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보육교사인성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교사는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보육교사는 하루 종일 영유아를 돌보고 교육하는 전문 직업인이며 영유아에게 직접적이고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들어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어린이집에서 양육되는 아이들이 늘어나면서 전문성과 인성을 갖춘 보육교사에 대한 요구가 더 많이 생겨나고 있다.
  보육교사는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육교사로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생각하고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이 책은 대학 및 양성기관에서 보육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이 교재로 사용하여 기본적인 이론을 정리함으로써 전문성을 갖추고, 바람직한 가치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기술을 습득한 인성을 갖춘 교사가 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 책의 내용은 총 9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 보육교사직의 이해에서는 교사의 개념, 보육교사의 개념, 보육교사의 특징, 영유아교육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2장 영유아교육기관 현장의 이해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교사의 자격기준, 교사 임용, 교사 자격증 취득에 대해 다루었다. 3장 보육현장에서 일하기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특성, 근무환경, 교사 배치, 고용조건, 근무를 살펴보았다. 4장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에서는 교사의 법적 지위, 보육교사의 권리, 보육교사의 직업적 의무, 윤리강령에 대해 다루었다. 5장 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에서는 개인 성향 알기, 보육교사의 자질,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6장 보육교사의 발달에서는 보육교사 발달의 개념과 중요성, 보육교사의 발달단계, 보육교사의 주기별 발달 특성을 정리해 보았다. 7장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현직교육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현직 교사교육에 대해 다루었다. 8장 보육현장에서의 인간관계에서는 보육현장에서의 관계, 갈등,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9장 보육교사의 인성에서는 인성의 개념, 인성교육의 개념, 보육교사 인성교육의 중요성, 보육교사 인성교육의 원리, 인성교육의 요소, 보육교사 인성교육의 실제, 반성적 사고에 대해 다루었다.

  위의 내용은 보육교사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지식적인 측면과 갖추어야 할 실천적인 측면이 포함되어 있다. 이 책을 단순히 지식적으로 암기하기보다는 보육교사로서 잘 준비하기 위해 생각하고 내면화할 수 있게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이 책으로 공부한 학생들이 보육현장을 바르게 이해하고 영유아를 사랑하고 바르게 보육할 수 있는 지식과 인성을 갖춘 교사가 되기를 바란다.


2019년 2월
저자 일동

 


CHAPTER 01 보육교사직의 이해

01 교사의 개념 13
02 보육교사의 개념 14
03 보육교사의 특징 14
   1) 보육교사의 직업적 특징 15
04 영유아교육의 변화 19
   1) 교육기관의 특성 19
   2) 보편적 보육 및 교육의 확대 19
   3) 교육과정의 통합 20
   4) 국가의 책무성 확대 20
   5)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21


CHAPTER 02 영유아교육기관 현장의 이해

01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27
   1) 어린이집 27
   2) 유치원 31
02 교사의 자격기준 35
   1) 어린이집 35
   2) 유치원 39
03 교사 임용 41
   1) 어린이집 임용 42
   2) 유치원 임용 43
04 교사 자격증 취득 44
   1) 학점 이수 44
   2) 실 습 47


CHAPTER 03 보육현장에서 일하기

01 유아교육기관 조직 특성 53
   1)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소속감 54
   2) 보육과 교육의 중요성 54
   3) 다양한 유아교육기관 설립 주체 54
   4) 교육기관의 다양함 55
   5) 많은 업무량 55
   6) 인간관계 중심의 의사소통 방식 55
02 근무환경 56
   1) 시 간 56
   2) 공 간 58
   3) 업 무 59
03 교사 배치 74
   1) 어린이집 교사 배치 75
   2) 유치원 교사 배치 76
04 고용조건 77
   1) 보 수 77
05 근 무 84
   1) 하루일과에 따른 교사의 역할 84


