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행정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술변화의 주기가 매우 짧아지고 사회변화의 속도도 엄청나게 빨라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변화의 흐름에 사회복지 영역도 피해갈 수 없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회복지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즉, 다양한 분야에서 축척된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회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경우의 수를 조합한 사례관리 설계로 서비스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복지시스템에 있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사회복지 영역의 변화에 앞으로 사회복지는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정보관리가 중요해질 것이며, 급속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복지행정의 유연성이 강조되어 현행 사회복지조직의 개편 및 복지행정의 재설계가 요청된다.
  더불어 현재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지방분권이라는 또 다른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지역사회복지 중심의 복지행정이 전개되며 지역사회의 복지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동 단위 민관 네트워크 구축, ‘동 복지허브화’ 등의 추진 등 복지전달체계에 있어 개편이 일어나고 있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사회복지재정을 포함한 역할분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4차 산업혁명과 지방분권화로 인한 환경의 변화는 체계화, 과학화, 효율화, 통합화, 효과성 및 책임성, 전문성의 확보를 근간으로 하는 사회복지행정의 발전을 강력히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사회복지행정은 새로운 관리지식과 기법을 도입·개발하여 한국 사회복지환경이 요구하는 효율성, 효과성 및 책임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을 뿐 아니라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을 안고 있다. 그리하여 본 서의 집필자들은 이전의 초판에서 사회복지행정을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관리 및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라는 세 가지 체계로 접근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시각에서 출발하여 본 서를 4부로 구성하는 것으로 통일하였다. 그렇지만 2019년 개정 초판에서는 각 장의 학습목표를 NCS 방식의 가치, 지식, 기술의 세 가지 차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며 습득해야 할 각 장의 키워드를 새롭게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발달과 전달체계 등에서 최신의 동향을 반영하였고 사회복지행정의 조직과 관리에서는 최근 이론을 보완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이러한 이론들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학습자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현장의 실무를 박스 처리하거나 QR코드를 통하여 보충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본 서에서는 학습자들에게 현장감을 부여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 새로운 방식의 QR코드를 이용한 실무 사이트를 직접 접속해 보는 경험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장으로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사회복지행정의 전망을 마지막 장으로 재구성해 보았다.
  본 서의 출간이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및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준비생은 물론 사회복지정책 입안자, 사회복지행정가와 실천가들에게 일독의 가치가 있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본 서는 2002년 양서원에서 초판 발행되어 그동안 3년마다 개정 증보된 내용을 기반으로 새롭게 2명의 교수와 선임연구원이 참여하여 새로움과 현장감을 더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본 서는 이전 개정증보판의 부족한 부분을 상당 부분 보완하였으나 필자들의 능력 부족으로 아직도 많은 부분에 걸쳐 부족함과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선배, 동료 학자는 물론 독자들의 많은 비판과 질책이 있기 바라며 앞으로 수정․보완할 기회가 있을 것으로 믿는다.
  끝으로 사회복지 각 분야별 서적을 집중적으로 출판하여 한국 사회복지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면서도 사회복지행정의 발전을 위하여 본 서의 출간을 기꺼이 맡아주신 공동체의 김동훈 사장님과 직원 여러분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9. 3.
저자 일동

 

PART 01 사회복지행정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1
   제1절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12
   제2절 사회복지행정의 정의 15
   제3절 사회복지행정의 특징 18


제2장 사회복지행정의 이념과 책임성 22
   제1절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이념 23
   제2절 사회복지행정가의 지식과 기술 31
   제3절 사회복지행정가의 책임성 42


제3장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발달 46
   제1절 정부 수립 이전의 사회복지행정 47
   제2절 정부 수립~제6공화국의 사회복지행정 50
   제3절 제6공화국 이후의 사회복지행정 57


제4장 사회복지행정의 조직이론 68
   제1절 전통적 이론 70
   제2절 현대적 이론 81


PART 02 사회복지조직


제5장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와 유형 101
   제1절 조직구조의 개념 101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목표와 변화 104
   제3절 사회복지기관의 조직화 원리 105
   제4절 조직구조 108
   제5절 사회복지조직의 유형 116


제6장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문화 120
   제1절 사회복지조직의 환경 120
   제2절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129


제7장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49
   제1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중요성 150
   제2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 151
   제3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전략 155
   제4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실태 157


PART 03 사회복지관리


제8장 기획과 성과관리 179
   제1절 기 획 179
   제2절 성과관리 195


제9장 인적자원관리 202
   제1절 인재양성과 확보 203
   제2절 인재육성 210
   제3절 리더십 216
   제4절 동기부여 236
   제5절 갈등관리 248
   제6절 조직몰입 253


제10장 재정관리 258
   제1절 재정관리의 개념 258
   제2절 예산 수립과 결산 260
   제3절 회 계 277
   제4절 모금의 방법과 전략 283


제11장 서비스 질 관리 292
   제1절 서비스의 개념 및 특성 292
   제2절 서비스 질의 정의와 구성 차원 294
   제3절 서비스 질과 고객만족도 298
   제4절 서비스 질 관리기법으로서 총체적 품질관리(TQM) 300
   제5절 서비스 질 관리기법으로서 위험관리 306


제12장 마케팅과 홍보 321
   제1절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321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홍보 339


제13장 정보관리 342
   제1절 정보관리의 개념 342
   제2절 사회복지기관의 정보관리 348
   제3절 사회복지기관 온라인 보고 352


PART 04 사회복지 평가


제14장 사회복지 시설평가와 프로그램 평가 361
   제1절 평가의 정의와 유형 362
   제2절 평가의 목적 364
   제3절 사회복지시설 평가 367
   제4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374


제15장 사회복지행정의 전망 390


부록 프로그램(성과중심형) 배분신청서 표준양식 403


■참고문헌 409
■찾아보기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