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이 책을 발간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책의 핵심용어인 휴먼서비스조직, 인적자원개발, 슈퍼비전이 각각 정의하고 있는 목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휴먼서비스조직(Human Service Organization)은 인간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려고 운영되는 조직이다. 인적자원개발(HRD : Human Resource Development)이란 조직적 맥락에서 직원의 성장과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슈퍼비전은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책무성을 실현한다는 목적을 가진다. 인적자원개발의 전문영역은, 인적자원개발전문가와 전담부서를 두고 있는 영리조직으로부터 발전해 왔으며 슈퍼비전의 전문영역은, 심리나 상담 등의 임상분야와 사회복지조직에서 성장해 왔다. 우리 사회는 새롭게 등장하는 복잡한 인간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관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휴먼서비스조직이 존재한다. 휴먼서비스조직의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 정확한 수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휴먼서비스조직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틀림없으며 그 역할 또한 다양해지고 책무성도 강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처럼 다양해지고 책무성이 강조되는 휴먼서비스조직의 성과와 조직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실천을 수행하고 있는 직원, 즉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인적자원개발전문가 또는 전담부서가 없는 휴먼서비스조직과, 대학에서 휴먼서비스실천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에게 필요한 내용을 위주로 구성하였음을 밝힌다. 따라서 일반적인 기업과 같은 조직에서 실행되는 인적자원개발 전반을 다룬 것이 아니라 직원의 성장과 교육활동에 중점을 둔 인적자원개발에 초점을 두고 슈퍼비전관계와 실행을 위주로 다루고 있다. 책의 전체 구성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휴먼서비스조직에서 인적자원 개발하기”에서는 인적자원개발과 슈퍼비전에 대한 이해, 인적자원 개발의 3개 영역을 알아본다. 다음으로 “휴먼서비스조직에서 인적자원 역량 높이기”에서는 교육훈련과 학습조직화, 직무분석과 역량모델링, 경력개발과 직무평가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휴먼서비스조직에서 슈퍼비전 적용하기”에서는 슈퍼비전의 구성과 기능,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 이해, 슈퍼비전 관계, 슈퍼비전의 과정, 슈퍼비전의 방법 활용 등 현장에서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또한 책의 각 장에는 ‘무엇을 배울까요?’, ‘생각해 볼까요?’, ‘연습해 볼까요?’, ‘정리해 볼까요?’의 코너들을 통해 현장실천가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집필과정에서 저자들의 가장 큰 고민은, ‘휴먼서비스조직에서 비교적 생소한 인적자원개발이라는 용어를 슈퍼비전이라는 전문용어와 어떻게 잘 융합할 것인가?’이었다. 서로 다른 전문영역으로 인해 비슷한 듯 다른 접근과 절차 그리고 용어의 차이, 이를 그냥 두는 것에 대한 혼란과 이를 통일하는 것에 대한 부담 사이에서 많은 고민과 논의를 하며 집필과정을 보냈다. 아직도 결정 못한 일부 내용들에 대해서는 이 책을 참고한 현장실천가들과 대학 교수자들의 조언으로 완성되길 기대하며 숙제로 남겨둔 채 발간하고자 한다. 이 책이 어느 조직보다도 인적자원 역량이 중요한 휴먼서비스조직의 인적자원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작은 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빠듯한 일정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이 책이 세상에 빛을 볼 수 있도록 허락해 준 도서출판 공동체의 김동훈 대표를 비롯, 이 책의 필요에 동감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은 김동근 전무 및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9년 무더위 속에서 저자 일동
