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영유아교수학습방법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오랫동안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과 생각을 나누고, 예비유아교사들과 좋은 교사로서의 고민을 나누면서 가장 많은 물음표를 던지게 되는 단어는 ‘가르친다’이다.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것이 무엇일까?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단순하지 않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가르친다는 것은 반드시 배움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하고, 그 다양성만큼 영유아교육현장에는 많은 놀잇감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그 과정에서 배움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진정한 가르침이라고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교수와 학습은 떨어질 수 없는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본 교재는 이러한 교수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계획된 교육과정보다는 놀이를 중심으로 한 발현적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유아교사의 교수학습 능력은 더욱 중요시된다. 교사의 선택이 곧 가르침과 배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영유아들이 자연스럽게 놀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니 교사의 교수학습 능력은 필요 없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아이들이 왜 혼자 오래 놀지 못하는지, 친구들끼리 놀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자유를 제공받았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왜 부모나 교사에게 놀아달라고 하는지에 대한 대답을 할 수 없다.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세상을 알고 싶고 보다 유능해지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스스로 모든 욕구를 채우기에는 아직 사회적인 규칙을 잘 모르고, 자신의 안전을 책임질 수 없으며, 학습하는 방법도 많이 경험해 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런 이유로 자신의 지적, 사회적,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적절하게 안내해 줄 수 있는 유능한 배움의 동반자를 원한다. 따라서 교사는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개별 아이들의 성장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를 갖춘 유능한 사람이어야 한다. 즉, 아이들을 가르치는 전문인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교재는 영유아에 대한 교육적, 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에 대한 기술을 익히고 아이들과의 생활 속에서 배움을 이끌 수 있는 전문적인 영유아교사로서의 역량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교재의 강점은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여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의 상황을 연상할 수 있고 실습 등을 통해 직접 실천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또한 발달의 수준에 따라 놀이행동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 영아와 유아를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연령별 교수학습방법의 적합성을 강화한 것이다. 본 교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부 ‘영유아교수학습방법의 이해’에서는 영유아교수학습의 기초로서 영유아교수학습방법을 정의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영유아를 가르치는 데 효과적이었던 교수학습의 원리를 유목화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수학습의 이론으로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를 설명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교수학습에 대한 개인적인 철학과 방향성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
  제2부 ‘영유아교수학습방법과 상호작용’에서는 일방적인 교사의 전달이 아니라 영유아와 교사가 함께 배움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서 영유아의 교수학습효과를 높이는 방법과 영유아의 발달을 돕는 다양한 상호작용 전략을 설명하였다. 또한 유아가 놀이와 일상생활을 통해 배움을 경험하도록 지원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수행하게 되는 역할을 설명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영유아들과의 놀이와 일상생활 속에서 의미 있는 경험을 교수학습으로 연결하고 조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3부 ‘영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실제’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상호작용과 자유놀이로 구분하여 영아들의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는 일상의 리듬과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과 교실과 교실 밖 놀이를 통해서 의미 있는 경험을 만들어 가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영아교사들이 영아들에게 신체적,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고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안전한 교수학습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제4부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실제’에서는 또래와의 놀이를 선호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배움이 활성화되는 유아기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자유놀이와 또래와의 협력이 일어나는 대·소집단 활동, 다양한 활동 간의 전이 시간을 다루기 위한 활동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들의 요구에 적합한 역동적인 교수학습과정을 계획, 실행, 평가하는 리더인 동시에 유아들의 팔로워로서 함께 배움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교재의 저자들은 영유아들과의 교수학습경험을 행복하게 기억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시간을 함께했던 영유아들의 반짝이는 호기심들과 그것을 채우고자 했던 노력, 영유아들의 성장과 기쁨을 함께 나누면서 느꼈던 교사로서의
성취감을 많은 예비교사들이 경험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있다. 그 마음으로 시간을 쪼개어 대화하고 쉽게 펜을 내리지 못하면서 공을 들여 책을 썼다. 저자들의 마음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즐거운 교수학습이 일어나기를 원하는 많은 이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이 완성되기까지 실제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현장을 개방해 주신 유치원 및 어린이집 선생님들과 책의 완성을 위해 수고해 주신 공동체 관계자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9. 12
저자 일동

 

제1부 영유아교수학습방법의 이해


CHAPTER 01 영유아교수학습의 기초

1. 영유아교수학습방법의 정의 16
2. 영유아교수학습의 원리 21


CHAPTER 02 영유아교수학습이론

1. 성숙주의 이론 28
2. 행동주의 이론 30
3. 구성주의 이론 32


제2부 영유아교수학습방법과 상호작용


CHAPTER 03 영유아교수학습방법

1. 설 명 40
2. 시 범 43
3. 모델링 44
4. 토 의 46
5. 문제해결 49
6. 자기표현 52


CHAPTER 04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1.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의미와 중요성 56
2. 영유아의 발달을 돕는 상호작용 전략 60


CHAPTER 05 영유아교수학습과정과 교사의 역할

1. 영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천하기 73
2. 유아의 놀이와 일상생활을 통한 배움의 과정 지원하기 76
3. 유아의 놀이와 배움 경험 기록하고 평가하기 80
4. 영유아교수학습에 대한 전문성 강화하기 82


제 3 부 영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실제


CHAPTER 06 일상생활에서의 상호작용

1. 등 원 89
2. 수유 및 이유식 91
3. 낮 잠 94
4. 배 변 97
5. 하 원 100


CHAPTER 07 자유놀이

1. 감각·탐색 106
2. 신체놀이 109
3. 언어놀이 112
4. 역할 및 쌓기놀이 115
5. 미술놀이 118
6. 음률놀이 122
7. 실외놀이 125


제 4 부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실제


CHAPTER 08 자유놀이

1. 역할놀이 137
2. 쌓기놀이 142
3. 미술놀이 147
4. 음률놀이 152
5. 언어놀이 156
6. 수·조작놀이 161
7. 과학놀이 165
8. 실외놀이 170


CHAPTER 09 대·소집단 활동

1. 이야기나누기 179
2. 동 화 190
3. 동 시 203
4. 동 극 221
5. 게 임 236
6. 신체표현 253
7. 요 리 265
8. 견 학 277
9. 노 래 292
10. 미 술 309
11. 음악 감상 327
12. 미술 감상 341


CHAPTER 10 전이 활동

1. 전이의 계획 357
2. 일과운영에서의 전이 활동 358


■참고문헌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