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인간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인간은 항상 최선의 결정을 내리려 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인간 삶의 질이 바뀔 것이기 때문이다. 삶의 질은 복지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최선의 결정은 어떠한 근거를 가지고 내릴 것인가? 이러한 의사결정 상태에서 우리가 직면한 주된 문제들은 다양한 욕구의 집합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즉, 인간 욕구의 ‘History’에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History’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역사가 아니라 거대한 지속의 개념을 품고 있는 시간들의 추이를 말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삶 속에는 많은 사건들이 있다. 사건들은 계기가 있기 마련이며, 계기는 사건보다는 더 작은 개념이다. 사건은 연장선을 가지지만 계기는 단일 요소로서 연장선을 갖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사건은 계기의 결합형태로서 어떤 연장적이고 일정한 형태로 상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건의 과정 속에 노출되는 두 개의 방향성이 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상향(→)과 하향(←)이 있다는 것이다. 즉, 상향은 원인이 되며 하향은 결과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 ‧ 하향의 모임들이 상관성을 가지며 묶여진 것이 모형이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모형 구축에 보탬이 되고자 쓰여진 다양한 모형을 언급한 책이다. 모형의 기능은 ‘삶의 기술’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모형을 통하여 인간의 삶에서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잃어버린 ‘삶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모형을 연결하여 적용할지 많은 초기 집필자들은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는 이 책이 독자 스스로 ‘우리는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가’, ‘우리는 무엇을 추구하고 있는가’, ‘그러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무엇인가’를 쉽게 모형을 구축하고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러한 인간 이해를 통해 우리의 미래에 대해 우리가 더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기를 소망한다.
이 책은 크게 상위 제1부에서 제3부, 그리고 하위 제1장에서 제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부에서는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조직, 제2부는 사회복지연구의 모형, 제3부는 사회복지연구모형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장은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의 대상, 제2장은 사회복지연구모형의 필요성, 제3장은 인간 욕구의 두 갈래로서의 모형, 제4장은 사회복지연구모형의 구조, 제5장은 사회복지조직과 변화 모형, 제6장은 사회복지연구모형 적용사례로 세분화되어 있다.
인간은 권력을 획득하는 데는 매우 능하지만 이러한 권력을 인간을 위한 복지로 전환하는 데는 그리 능하지 못하다. 누군가 누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을 한다면 그 혜택은 무한할 것이지만, 올바르지 못한 선택을 한다면 조직이 와해되는 비용을 치르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현명한 선택을 할지의 여부는 우리 모두의 손에 달려 있다.
2019년 어느 멋진 날
이 원 주 이 영 미
제 1 부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조직
Chapter 01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의 대상
제 1 절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9
제 2 절 사회복지조직 10
제 3 절 사회복지조직의 유형 10
제 2 부 사회복지연구의 모형
Chapter 02 사회복지연구모형의 필요성
제 1 절 모형과 모델 그리고 도구 15
제 2 절 사회복지연구모형과 이론 18
Chapter 03 인간 욕구의 두 갈래로서 모형
제 1 절 신체적 경험과 정신적 경험 23
제 2 절 자연적 욕구와 의식적 욕구 25
Chapter 04 사회복지연구모형의 구조
제 1 절 사회복지 모형구조와 본질에 대한 단상 28
제 2 절 사회복지 모형의 선험성과 필연성 31
제 3 절 사회복지연구모형 탐색 32
제 3 부 사회복지연구모형의 탐색
Chapter 05 사회복지조직과 변화 모형
제 1 절 사회복지조직관리 모형 37
제 2 절 인적자원관리 모형 93
제 3 절 리더십 모형 105
제 4 절 프로젝트 관리 모형 134
제 5 절 마케팅 모형 149
제 6 절 지식관리와 지식경영 모형 171
제 7 절 윤리와 책임 모형 206
제 8 절 조직의사결정 모형 212
제 9 절 조직진단 모형 220
제10 절 조직변화주도 모형 256
Chapter 06 사회복지연구모형 적용사례
제 1 절 사회복지서비스 품질관리 모형 264
제 2 절 사회복지조직 성과측정 모형 302
참고문헌 316
찾아보기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