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방법론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이 책을 쓰는 이유는 사회복지실천을 질적으로 평가하려고 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더 친절하게 안내하기 위한 것입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평가 관련 서적이나 문헌들은 주로 양적 평가와 관련된 것들이기 때문에 질적 평가를 하고자 할 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라는 교과목을 가르치기 위한 책들은 불과 한 장(chapter) 정도의 분량으로 질적 평가를 설명하고 있고, [사회복지실천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정책론] 등 개입방법별로 평가를 다루는 교과목과 그 책들은 더 적은 분량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삼성복지재단이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에서 발간된 지침서들의 경우에도 나름대로 질적 평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그 내용이 충분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질적 평가에 초점을 두고, 더 자세하고 친절하게 질적 평가의 개념과 절차, 전략, 적용방법 등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저자 권지성은 전형적인 질적 연구자로서 박사학위논문 이후 15년 동안 다양한 질적 연구들을 수행하면서 경험을 쌓아왔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삼성복지재단 프로그램 자문교수,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대전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위원과 자문위원으로서 수많은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을 검토하고, 질적 평가와 관련된 자문을 제공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복지사와 함께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평가한 학술논문들도 꾸준히 발표해 왔습니다. 또한 2015년부터 지금까지 질적 평가를 연구하는 교수들과 현장에서 질적 평가를 적용하려는 사회복지사들이 모인 학습조직 네트워크, ‘밀락넷’을 통해 질적 평가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고 논의하고 가르쳐 왔습니다. 이 책은 그러한 오랜 탐구와 논의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자 염태산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회복지사로서 8년간 근무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 관리, 평가하는 일을 해왔습니다. 일을 하면서 욕구조사, 프로그램 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바람과 사업의 성과가 적절하게 조응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양적 접근의 한계, 즉 ‘이미 알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드러낸다’는 점에 답답함을 느끼기도 하였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욕구 및 평가조사에서 집단면접 등의 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지만, 피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이후 박사과정에 들어가 질적 연구를 본격적으로 배우고, 주된 연구방향으로 삼았습니다. 학업과 강의를 병행하면서, 프로그램을 둘러싼 실천 상황에 질적인 평가방법을 어떻게 도입할 수 있을지 고심하며 학생들을 지도해 왔습니다. 또한 질적 연구를 주된 연구방법으로 삼는 지도교수와 함께, 아동, 청소년, 주부, 노인,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을 대상으로 질적 인터뷰를 수행해 가며, 연구 과제를 폭넓게 수행해 왔습니다. 이후 발달장애인 서비스로 관심이 구체화되면서, 프로그램 선택과정, 신뢰행동의 선택과정에 대해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게 되었습니다. 현재도 사회복지실천 과정의 연구를 위해서 질적인 방법이 ‘딱 맞게 들어가는 장갑’과 같이 부합된다는 믿음을 가지고, 사회복지실천관계나 프로그램 기획과정을 살펴보는 질적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또한 실천현장에서 질적 연구의 방식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실천적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밀락넷’에 소속된 사회복지기관과 사회복지사들에게 배부하기 위해 작성한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 가이드북』을 초안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권지성이 초안에 살을 붙이고, 염태산이 비판적 검토와 함께 초안에 부족한 많은 부분들을 보완하면서 내용이 더 풍부해졌습니다. 이런 상황을 두고 흔히 ‘시너지 효과’라고 하지요. 저자들이 이 책을 쓰면서 늘 염두에 둔 원칙은 ‘사회복지실천가들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는 책을 만들자’였습니다. 우리는 상대방이 작성한 원고를 보면서 서로에게 그 원칙을 잊지 않도록 계속 자극을 주었습니다. 그럼에도 이 책이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저자들의 부족함 때문일 것입니다.

