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제4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어린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모르겠어요”, “한 살배기 영아에게 어떻게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하나요?”, “나는 열심히 가르치는데 아이들은 모두 딴청을 피우고 장난하는 거예요. 정말 얼마나 난감하던지… 유아교사를 하는 것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고 있어요”, “3세반 유아들에게 재미있게 게임을 가르칠 수 있나요?”, “5세반 유아들에게 콩나물 음표를 그려서 노래를 가르쳐도 되는지요? 그림악보를 그려서 가르치는 것이 발달에 맞는 방법이라고 배웠는데…”

  미래에 영유아교사가 되기 위하여 공부하는 많은 예비교사들이 실습을 하거나 학교에서 모의수업을 할 때 누구 할 것 없이 적어도 한 번쯤은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고민하고 질문합니다. 예비유아교사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현직교사들의 경우에도 어린 영아와 유아를 가르치는 것에 대하여 위와 같은 문제로 어려워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어려움은 모두 영유아기의 독특함 때문입니다. 영유아기는 주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방법으로 학습하는 초등학교 이후의 시기와는 다른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습하는 시기입니다. 예를 들어, 책을 읽고 거기서 얻은 정보를 익히기보다는 직접 구체물을 가지고 놀이하며 학습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시기입니다. 본 서는 이와 같은 영유아기 학습 특성에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교재입니다.

  본 서에서는 영유아를 위하여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이론과 실제 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습니다. 1부 이론편은 영유아의 교수학습에 대한 이해와 원리,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적합한 교사의 역할,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방법의 구성과 체계, 그리고 목표와 내용, 영유아교육과정 계획의 실제와 환경구성 등 영유아의 발달에 따른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는 내용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부 실제편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를 각각 다루어 현장에서 영아반과 유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영아를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로는 일상생활 활동과 자유놀이활동으로 나누어 비교적 상세히 교수학습의 실제에 관하여 서술하였습니다. 유아를 위한 실제 부분에서도 기본생활, 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 활동 등으로 나누어 각각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하였습니다. 특히 활동마다 적절한 실제 활동안의 예를 사진과 함께 제시하여 영유아교사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본 서에서 다루고 있는 영유아기 교수-학습방법은 저자들이 대학에서, 그리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의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은사님들과 선배 교사들에게서 배운 소중한 내용입니다. 본 서를 집필하면서 은사님들의 가르침에 다시 한번 깊은 감사의 마음을 느끼게 되었음을 밝힙니다. 그분들로부터 배운 이러한 내용을 통하여 후배 유아교사들과 유아교사로서의 역할을 천직으로 알고 감당하기로 작정하고 있는 많은 예비유아교사들이 많은 도움을 받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합니다.

  본 서가 비록 부족하지만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유익한 내용이 되기를 소망하며 앞으로 빠른 시일 내에 보다 나은 내용으로 수정, 보완할 것임을 말씀드립니다. 영유아교육현장의 교수-학습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최선의 실제를 통해 알려준 한국성서대학교 어린이집의 교사와 영유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무엇보다 안미희 원장님의 오랜 현장 경력으로부터 나온 사려 깊은 조언에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본 서를 집필하도록 용기를 북돋워 준 저자의 제자들과 사진을 통하여 등장하는 어린이집 영유아들의 따뜻한 미소에 감사합니다. 무엇보다도 항상 함께하며 말 없는 격려를 보내주고 있는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마음으로부터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2019년 9월
김정원·김유정·이효정

 

Part 1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의 이론


Chapter 1 영유아 교수-학습의 이해

1. 교수-학습의 정의 13
2. 교수-학습에 대한 관점 15
   1) 성숙주의적 관점 15
   2) 행동주의적 관점 17
   3) 구성주의적 관점 18


Chapter 2 영유아 교수-학습의 원리

1. 영유아 교수-학습의 기본 가정 21
2.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 28
   1) 자발성의 원리 28
   2) 개별화의 원리 28
   3) 다양성 및 융통성의 원리 29
   4) 구체성의 원리 29
   5) 탐색의 원리 30
   6) 통합의 원리 31
3. 영유아 교수-학습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 32


Chapter 3 영유아 발달 특성과 교사의 역할

1. 최근 발달이론의 동향과 교수-학습방법 35
   1) 기본 욕구 충족시키기 36
   2) 사회·정서 발달 격려하기 38
   3) 관계 형성 및 유지하기 40
   4) 인지와 뇌 발달 촉진하기 41
2. 영아기 교사의 역할 43
   1) 관계형성자로서의 역할 44
   2) 자기통제력 형성 지원자의 역할 46
   3) 영아의 행동에 대한 반응자 역할 49
   4) 학습안내자로서의 역할 54
   5) 평가자로서의 역할 56
3. 유아기 교사의 역할 62
   1) 양육자로서의 역할 63
   2) 교수자로서의 역할 63
   3) 의사소통자로서의 역할 64
   4) 평가 및 기록자로서의 역할 66


Chapter 4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1. 영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76
   1) 구성방향과 구성체계 76
   2) 목적과 목표 77
   3) 0~1세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78
   4) 2세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내용 85
2. 유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92
   1) 구성방향 92
   2) 추구하는 인간상 92
   3) 목적과 목표 92
   4) 3~5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내용 94
   5) 운 영 99


Chapter 5 교육과정의 구성 및 운영

1.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101
2. 교육과정의 구성 103
3. 교육과정의 운영 107
   1) 영아를 위한 보육과정의 계획 108
   2)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의 계획 134


Chapter 6 환경구성

1. 영아를 위한 환경구성 175
   1) 환경구성의 원리 175
   2) 실내 환경구성 176
   3) 바깥놀이 환경구성 184
2. 유아를 위한 환경구성 187
   1) 환경구성의 원리 187
   2) 실내 환경구성 189
3) 바깥놀이 환경구성 192


Part 2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


Chapter 7 영아를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

1. 일상생활 197
   1) 등원하기와 하원하기 198
   2) 식사 및 간식 205
   3) 낮잠 및 휴식 211
   4) 기저귀 갈이 및 배변지도 216
   5) 옷입기 220
   6) 청결지도 223
2. 자유놀이활동 229
   1) 언어영역 229
   2) 쌓기영역 237
   3) 역할영역 244
   4) 조작영역 249
   5) 음률영역 257
   6) 미술영역 261
   7) 대근육 영역 266


Chapter 8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

1. 일상생활 271
   1) 등원하기 271
   2) 기본생활습관 273
   3) 안전지도 275
   4) 식사 및 간식 279
   5) 낮잠 및 휴식 283
2. 자유선택활동 285
   1) 언어영역 288
   2) 쌓기영역 292
   3) 수학영역 295
   4) 과학영역 299
   5) 조작영역 302
   6) 음률영역 305
   7) 미술영역 309
   8) 역할영역 311
3. 대소집단 활동 315
   1) 이야기나누기 315
   2) 문학활동 321
   3) 음률활동 329
   4) 신체활동 334
   5) 수·과학 활동 336
   6) 미술활동 344
   7) 게 임 346


참고문헌 350
찾아보기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