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행복한 미래교육 

한국 숲유치원


  • 구매하기
  • 장바구니
 

  한국의 아이들에게 숲유치원 교육은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다시금 찾아 누리게 해주는 생명교육과 행복교육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사교육이 많은 나라, 너무 바빠서 놀 시간이 없는 나라, 바깥놀이 시간이 부족한 나라, 환경오염으로 숨쉬기조차 어렵고 건강한 먹거리를 찾아보기 힘든 우리나라 어린이들에게 숲유치원 교육은 자유로움과 행복을 선물해 주는 꼭 필요한 교육입니다.

  스웨덴의 friluftsliv(삶에 자유로운 공기를 지원한다) 정신의 영향으로 1950년대 덴마크에서 시작된 숲유치원은 2008년 한국에 소개된 지 10여 년간 그 어떤 나라에서보다 커다란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본디 우리나라 옛 아이들은 산과 들과 강에서 자연과 더불어 교감하고 자유롭게 놀이하며 자라왔습니다. 숲유치원의 원형은 이미 우리 안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우리는 이러한 자연과 놀이를 잃어버린 유아교육을 실행해 왔습니다. 어쩌면 우리 아이들에게 건강하고 행복한 유아기를 돌려주고 싶은 어른들의 깊은 마음속 미안함이 이토록 단시간 내에 전국적으로 숲유치원이 확산될 수 있는 힘이 되어준 것 같습니다. 현재 한국의 숲유치원은 전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주 1회 숲날형부터 매일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숫자도 무려 3,000여 개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2011년 산림청은 「산림교육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만들어 아이들이 뛰놀 수 있는 ‘유아숲체험장’을 조성하고 아이들을 지도할 수 있는 ‘유아숲 지도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적 지원은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듭니다.

  무엇보다 (사)한국숲유치원협회는 지난 2010년부터 한국형 숲유치원 모형을 연구하면서 국내 숲유치원 정착과 확산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본 협회는 지난 2015년 가을 부설기관인 한국숲교육연구소를 발족하여 『한국형 숲유치원 모형 정립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전국적으로 확산된 숲유치원이 잠시 유행하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 흘러가거나, 유럽의 숲유치원을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을 넘어 한국의 숲에서 한국적 정신을 가진 ‘한국의 숲유치원’으로 정착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 숲유치원 교육의 다양한 전문가 집단(교수, 원장, 교사)을 구성하였으며, 3년여의 기간을 통해 국내외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여 『행복한 미래 교육, 한국 숲유치원』을 내놓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본 서는 학자들의 이론뿐만 아니라 한국 숲유치원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현장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집필하였음을 밝힙니다. 숲유치원 교육은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 가는 발현적인 교육입니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 서가 무조건 따라야 하는‘교과서’의 개념이 아니라 숲교사들이 우리 반 숲유치원 교육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기준점’으로서의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합니다.

  『행복한 미래교육, 한국 숲유치원』은 많은 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열매입니다. 무엇보다 본 협회의 임재택 초대 회장님, 2대 김종호 회장님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한국숲교육연구소가 설립되었으며, 한국형 숲유치원 모형 연구 또한 가능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두 분 전임 회장님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또한 김정화 현 회장님의 따뜻한 격려와 적극적인 지원으로 본 서가 마무리될 수 있었음에 마음으로부터 큰 감사를 드립니다. 바쁜 시간 중에도 본 서를 꼼꼼하게 감수해 주신 곽노의 교수님과 임갑빈 교수님께도 깊은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특별히 한국숲교육연구소의 현장실행위원들 감사합니다! 현장실행위원들 모두 각 기관의 다양한 자료를 아낌없이 제공해 주셨을 뿐만 아니라, 밤을 새워 한국 숲유치원의 방향과 내용을 함께 고민해 주셨기에 그 열정과 노고에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 강신영, 권태원, 김성진, 김신영, 김지한, 민연옥, 박인기, 석규호, 성희미, 성춘애, 윤승훈, 이미화, 이숙희, 이옥금, 이진우, 이호철, 조은제, 전명자, 채영숙, 최중희, 최지영 위원님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또한 유진희, 심수진 연구 간사님들 수고하셨습니다.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매일 숲으로 향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 우리 숲교사들의 참여에도 감사합니다.

  모쪼록 부족한 본 서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한국 숲유치원 운영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더욱 많은 유아들이 숲과 자연에서 몸과 마음과 영혼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귀한 마중물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저자 일동

 


제1장 한국 숲유치원의 발달배경

1. 한국 숲유치원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2. 해외 숲학교 및 숲유치원의 동향
3. 국내 숲유치원의 발달과 특징
4. 한국적 맥락에 맞는 숲유치원 방향


제2장 한국 숲유치원의 기본 방향

1. 한국 숲유치원의 개념 및 정의
2. 한국 숲유치원의 정체성과 인간상
3. 한국 숲유치원의 기본 특성
4. 한국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
5. 한국 숲유치원의 운영형태
6. 한국 숲유치원의 운영모델 제안


제3장 한국 숲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

1. 한국 숲유치원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2. 한국 숲유치원의 교육이념
3. 한국 숲유치원 교육과정의 운영방향
4. 한국 숲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


제4장 한국 숲유치원 운영

1. 숲교육 준비하기
2. 숲에 가서
3. 숲에 다녀와서
4. 부모교육
5. 행사 및 특색교육


제5장 안전지침

1. 숲에서 지켜야 할 안전지침 및 응급처치법
2. 미세먼지


부록

1. 숲교육 참고 도서목록
2. 숲교육과 생태 관련 뉴스 및 다큐멘터리 목록
3. 전국 유아숲체험원 목록
4. 「한국 숲유치원 연구」 협조기관 소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