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대학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과정을 돌이켜 보면, 학생들이 결정적으로 변모하게 되는 몇 번의 계기를 경험하게 된다. 그 몇몇 계기들 중 가장 대표적인 전환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현장실습이다. 학생들은 유아들의 앞에 교사가 되어 서보는 경험을 하고 난 후, 비로소 자신이 누군가의 선생님이 된다는 사실을 절감하게 되는 듯하다. 언제나 실습을 마치고 돌아온 학생들에게서는 뭐라고 꼭 집어 표현할 수 없는, 실습 이전에는 느낄 수 없었던 교사 고유의 냄새가 풍기는 것을, 아마도 학생들을 지도해 본 교수들이라면 누구나 경험하지 않았을까 싶다.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 실습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대학의 예비교사 양성과정을 통해 실습을 포함하는 교과의 경우는 대부분 모의수업을 진행하며, 수업 촬영과 분석, 학생들의 자기 평가서의 작성 등을 통해, 수업의 계획과 진행 과정을 최대한 연습하고 또 연습한다. 그러나 실제 유아가 빠진 상태에서의 수업이 갖는 한계는 학생들이 실습을 경험하면서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유아들이란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존재이다. 유아들의 사고는 각각의 연령에 따라, 발달에 따라, 경험에 따라 모두 상이하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그런 유아들의 실체를 우리 학생들은 비로소 실습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교육 또는 보육실습에 있어서 유아교육 실습기관과의 공조 문제는 실습의 성패와 매우 큰 상관이 있다. 유아교육기관이 실습생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의 여부, 얼마나 체계적인 실습 프로그램과 실습 지도경험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 실습지도교사의 경력과 인성, 그리고 실습지도교사 자신의 실습경험까지도 실습에 영향을 미친다. 수년간 다양한 방식으로 실습기관을 선정하고, 실습 절차를 상의하며, 실습을 운영하면서, 대학과 실습기관과의 상호 소통의 문제는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다.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대개 유사한 실습을 두 차례 수행하게 된다.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유치원 실습을,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보육실습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일제 유치원에서 실습을 하게 되면 한 번의 실습만으로 두 가지 자격증을 모두 취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문대학들은 보육실습과 유치원 실습을 따로 분리해서 진행하는 편이다. 그렇게 해도 막상 취업에 직면했을 때는 예비교사들의 실습경험이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현실 때문이다. 또 졸업생의 취업처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졸업생들 자신조차 본인이 어떤 기관에 취업하게 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근본적으로 유사성이 많은 기관이지만, 나름대로 고유의 상이성이 존재한다. 학생들은 두 번의 실습 경험을 통해 대표적인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을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역할을 경험하는 계기를 갖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유아교육실습이 최대한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오도록 하기 위하여 본 교재를 집필하기로 하였다. 이 책에서는 보육실습과 교육실습을 유아교육실습으로 통칭하였음을 밝히며, 저자들의 십여 년간의 유아교육실습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실습 전 사전계획, 사전지도, 실습 중 지도, 실습 후의 평가 및 사후지도 전 과정을 사례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교재가 실습을 준비하는 예비 유아교사들과 유아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모든 교수자와 실습지도교사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출판을 허락해 주신 공동체 관계자들께 감사드리며 다양한 사례 제공으로 통찰을 허락한 수많은 실습생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
2019년 신학기를 앞두고
저자 일동
PART 01 유아교육기관 실습의 이해
Chapter 01❙유아교육기관 실습의 의미
1. 실습의 개념
2. 실습의 목적
3. 실습의 단계
4. 실습의 내용별 유형
Chapter 02❙유아교육기관 실습의 효과
1. 실습의 효과
2. 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hapter 03❙유아교육기관 실습 프로그램
1. 한국의 실습 기준
2. 외국의 교육실습 현황
3. 실습 프로그램의 운영
4. 유아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제한점 및 개선 방향
Chapter 04❙유아교육기관 실습생의 위상
1. 실습생의 특성
2. 실습생의 역할
3. 실습생의 자세
4. 실습생의 발달단계
5. 실습생의 인간관계
6. 바람직한 교육실습생의 모습(Workbook)
PART 02 보육실습 및 교육실습의 실제
Chapter 05❙보육실습의 운영
1. 실습 준비
2. 실습생의 사전 교육
3. 수업지도(0~2세)
Chapter 06❙교육실습의 운영
1. 실습 준비
2. 실습생의 사전 교육
3. 수업지도(3~5세)
Chapter 07❙실습의 평가
1. 실습지도교수의 순회 방문
2. 실습기관에서의 평가
3. 양성기관에서의 평가
4. 실습생의 자기 평가
■ 부 록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