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쉽게 배우는 

아동상담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행위에서 상대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물며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나 활동에서 그들을 중심에 두고 좀 더 눈높이를 맞추어 경청하고, 수용하는 것은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한 삶에 한 발 더 다가서는 일일 것이다. 상담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와 전문적인 자질을 갖춘 상담자가 만나 문제해결을 위해 함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상담은 아동이라는 대상의 특수성과 상담이라는 전문성의 영역이다. 대상의 특수성은 정신분석적, 인지, 정서, 행동 등의 영역에서 발전하는 상담이론과 더불어 상담학 분야의 발전과 분화를 나타낸다. ‘아동상담’이란 제목에서 이 책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아동’과 ‘상담’이다. 여기서 ‘아동’이란 상담의 두 주체 즉, 상담자와 내담자로 나눌 때 내담자를 아동으로 제한한다는 것이다. 상담에서 대상을 구분하면 아동상담, 청소년상담, 노인상담, 부부상담 등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인데, 여기서는 그중에서 ‘아동’을 중심으로 다룬다. 또한 ‘상담’이란 아동을 대상으로 ‘훈련’이나 ‘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지 않고, 아동이 가진 문제나 행동,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모색하는 소통 행위일 것이다.
  모든 상담이 중요하겠지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은 그들의 긴 인생 초반에서 삶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라 더욱 중요하다. 스스로를 인정하고, 타인에게 인정받는 것은 소중한 경험이다. 어릴 때부터 아이들은 그렇게 인정받으며 성장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인정욕구조차 욕심이 되어버린 현실에서 아동은 다양한 문제에 처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부모는 도움을 요청하게 되고, 상담자는 그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상담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있어야 적절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아동과 함께 하는 부모나 유아교육 관련 종사자, 초등교육 관련 종사자 등은 아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기반으로 활동하여야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직업적으로 아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훈련이나 수업 외에 일상의 대인관계에서 소통을 보다 현명하게 하는 지식과 방법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최근 상담이 좀 더 세분화되고 각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상담은 이론적 부분도 중요하지만 일상에서 사람과의 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존중을 기초로 함께 하는 말과 행동이 실제로 더 강조되어야 한다. 특히 어리다고 어리석지 않으며, 어리다고 모르기만 한 것이 아니며, 어리다고 무시당해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어리다고 취급되는 것에서 아동의 문제는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아동상담은 아동을 어리다고 취급하지 않고 그들의 존재를 인정하기 때문에 아동에 대한 인격적 관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책으로 활자화하여 접근하는 ‘아동상담’은 제한점을 가지게 된다. 다른 상담심리학이나 인접 학문의 수용을 배제할 수 있다. 그만큼 아동을 이해하는 폭이 좁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지식을 다룰 수는 없지만 문제해결을 위해서, 보다 지혜로운 접근을 위해서는 다른 여러 영역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아동상담에 한정된 공부만 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상담이라는 과목의 특성이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인 면을 다루기 때문에 적용면에서 다소 어렵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이 책을 쉽게 쓰려고 애썼다. 하지만 쓰는 사람의 입장과 읽는 사람의 입장, 활용하려는 사람의 입장이 달라서 얼마나 잘 소통이 될지 의문이다. 소통의 촉매로 각 장마다 서두에 제시한 시를 통해 책의 다음 내용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면 여러모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CHAPTER 01 아동상담의 이해 15
  01 상담의 개념 15
  02 상담과정과 기술 31

CHAPTER 02 아동상담의 과정 41
  01 아동상담의 환경 42
  02 상담 의뢰 및 접수면접 단계 43
  03 초기단계 46
  04 중기단계 50
  05 종결단계 54

CHAPTER 03 아동상담자의 윤리와 자질 61
  01 아동상담자의 윤리 61
  02 아동상담자의 자질 66

CHAPTER 04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73
  01 성격의 기본 가정 74
  02 성격의 구조 77
  03 발달단계 78
  04 상담의 철학적 가정 및 목표 83
  05 상담과정 및 기술 85
  06 평가 89

CHAPTER 05 대상관계 상담이론 93
  01 Melanie Klein의 아동 발달단계 95
  02 Margaret Mahler의 심리적 발달단계 96
  03 주요 개념 99
  04 상담의 목표 101
  05 상담의 기법 102

CHAPTER 06 개인심리학적 상담이론 109
  01 인간관 109
  02 주요 개념 111
  03 상담과정 118
  04 평가 120

CHAPTER 07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123
  01 주요 개념 124
  02 상담의 철학적 가정 129
  03 상담의 발전단계 및 특징 129
  04 상담의 목표 및 과정 131
  05 상담의 한계 137
  06 평가 139

CHAPTER 08 행동주의적 상담이론 143
  01 주요 개념 143
  02 상담의 철학적 가정 147
  03 상담의 목표 및 과정 148
  04 상담기법 150
  05 평가 155

CHAPTER 09 인지정서행동적 상담이론 159
  01 주요 개념 159
  02 상담의 목표 162
  03 비합리적 신념의 유형 164
  04 상담과정 168
  05 상담기법 169
  06 평가 174

CHAPTER 10 현실치료적 상담이론 179
  01 주요 개념 179
  02 상담의 기본 전제 183
  03 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184
  04 상담 절차와 기법 185
  05 평가 190

CHAPTER 11 아동심리검사 195
  01 심리검사의 정의 196
  02 심리검사의 목적 200
  03 심리검사의 종류 206

CHAPTER 12 적응과 스트레스 241
  01 적응과 부적응 241
  02 적응과 문제행동의 지도 253
  03 스트레스와 적응 278

CHAPTER 13 특수아동의 상담 291
  01 특수아 상담의 의의 및 목적 291
  02 특수아의 평가 및 분류 294
  03 특수아 발생원인 298
  04 자폐아동의 이해와 상담 302
  05 정서장애 아동의 이해와 상담 307
  06 영재아동의 이해와 상담 311
  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이해와 상담 320
  08 특수한 문제를 지닌 아동의 상담 329
  09 특수아 상담자 335
  10 특수아 부모상담 339

CHAPTER 14 아동상담의 실제 347
  01 놀이치료 347
  02 미술치료 353
  03 음악치료 358
  04 독서치료 364

참고문헌 372
찾아보기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