PART 01 휴먼서비스조직에서 인적자원 개발하기 11
CHAPTER 01 인적자원개발과 슈퍼비전 맛보기 13
1. 휴먼서비스조직의 이해 13
1) 휴먼서비스조직의 정의 13
2) 휴먼서비스조직의 특성 14
2. 휴먼서비스조직에서의 인적자원개발 16
1) 인적자원개발의 개요 16
2) 인적자원개발의 정의 18
3) 인적자원개발의 목적과 목표 19
4) 인적자원개발의 가치 21
5)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21
3. 휴먼서비스조직에서의 슈퍼비전 24
1) 슈퍼비전의 정의 24
2) 슈퍼비전의 목적과 목표 25
3) 슈퍼비전의 필요성 26
4) 슈퍼비전의 가치와 윤리 28
CHAPTER 02 인적자원개발의 영역 살펴보기 31
1. 개인개발 32
1) 개인개발 차원의 학습 33
2) 개인개발 프로그램 34
2. 경력개발 40
1) 경력개발의 과정 40
2)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성공 원칙 41
3) 경력개발 프로그램 42
3. 조직개발 50
1) 조직개발의 특징 50
2) 조직개발의 변화 51
3) 조직개발 프로그램 53
PART 02 휴먼서비스조직에서 인적자원 역량 높이기 59
CHAPTER 03 교육훈련과 학습조직화 시작하기 61
1. 교육훈련 61
1) 교육훈련의 의미와 목적 61
2) 교육훈련과정 개발 62
3) 교육훈련의 방법과 유형 65
2. 학습조직화 72
1) 학습조직의 의미와 요소 72
2) 학습조직화 구축 사례 77
CHAPTER 04 직무분석과 역량모델링 적용하기 83
1. 직무분석 83
1) 직무분석의 정의 83
2) 직무분석의 의의와 활용 85
3) 직무분석의 과정과 절차 87
4) 직무분석의 결과물 90
2. 역량모델링 94
1) 인재상의 의미와 의의 94
2) 역량의 의미 95
3) 역량모델의 의미와 중요성 96
4) 역량모델의 개발과정과 방법 97
5) 역량모델링 사례 98
CHAPTER 05 경력개발과 직무평가 실시하기 103
1. 경력개발 103
1) 휴먼서비스조직 경력개발의 중요성 103
2) 경력개발 및 경력경로 모형 104
3) 경력개발 사례 108
4) 휴먼서비스조직 경력개발 인식 현황과 향후 방향 110
5) 경력개발을 위한 자기개발계획 수립 114
2. 직무평가 117
1) 직무평가의 정의와 의의 117
2) 직무평가의 내용 119
3) 직무평가 방법과 평가오류 121
4) 평가과정 123
5) 직무평가 내용과 서식 예시 125
PART 03 휴먼서비스조직에서 슈퍼비전 적용하기 / 129
CHAPTER 06 슈퍼비전 알아가기 131
1. 슈퍼비전의 구성요소와 성공요인 131
1) 슈퍼비전의 구성요소 131
2) 슈퍼비전의 성공요인 134
2. 슈퍼비전의 기능 137
1) 행정적 슈퍼비전 138
2) 교육적 슈퍼비전 141
3) 지지적 슈퍼비전 145
4) 중재적 슈퍼비전 150
CHAPTER 07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 이해하기 155
1. 슈퍼바이저의 역량과 역할 155
1) 슈퍼바이저의 지식 및 기술 155
2) 슈퍼바이저의 가치와 태도 157
3) 슈퍼바이저의 직무와 역할 159
4) 슈퍼바이저의 경험 163
2. 슈퍼바이지의 역량과 권리 166
1) 슈퍼바이지의 지식 및 기술 166
2) 슈퍼바이지의 태도 167
3) 슈퍼바이지의 자기지식 개발 168
4) 슈퍼바이지의 권리와 책임 171
CHAPTER 08 슈퍼비전 관계 제대로 보기 175
1. 효과적인 슈퍼비전 관계 175
1) 슈퍼비전 관계의 중요성 175
2) 슈퍼비전 단계별 관계 176
3) 슈퍼비전 관계에서의 권력과 권위 177
2.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의 스타일 181
1) 슈퍼비전 스타일 181
2) 슈퍼바이지의 상호작용 반응 186
3. 슈퍼비전 관계에서의 이슈 189
1) 슈퍼비전 관계정립 문제 189
2) 슈퍼바이지의 규정위반 190
3) 슈퍼바이저의 능력부족 또는 역할태만 191
4) 중간관리자로서의 슈퍼바이저 역할갈등 192
CHAPTER 09 슈퍼비전 과정 따라가기 195
1. 슈퍼비전 과정 및 단계 개요 195
1) 슈퍼비전 과정 및 단계에 관한 모델 195
2. 슈퍼비전 단계별 과업 199
1) 슈퍼비전 실행을 위한 준비단계 199
2) 슈퍼비전 시작단계 202
3) 슈퍼비전 진행단계 207
4) 슈퍼비전 종결 및 평가단계 210
CHAPTER 10 슈퍼비전 방법 활용하기 215
1. 공식적 비공식적 슈퍼비전 215
2. 슈퍼비전 유형 216
1) 개별슈퍼비전 217
2) 집단슈퍼비전 217
3) 동료슈퍼비전 219
3. 슈퍼비전 기법 221
1) 사례활용방법 221
2) 관찰방법 223
3) 서면기록과 검토 224
4) 학습촉진기법 225
5) 실황 슈퍼비전 228
6) 슈퍼비전 사후지도(추적활동):슈퍼비전 후의 관찰․ 관리․ 확인 229
■ 참고문헌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