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최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2017년 문재인 정권이 들어서고 난 후에는 주민자치라는 용어가 자주 거론되고 있다.
2000년 이전에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지역사회복지 실천이 쉽지 않았다. 대학에서도 지역사회복지는 교과서상의 과목에 머물러 있었다. 2000년 이후부터 사회복지 영역에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표방하며, 관련 법률 개정과 아울러 제도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성과 운영,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과 실행, 희망복지지원단의 설치ㆍ운영,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성과 운영,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 추진, 커뮤니티 케어 등이다.
이들 제도화의 기저에는 주민참여 내지는 주민주도가 필연적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아직까지 이들 제도가 주민참여에 기반하여 적절하게 작동된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지역사회복지에서 다루어야 하는 ‘지역사회’, ‘지역주민’,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주민의 삶’이라는 부분들은 나름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지역사회’는 공간성을 바탕으로 한 인프라의 지역적 안배, 접근용이성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주민’은 관계성을 바탕으로 한 주민참여, 네트워크 형성ㆍ유지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주민의 삶’이라는 차원에서는 기능성을 바탕으로 한 거버넌스 구현, 자치력 강화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들 지역사회복지의 하위 요소들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최소한 현장의 실태를 과학적으로 파악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실현 가능한 대처방안을 수립하여 실천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는 기존의 사회복지조사방법론에서 배운 설문지를 통한 양적조사 방법에 크게 의존해 온 경향이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한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일 것이다. 이 양적조사 방법이 유용하기는 하지만, 지역사회복지 현장의 다양한 측면을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 책은 이러한 지역사회복지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제작하게 되었다. 여기서는 최소한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연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개하는 연구방법들은 지역사회복지 실천 유용성을 포함한 연구방법의 개요를 다룬 후, 그 내용과 적용, 지역사회복지에서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 다룬 내용들은 해당 연구방법을 활용한 현장분석 지식과 그에 따른 대응 사례를 알린다는 의도로 매우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이 책은 전체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과 담당 집필자는 다음과 같다.
1. 지역사회복지와 연구방법(박태영)
2. 설문을 이용한 지역사회 조사방법(김동화)
3. 지리정보체계(GIS) 분석(김석주)
4. 사회 네트워크 분석(채현탁)
5. 초점집단면접(채현탁)
6. 퍼실리테이션 기법(김동화)
여기에 제시된 연구방법 하나하나가 한 권의 책으로 소개되어 있기도 하여, 다섯 가지의 연구방법을 한 권으로 소개하는 것이 다소 무리인 듯하지만, 지역사회복지 차원에서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의도로 구성한 것이다.
이 책은 지역사회복지 현장실천가와 지역사회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대학원에서 지역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원생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이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출판을 위해 애써준 도서출판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편집실 관계자에게 감사를 표한다.
2019. 3.
연구자들을 대표하여 박태영 씀
CHAPTER 01 지역사회복지와 연구방법
1. 지역사회의 이해
2. 지역사회복지의 개관
3. 지역사회복지 연구방법
CHAPTER 02 설문을 이용한 지역사회 조사방법
1. 개 요
2. 내 용
3. 적 용
4. 사 례
CHAPTER 03 지리정보체계(GIS) 분석
1. 개 요
2. 내 용
3. 적 용
4. 사 례
CHAPTER 04 사회 네트워크 분석
1. 개 요
2. 내 용
3. 적 용
4. 사 례
CHAPTER 05 초점집단면접
1. 개 요
2. 내 용
3. 적 용
4. 사 례
CHAPTER 06 퍼실리테이션 기법
1. 개 요
2. 내 용
3. 적 용
4. 사 례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