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사회복지실천학의 목표는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학습하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전문성을 습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이념과 철학, 가치와 윤리, 서구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소개, 사회복지실천 대상 및 문제의 개관과 함께 이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파악한다. 또한 접수 및 자료수집, 사정, 계획수립, 개입, 종결 및 평가의 사회복지실천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해 통합적 접근 및 사례관리 실천 방법을 이해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기초로, 이후에 사회복지사로서 클라이언트를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특수한 상황에서 적절한 실천기술 및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고가 사회복지현장에 대한 이해와 사회복지이론의 정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출판을 위하여 수고하여 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9. 3. 5.
백석대 보건복지대학원
김 성 철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1.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
2.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3. 사회복지실천의 지식체계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목적, 목표
1.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3. 사회복지실천의 목표
CHAPTER 03 실천의 통합적 접근
1. 통합적 관점의 발달
2. 생태체계적 관점
3. 통합적 방법의 특징
CHAPTER 04 영국과 미국의 사회복지실천
1. 구빈법과 개정구빈법
2.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
3. 사회복지실천의 발전
CHAPTER 05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1. 현대국가 이전과 일제강점기
2. 문민정부 이전
3. 미래의 복지실천
CHAPTER 06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2. 사회복지실천의 윤리
3.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갈등
CHAPTER 07 클라이언트와 기관, 사회복지사
1.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사와 기관
2. 사회복지실천서비스의 목적
3. 사회복지사의 역할
CHAPTER 08 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
1. 체계이론
2. 생태체계이론의 환경과 수준
3. 생태체계이론의 개입과 적용
CHAPTER 09 강점관점과 임파워먼트, 다문화 관점
1. 강점관점
2. 임파워먼트
3. 다문화관점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와 파트너십
1. 관계의 개념
2. 관계의 구성요소
3. 파트너십
CHAPTER 11 커뮤니케이션과 면담, 상담
1.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2. 면담과 상담
3. 기술, 도전, 기록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1. 접수, 자료수집 및 사정
2. 계획, 계약
3. 효과 측정 및 평가, 종결
CHAPTER 13 사회복지실천의 사례관리와 서비스 전달
1. 사례관리실천의 개요와 주요 활동
2. 사례관리의 과정
3. 서비스 전달
APPENDIX 사회복지실천론 기출문제
1. 2016년 사회복지실천론 기출문제
2. 2017년 사회복지실천론 기출문제
3. 2018년 사회복지실천론 기출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