  이 책은 총 3부와 부록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는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의 배경’으로서 기본적인 개념들을 소개합니다. 제2부는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 전략’으로서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를 위한 전략들과 절차,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제3부는 ‘사회복지실천 유형에 따른 질적 평가 지침’으로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법의 다양성에 따라 질적 평가를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논의합니다. 부록들은 첫째, 사업 기획 단계와 진행과정, 종결 단계에 질적 평가를 적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사업계획서와 일지, 최종보고서 양식을 제시하였고, 둘째, 질적 평가를 기획하고 수행할 때 사회복지사들이 힘들어하는 부분 중 하나로서 변화의 표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사회복지현장은 책무성의 시대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실천가와 기관은 실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명해 보일 것을 요구받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에 실증주의 기반의 양적 프로그램 평가가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한계는 명확합니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경험은 이른바 ‘표준화된 척도’ 등의 획일적 잣대로 평가하기 힘들기 때문
입니다.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클라이언트는 자신만의 의미를 경험하는 주체이므로, 이들의 경험과 의미를 반영할 평가 방법이 필요한데, 여기에 질적 평가방법이 유용하다는 것이 저자들의 입장입니다. 프로그램은 실천가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교류하는 장이고, 여기에는 다양한 사회적 맥락이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질적 평가방법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시도가 없었기 때문에 이 책에도 부족한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장에서 열정과 진지함으로 실천하시는 사회복지실천가들, 좋은 실천가로 준비되길 원하시는 예비 사회복지사 여러분들께서 이 책의 다양한 제안들을 검토하고 시도해 보셨으면 합니다. 이 책은 이제야 출발점에 서 있으니 여러분들이 저자들에게 건설적 의견을 주신다면 점점 내실을 갖추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일찍이 Gilgun이라는 질적 연구자는 사회복지실천과 질적 연구는 유사한 속성이 많아 꼭 맞는 장갑과 같다고 비유한 바 있습니다. 저희에게도 그렇게 느껴집니다. 저희에게 ‘꼭 맞는 장갑’처럼 느껴지는 질적 평가방법이 여러분들에게도 동일한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앞으로도 저자들과 독자들이 함께 공감하고, 함께 성장해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권지성, 염태산 드림


 

PART 01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의 배경 11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과 평가 13

1.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13
2. 사회복지실천의 다양성과 범위 14
3. 사회복지실천의 바탕으로서 ‘관점’15


CHAPTER 02 평가의 구성요소들 23

1. 평가의 기본 개념 23
2. 평가를 위한 여섯 가지 질문 25


CHAPTER 03 더 큰 그림과 질적 평가의 정체성 43

1. 철학의 문제 43
2. 정치의 문제 46
3. 질의 의미 46
4. 질적 연구와 질적 평가 48

 

PART 02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 전략 51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를 위한 전략들 53

1. 질적 연구접근의 기본 방법을 적용하기 53
2. 논리모형의 틀을 적용하기 61
3. 특정 질적 연구접근을 선택하여 적용하기 97
4. 질적 사례연구 적용하기 105
5.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기 106
6. 양적 평가방법을 확장하기 107
7. 우선순위 정하기 : 하나씩 차례로 108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 질적 평가의 절차와 방법 113

1. 언제나 출발점은 116
2. 목적과 목표의 재검토 125
3. 개입의 대상 확인하기 135
4. 실천개입의 유형에 맞는 평가 접근의 구축 138
5. 평가 전략 구성하기 149
6. 윤리적 이슈를 고려하기 150
7. 자료를 수집하기 151
8. 자료를 분석하기 163
9. 글쓰기와 발표하기 184


PART 03 사회복지실천 유형에 따른 질적 평가 지침 189


CHAPTER 06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 191


CHAPTER 07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 193


CHAPTER 08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197


CHAPTER 09 사례관리 실천 199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실천 203


CHAPTER 11 거시적 실천 207


CHAPTER 12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에 대한 평가 213

1. 아동 213
2. 장애인 214
3. 노인 216


■ 참고문헌 217
■ 한 걸음 더 나아가기 219
■ 부록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