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임상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임상미술치료(clinical art therapy)는 미술치료의 이론적 기반에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경험과 특성들을 반영한 치료법으로 정신건강, 재활,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미술치료는 여러 가지 매체를 사용하여 내담자가 가진 정서와 억압된 불안 등을 드러냄으로써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중재적 기법이다.
미술치료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작업의 결과물이 아닌 과정을 중요시한다. 즉, 아름답고 보기 좋게 잘 그려내려는 미술활동과는 달리 자신을 순수하게 드러내어 세상과 소통하는 것이다.
  본 교재를 ‘임상미술치료’라는 용어로 정리한 것은 미술치료가 심리적·정서적 개입을 통해 ‘광범위한 심신의학의 차원에서 몸의 질환이 마음에 영향을 끼치고, 마음의 비정상(disorder)이 몸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과 상관관계를 통해 삶의 균형에 대한 임상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정서적·심리적인 문제와 더불어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는 불안과 우울, 그리고 분노와 죄책감 등 다양한 정서적인 경험을 동반하게 된다.
  미술치료는 내담자가 스스로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몰입의 경험을 통해 내면의 불안과 갈등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치유력을 갖는다.
  본 교재는 총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먼저 1장에서는 임상미술치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임상미술치료의 개념 및 의의, 미술치료의 관점 및 장점, 미술치료의 역사, 미술치료의 적용 대상 및 물리적 환경, 그리고 미술치료 매체를 기술하였다. 2장은 임상미술치료의 이론으로 정신분석적 접근, 인간중심적 접근, 분석심리학적 접근, 개인심리학적 접근, 게슈탈트 상담접근, 해결중심상담 접근, 긍정심리학적 접근, 인지-행동 상담 접근, 발달중심상담 접근 등으로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대상별 임상미술치료를 기술하였는데 아동 미술치료, 청소년 미술치료, 성인 미술치료, 노인 미술치료로 분류하였다. 4장은 뇌와 임상미술치료 부분으로 미술치료와 연계하여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뇌활동과 임상미술치료를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장애아동과 미술치료를, 장애아동의 이해와 장애아동 미술치료로 기술하였으며, 6장은 임상미술치료의 기법으로 진단법과 치료법을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7장 임상미술치료의 진행과정에서는 치료방법 및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치료실의 공간과 시간 구성을 포함하여 초기, 중기, 종결 과정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다. 8장은 유형별 임상미술치료로 개인, 집단, 가족 미술치료로 분류하여 기술하였으며, 9장에서는 매체와 색채심리라는 주제로 미술치료 매체의 특성, 매체의 종류와 특징, 색채심리와 미술치료를 정리해 보았다. 10장은 임상미술치료의 실제로 첫째, 성폭력 트라우마가 있는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 둘째, 학교 부적응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 셋째, 대인관계 어려움을 호소하는 당뇨 질환 대학생의 정신역동적 미술치료 사례, 넷째, 조현병 미술치료 사례, 다섯째, 지적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Ⅰ, 여섯째, 뇌병변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 그리고 일곱째, 지적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Ⅱ 등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부록에서는 임상미술치료사의 윤리와 철학을 기술하였는데, 이 부분은 임상미술치료사의 전반적인 사례를 접근할 수 있는 가이드가 될 것이다.
  본 교재는 대학 및 대학원 학생들의 미술치료에 대한 전반적 이론 정립을 목표로 만든 맞춤형 지침서라 할 수 있으며, 병원이나 치료 현장에서도 임상미술치료를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례를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실제적인 전문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교재 원고를 정리하면서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노력했으나 지면과 분량의 한계로 아쉬움이 남는다. 이는 추후 세부적인 전문 연구를 통해 보충할 것을 약속한다.
  끝으로 이 교재에 도움을 주신 원광대학교 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 이상열 교수님, 책의 출간을 지원해 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교정과 편집을 꼼꼼히 살펴봐 주신 편집부 관계자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린다.


2019년 6월
집필자 일동

 

CHAPTER 01 임상미술치료의 이해

1. 임상미술치료의 개념 및 의의 13
2. 미술치료의 관점 및 장점 16
3. 미술치료의 역사 20
4. 미술치료의 적용 대상 및 물리적 환경 22
5. 미술치료 매체 24


CHAPTER 02 임상미술치료 이론

1. 정신분석적 접근 29
2. 인간중심적 접근 37
3. 분석심리학적 접근 42
4. 개인심리학적 접근 49
5. 게슈탈트 상담접근 55
6. 해결중심상담 접근 62
7. 긍정심리학적 접근 65
8. 인지-행동 상담 접근 69
9. 발달중심상담 접근 71


CHAPTER 03 대상별 임상미술치료

1. 아동 미술치료 75
2. 청소년 미술치료 110
3. 성인 미술치료 127
4. 노인 미술치료 136


CHAPTER 04 뇌와 임상미술치료

1. 중추신경계 149
2. 말초신경계 153
3. 뇌활동과 임상미술치료 154


CHAPTER 05 장애아동과 미술치료

1. 장애아동의 이해 164
2. 장애아동 미술치료 168


CHAPTER 06 임상미술치료의 기법

1. 심리평가 187
2. 그림에 의한 심리진단법 206
3. 미술치료 기법 253


CHAPTER 07 임상미술치료의 진행과정

1. 임상미술치료의 환경 289
2. 임상미술치료 과정 290
3. 치료회기 기록 295


CHAPTER 08 유형별 임상미술치료

1. 개인미술치료 300
2. 집단미술치료 308
3. 가족미술치료 319


CHAPTER 09 매체와 색채심리

1. 미술치료 매체의 특성 329
2. 매체의 종류와 특징 330
3. 색채심리와 미술치료 338


CHAPTER 10 임상미술치료의 실제

1. 성폭력 트라우마가 있는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 345
2. 학교 부적응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 360
3. 대인관계 어려움을 호소하는 당뇨 질환 대학생의  정신역동적 미술치료 사례 382
4. 조현병 미술치료 사례 403
5. 지적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 1 412
6. 뇌병변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 469
7. 지적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 2 480


부록 495


■ 참고문헌 514
■ 찾아보기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