난사회복지실천을 다루고 있으며, 마지막 제13장에서는 재난이 발생했을 때 국제 및 국내의 구호기관 활동을 지진재난에 초점을 두고 기술하고 있다. 본 서의 공동저자들과 주요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재난불평등」(김진현 교수)은 이 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도우며 재난불평등과 사회복지 접근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재난불평등의 개념, 관련이론, 유발요인, 재난불평등 사례, 측정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제2장 「재난불평등과 사회복지정책적 접근」(남재현 교수)에서는 자연재해가 개인, 가족, 지역, 국가에 끼치는 경제적 손실을 설명하고, 자연재난에 대해 이루어져야 할 사회경제학적 접근, 재난에서의 국가 간·국내 간 부의 불평등을 고찰하고 있다.
  제3장 「재난 윤리의 이론과 실제」(황보람 교수)에서는 실재 재난이 발생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윤리적 이슈와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그 기반이 되는 기본 윤리 이론, 윤리적 의사결정, 재난 구호 및 관리에서의 가치와 원칙, 재난의 윤리적 쟁점을 밝히고 있다.
  제4장부터 제8장까지는 재난 관련 주체들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려고 노력하였다. 먼저 제4장 「재난과 의료체계」(이원익 교수)에서는 재난의료체계의 개념과 실제를 다루면서 그 안에서 재난의료지원팀과 중등도 분류(triage)를 설명하고 있다.
  제5장 「재난과 교육체계」(유영미 교수와 김보름 선생)에서는 교육체계가 재난에 대해 어떻게 대비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관, 실제를 보여주고 구체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져야 할 재난안전교육을 제시한다.
  제6장 「재난과 사회서비스 체계」(이기영 교수와 최윤정 선생)에서는 국내외 재난관리체계를 살펴보고,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재난복지실천을 설명하고, 재난대응을 위해 사회서비스 체계를 어떻게 구성하고 활용해야 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제7장 「재난 위험인식 및 정보체계」(김현성 선생과 오설미 선생)에서는 재난 위험인식 및 정보체계를 개관하고, 위험인식과 커뮤니케이션의 실제를 설명하고 있다.
  제8장 「재난과 정신건강체계」(최송식 교수와 권혜민 선생)에서는 재난과 정신건강체계를 개관하고, 한국 재난정신건강체계의 법적 체계를 설명하고, 재난과 정신건강체계의 실제를 설명하고 있다.
  제9장 「여성과 재난복지실천」(장지현 선생)에서는 여성과 재난불평등, 재난과 여성복지실천, 재난 시 여성복지 사례를 국내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제10장 「아동과 재난복지실천」(송영지 연구교수)에서는 아동과 재난불평등, 재난과 아동복지실천, 재난 시 아동복지 사례를 국내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제11장 「노숙인과 재난복지실천」(이성은 교수)에서는 노숙인과 재난불평등, 노숙인과 재난복지실천, 재난 시 노숙인복지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
  제12장 「노인과 재난복지실천」(김새봄 선생)에서는 노인과 재난불평등, 재난과 노인복지실천, 재난 시 노인복지 사례를 국내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끝으로 이 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에 해당되는 제13장 「NGO와 재난복지실천」(박병현 교수, 김강민 선생, 김민수 선생)에서는 재난 발생 시 NGO의 역할, 재난상황에서의 NGO 활동 사례를 국내외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시기를 정해놓고 책을 집필하고 발간하는 과정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재난복지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해 오면서 공동의 노력을 통해 공동저서를 발간하고자 계획을 세우고 점진적으로 진행해 왔다. 첫 번째 집필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더욱 완성도가 높아진 책을 발간하고자 하였으나 처음의 생각과는 달리 여전히 미진한 부분들이 많이 보인다. 독자들의 따뜻한 지적과 비판을 받아, 앞으로 더욱 개선된 책으로 수정해 나가겠다.
  이 책은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재난에 접근하는 데 있어 재난불평등의 해소란 견지에서 접근하기를 원하는 한국의 사회복지연구자와 정책입안자, 클라이언트에게 직접·간접적 실천을 담당하고 있는 재난현장실천가, 사회복지대학원 및 학부에서 재난에 대한 민감성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이 일독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오랫동안 기다려 주고 좋은 책으로 만들기 위해 애써준 많은 분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깊이 감사드린다. 특히 공동체 출판사 대표를 맡고 있는 김동훈 대표님과 편집진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또한 바쁜 시기에 이 책의 집필을 위해 수고해 준 학과 교수님들과 대학원 박사과정 선생들의 노고에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2019년 2월
저자 대표 최송식

 

Chapter 01 재난불평등 11

1. 재난불평등의 개념 11
2. 재난불평등 관련 이론들 14
3. 재난불평등의 유발요인들 17
4. 재난불평등 사례 21
5. 재난불평등의 측정 25


Chapter 02 재난불평등과 사회복지정책적 접근 33

1. 자연재해와 경제적 손실 34
2. 자연재해와 사회경제학적 접근 41
3. 재난과 국가 내·국가 간 부의 불평등 46
4. 맺음말 48


Chapter 03 재난 윤리의 이론과 실제 53

1. 기본 윤리 이론 53
2. 윤리적 의사결정 58
3. 재난 구호 및 관리에서의 가치와 원칙 60
4. 재난 윤리적 쟁점 81


Chapter 04 재난과 의료체계 91

1. 재난의료체계의 개념 92
2. 재난의료지원팀 97
3. 중증도 분류 101
4. 우리나라 재난의료체계 108


Chapter 05 재난과 교육체계 113

1. 재난교육체계의 개관 114
2. 재난교육체계의 실제 116
3. 학교에서의 재난안전교육 128


Chapter 06 재난과 사회서비스 체계 153

1. 국내외 재난관리체계 154
2. 지역사회와 재난복지실천 163
3. 사회서비스 체계를 활용하는 재난대응 171


Chapter 07 재난 위험인식 및 정보체계 187

1. 재난 위험인식과 정보체계의 개관 187
2. 위험인식과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208
3. 맺음말 223


Chapter 08 재난과 정신건강체계 229

1. 재난과 정신건강체계의 개관 229
2. 한국 재난정신건강의 법적 체계 230
3. 재난과 정신건강체계의 실제 236
4. 외국의 재난정신건강관리체계 251
5. 재난정신건강사업의 과제와 나아갈 방향 260


Chapter 09 여성과 재난복지실천 265

1. 여성과 재난불평등 265
2. 재난과 여성복지실천 270
3. 재난 시 여성복지 사례 273


Chapter 10 아동과 재난복지실천 279

1. 아동과 재난불평등 279
2. 아동과 재난복지실천 283
3. 국내외 사례 292


Chapter 11 노숙인과 재난복지실천 303

1. 노숙인의 개념 303
2. 노숙인과 재난불평등 308
3. 노숙인과 재난복지실천 316
4. 노숙인 재난복지 사례 321


Chapter 12 노인과 재난복지실천 329

1. 노인과 재난불평등 330
2. 재난과 노인복지실천 332
3. 재난 시 노인복지 사례 346


Chapter 13 NGO와 재난복지실천 355

1. 재난 발생 시 NGO의 역할 355
2. 재난상황에서의 NGO 활동사례 359


■ 찾아보기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