CHAPTER 04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

01 교사의 법적 지위 93
02 보육교사의 권리 95
   1) 전문성으로서의 권리 95
   2) 공공성으로서의 권리 95
   3) 근로성으로서의 권리 97
03 보육교사의 직업적 의무 97
   1) 전문성으로서의 의무 97
   2) 공공성으로서의 의무 98
   3) 근로성으로서의 의무 100
04 윤리강령 102
   1) 윤리강령의 개념 및 중요성 102
   2) 보육인 윤리 선언 103
   3) 어린이집 원장 및 보육교사 윤리강령 104
   4) 영유아에 대한 윤리 105
   5) 가정에 대한 윤리 105
   6) 동료에 대한 윤리 106
   7) 사회에 대한 윤리 107


CHAPTER 05 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

01 개인 성향 알기 111
02 보육교사의 자질 117
   1) 개인적 자질 117
   2) 전문적 자질 123
03 보육교사의 역할 127
   1) 보육교사의 역할 129
   2) 영아반 보육교사의 역할 137
   3) 유아반 보육교사의 역할 142
   4) 장애통합반 교사의 역할 148
   5) 시간연장반 교사의 역할 150
   6) 다문화 학급교사의 역할 152


CHAPTER 06 보육교사의 발달

01 보육교사 발달의 개념과 중요성 159
02 보육교사의 발달단계 162
   1) 직선적·순차적 모형 163
   2) 복합적·역동적 모형 168
03 보육교사의 주기별 발달 특성 172
   1) 1단계 - 교직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되는 시기 173
   2) 2단계 - 하루살이와 같은 생존의 시기 173
   3) 3단계 - 현실과의 괴리를 경험하는 환멸감의 시기 173
   4) 4단계 - 자신을 되돌아보고 재충전하는 반성과 회복의 시기 174


CHAPTER 07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현직교육

01 보육교사의 전문성 179
   1) 전문성의 개념 180
   2) 보육교사의 전문성 영역 181
02 현직 교사교육 191
   1) 현직교육의 개념 191
   2) 현직교육의 필요성 192
   3) 현직교육의 유형 195
   4) 교사 발달 단계에 따른 교사교육 200


CHAPTER 08 보육현장에서의 인간관계

01 보육현장에서의 관계 209
   1) 어린이집 원장 210
   2) 동료교사 211
   3) 행정직원 212
   4) 부 모 212
02 갈 등 213
   1) 갈등의 개념 213
   2) 갈등관리의 중요성 213
   3) 갈등의 원인 214
   4) 교사로서의 갈등요인 216
   5) 갈등관리 유형 220
03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대책 223
   1) 교사 대 영유아 비율 준수 224
   2) 최소한의 휴가 사용, 초과 근무 수당, 건강 검진 등 기본권리 보장 224
   3) 급여 및 처우개선 225
   4) 사회보험 가입 및 퇴직금 마련 225
   5) 교사의 기본적 근무 조건에 대한 복무 규정 마련 226
   6) 보육교사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지원 226
   7) 재교육 기회 보장 227
   8) 지역사회의 다양한 네트워크와 연계 227


CHAPTER 09 보육교사의 인성

01 인성의 개념 233
02 인성교육의 개념 234
03 보육교사 인성교육의 중요성 235
04 보육교사 인성교육의 원리 237
   1) 존중의 원리 237
   2) 협동의 원리 237
   3) 합리성의 원리 237
   4) 책임감의 원리 238
   5) 전문성의 원리 238
05 인성교육의 요소 238
   1) 존 중 239
   2) 정 직 241
   3) 배 려 243
   4) 예 245
   5) 책 임 247
   6) 효 248
   7) 소 통 250
   8) 협 동 252
06 보육교사 인성교육의 실제 254
   1) 보육교사 마음성장 프로젝트 254
   2)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 컨설팅 : 소통과 협력을 위한 셀프컨설팅 258
07 반성적 사고 266


■ 부록 277
■ 참고문헌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