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본 교재는 대학과 전문대학에서 교육학 및 유아교육 등 교직과목을 이수하 는 학생은 물론 일반인에게도 보탬이 되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 대한 기초 적인 교재로 구성하고 싶었던 것이 필자의 관심이었다.

  다년간 전문대학의 유아교육학과에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 대한 교직과 목을 강의를 하면서 여러 교재를 택하였다. 각 교재들은 각기 장점과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교재 간의 내용에서 차이가 나고, 강조점의 차이가 많아서 전 문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교직과목을 가르치기 위한 일반적인 교재로는 부족 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교직과목으로서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 대한 교과 서를 구성하고자 생각하였다. 특히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근무하면서 느 껴왔던 것 중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은 너무 딱딱하고 지루한 학문’이라고 하 는 학생들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개론서를 구상해 보자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전반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 대한 기초적인 학문과 교수-학습방법 이론 을 다루었고 후반에는 유아교육학과에서 필요한 교수-학습방법과 학습지도 안에 대한 실제를 다루었다.
  미진할 점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나 선배, 동료, 후배들의 지도 및 조언을 바란다.
  끝으로 출판계의 불황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출판을 맡아준 공동체 출판사 사장님과 관계자 여러분에게 심심한 사의 를 표한다.


2019년 저 자

 

Chapter 01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9

제1절 교육방법 11
   1. 교육방법의 개념  11
   2. 교육방법이론의 발달 12
   3. 교수, 학습, 수업의 개념 15
   4. 교수, 학습, 수업의 법칙 19
   5. 교수, 학습, 수업의 원리 23
제2절 교육공학 26
   1. 교육공학의 정의 26
   2. 교육공학에 대한 종합적인 개념과 전망 29
   3. 제4차 산업혁명 32
   4. 현대 미디어활용수업 33


Chapter 02  헤르바르트의 교수법과 강의법 39

제1절 헤르바르트의 교수법 41
   1. 교육사상 41
   2. 교육목적 42
   3. 교육방법 43
제2절 강의법 46
   1. 강의법의 성격 46
   2. 강의법 이론 48
   3. 강의의 실제 50


Chapter 03 듀이의 문제해결학습과 프로젝트 접근법 53

제1절 듀이의 문제해결학습 55
   1. 학습지도론의 기본 관점 55
   2. 문제해결학습 59
제2절 프로젝트 접근법 64
   1. 프로젝트 접근법의 정의 64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65
   3. 프로젝트의 특징 66
   4. 프로젝트 접근법의 단계 66
   5. 프로젝트 학습 공동체를 통한 프로젝트 접근법 적용 사례 68


Chapter 04 브루너의 발견학습과 탐구학습 69

제1절 브루너의 발견학습 71
   1. 브루너의 수업이론 71
   2. 발견학습의 의의 75
   3. 발견학습의 과정 76
   4. 발견학습의 장단점 78
   5. 발견학습의 교실에서의 적용 79
제2절 탐구학습 81
   1. 탐구학습의 단계 82
   2. 탐구학습의 사례 83


Chapter 05 블룸의 완전학습모형과 플립러닝 85

제1절 블룸의 완전학습 87
   1. 완전학습의 개념 87
   2.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88
   3. 블룸의 완전학습모형의 특징 92
   4. 완전학습모형의 수업전략 95
   5. 완전학습모형의 교수절차 95
   6. 완전학습의 결과 98
   7. 완전학습을 위한 과제 99
제2절 플립러닝 100


Chapter 06 개별화 교육 및 학습효과 105

제1절 개별화 교육 107
   1. 개별화 교육의 개념 107
   2. 개별화 교육의 필요성 107
   3. 개별화 교육의 형태 108
   4. 개별화 교육의 단계 110
   5. 개별화 교육에서 교사의 유의점 110
제2절 개별화 교육에 미치는 효과 111
   1. 후광효과 111
   2. 피그말리온 효과 113
   3. 스티그마 효과 114
   4. 위약효과 115
   5. 나비효과 117
   6. 머피의 법칙 118
   7. 줄리의 법칙 119
   8. 샐리의 법칙 120
   9. 연습의 법칙 121
   10. 효과의 법칙 121
   11. 준비성의 법칙 122
   12. 파킨슨 법칙 122


Chapter 07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125

1.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개념 127
2.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에서 고려해야 할 기본 가정 128
3.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원리 129
4.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에서의 교사의 역할 136
5.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활동에서의 교사의 자세, 전략 및 역할 141
6.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144


Chapter 08 유아의 창의성(창의력) 개발을 위한 좋은 수업 145

1. 창의성의 개념 및 정의 147
2. 창의적 사고의 특성 149
3. 창의력 개발을 위한 전략 151
4. 유아의 창의성(창의력) 개발을 위한 좋은 수업의 조건 154
5. 창의적 발문 156
6.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교사의 질문 방법 159
7. 창의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 및 환경구성 162
8. 교사-유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165
9.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모형 168


Chapter 09 유아교육을 위한 교재⋅교구의 활용 175

1. 교재⋅교구의 개념, 중요성, 발달 177
2. 교재ㆍ교구의 제작 183

3. 교재⋅교구의 선정, 제시, 배열, 보관 188
4. 멀티미디어 교재ㆍ교구의 활용 197
5. 교재⋅교구의 제작 및 활용 실제 205
6. 교재⋅교구의 활용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 209


Chapter 10 유아교육을 위한 영상미디어 활용 수업 213

1. 미디어(방송) 교육에서 무엇을 기대할 것인가? 215
2. 공영 TV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224
3. 미디어(방송)활용수업 학습활동 지도계획안의 작성 224
4. 미디어(방송)활용수업 학습활동 지도계획안 모형 연구 229
5. 미디어(방송)활용수업 학습활동 지도계획안 예시 239


Chapter 11 학습지도안 243

가을을 만나요 245


■ 참고문헌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