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제1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기초

제1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의의

    1. 프로그램의 개념
        1)프로그램의 정의
        2)프로그램의 기본적 구성요소
        3)유사개념과의 구별

    2. 우수 프로그램의 요건
        1)적합한 인력배치와 안정적 재원
        2)고유의 정체성과 철학
        3)이론적 근거와 실증적 개입
        4)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노력

    3. 프로그램의 유형
        1)프로그램의 성격 및 정책별 유형
        2)표적집단 또는 실천대상별 유형
        3)기능별 유형
        4)구성체계별 유형
        5)기타 프로그램의 분류

    4.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개념
        1)프로그램 개발의 개념과 의의
        2)프로그램평가의 의의와 유형

    [연구과제]

제2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모형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접근방법과 의사결정모형
        1)합리모형
        2)점증모형
        3)혼합관조 모형
        4)쓰레기통 모형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모형
        1)Kamerman의 모형
        2)Patti의 모형
        3)Tomas의 디자인 개발모형
        4)Rapp과 Poertner의 설계모형
        5)kettner, Moroney, Martin의 설계관리모형
        6)Kirst-Ashman과 Hull의 IMAGINE 모형
        7)종합평가

    3. PIE모형
        1)PIE모형의 개념적 틀
        2)PIE모형의 단계별 과업과 절차

    [연구과제]

 

제2부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획과 설계

제3장 프로그램 기획과 사회문제분석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1)기획의 개념과 필요성
        2)기획과 사전조사
        3)새로운 프로그램 창출의 원천
        4)프로그램 개발과 기획에서의 창의성

    2. 사회문제의 분석
        1)사회문제의 규정과 유형
        2)사회문제분석의 틀
        3)사회문제규모의 추정
        4)클라이언트 문제정의와 욕구파악

    3. 문제지도작성과 역장분석
        1)문제지도작성
        2)역장분석

    [연구과제]

제4장 욕구조사

    1. 욕구의 개념과 유형
        1)욕구의 개념
        2)욕구의 유형
        3)Bradshow 욕구유형의 적용

    2. 욕구조사의 필요성과 절차
        1)욕구조사의 필요성
        2)욕구조사의 절차

    3. 욕구조사의 방법
        1)직접적 욕구조사방법
        2)간접적 욕구조사방법
        3)욕구조사방법의 선택과 적용

    [연구과제]

제5장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달성

    1. 프로그램과 서비스 전달구조
        1)기관의 설립이념
        2)기관의 목적
        3)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2. 목표의 유형
        1)상위목표와 하위목표
        2)과정목표와 성과목표
        3)기관목표와 활동목표
        4)영향목표와 서비스 목표

    3. 목표설정의 방법
        1)목표설정의 기준
        2)목표진술의 방법

    [연구과제]

제6장 프로그램 설계와 개입전략

    1. 개입전략 모색과 내용구성
        1)프로그램 가설설정
        2)개입전략의 유형
        3)개입전략의 활동과 프로그램 내용구성
        4)로그램 내용의 선정 및 조직원리

    2. 프로그램 및 서비스 대상자 선정
        1)대상자 선정과 표적집단
        2)표적집단 선정방법
        3)표적효율성

    3. 프로그램 수행인력구성 및 예산수립
        1)프로그램 수행인력구성
        2)프로그램 예산수립

    4. 브레인스토밍과 의사결정계통분석
        1)브레인스토밍
        2)의사결정계통분석

    [연구과제]

 

제3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행

제7장 프로그램의 실행과 모니터링

    1. 프로그램의 실행
        1)프로그램 실행의 의미와 주요과업
        2)프로그램 실행계획수립

    2. 프로그램 마케팅과 기록 및 정보관리
        1)프로그램 마케팅
        2)기록관리 및 정보관리

    3. 프로그램 모니터링과 기법
        1)프로그램 모니터링
        2)프로그램 평가검토기법

    [연구과제]

제8장 서비스의 질 관리

    1. 서비스의 본질과 질 관리의 접근방법
        1)사회복지서비스의 본질과 질 관리
        2)서비스 질 관리의 이론적 접근방법

    2. 총체적 품질관리
        1)총체적 품질관리의 개념과 원리
        2)총체적 품질관리의 특성과 준거 틀
        3)TQM의 적용과 방법

    3. 서비스 만족도 조사
        1)서비스 만족도 조사의 중요성
        2)만족도 조사의 불패 신화
        3)바람직한 만족도 조사

    4. PDCA관리 사이클과 특성요인도 작성법
        1)PCDA 관리 사이클
        2)특성요인도 작성

    [연구과제]

 

제4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제9장 프로그램 평가이론과 방법

    1.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과 정치사회성
        1)프로그램 평가의 개념과 필요성
        2)프로그램 평가의 정치사회적 과정

    2. 프로그램 평가의 이론과 모형
        1)프로그램 평가의 이론적 모형
        2)프로그램 평가의 유형과 기준

    3. 프로그램 평가의 절차
        1)기획 및 설계단계
        2)자료수집 및 분석단계
        3)결과판단과 활용단계

    [연구과제]

제10장 효과성 평가

    1. 효과성 평가의 개념과 논리모형
        1)효과성의 개념과 평가지표
        2)논리모형
        3)성과측정의 방법

    2. 효과설 평가를 위한 조사설계의 유형
        1)전실험설계
        2)유사실험설계
        3)실험설계
        4)타당도 및 비교설계

    3. 효과성 평가의 방법
        1)목표달성 척도
        2)과업성취척도

    [연구과제]

 제11장 효율성 평가

    1. 효율성 평가에 대한 시각과 의미
        1)효율성 평가의 관점
        2)효율성 평가의 유형과 개념

    2. 비용효과 분석
        1)비용효과분석
        2)비용효과분석의 절차와 방법

    3. 비용편익 분석
        1)비용편익의 의미
        2)비용편익분석의 방법
        3)비용편익분석의 실례

    [연구과제]

제12장 질적평가

    1. 질적 평가의 개념과 효용성
        1)질적 평가의 의미
        2)질적 평가의 유용성과 한계

    2. 질적평가의 방법
        1)평가설계
        2)자료수집
        3)자료분석
        4)평가의 질 관리와 검증

    3. 질적평가의 사례

    [연구과제]

 제13장 단일사례조사평가

    1. 단일사례조사설계

    2. 단일사례조사설계의 기본원칙과 유형
        1)단일사례조사설계의 기본원칙
        2)단일사례조사설계의 유형

    3. 단일사례조사평가의 적용
        1)형성평가
        2)총괄평가
        3)질 관리 평가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부  록
    [부록1]노인복지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점집단 활용방법사례
    [부록2]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척도
    [부록3]2006년 공동모금회 배분신청서 양식

찿 아 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