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장애 영유아 교사를 위한 

특수아 진단 및 평가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중요한 역할 중에 하나는 교육의 시발점이자 기초선인 발달 진단을 알고 실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영유아가 연령에 맞게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지 아닌지, 발달에서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적절한 대처 방안을 세우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영유아 발달에 대한 진단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이런 목적에서 국가에서는 ‘영유아 건강검진’ 제도를 통해 9개월부터 발달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발달 진단은 약 50%의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 번째 단계로 영유아와 매일 함께하는 교사들은 관찰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서 발달 진단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작업을 수행해 나가야 합니다. 또한 발달 시기별로 반복되는 발달평가에 근거해서 적합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세 번째 단계로 발달에 대한 모니터링 평가도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진단 평가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본 교재는 영유아를 가르치는 교사로서 알아야 하는 진단 평가 관련 이론과 실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려고 합니다. 본 교재는 심리검사자용이 아니기 때문에 이론 부분에는 교사로서 공식적인 진단 평가를 시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내용을 담으려고 합니다. 실제에서는 교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관찰과 면담 외에 검사 도구를 활용해서 진단 평가하는 방법을 위주로 다루려고 합니다. 여기서 검사 도구는 교사가 다루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 심리검사가 아니라 교사도 쉽게 시행해 볼 수 있는 도구로 한정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출간된 지 오래되었더라도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검사 도구를 소개하려고 하였습니다. 한편으로, 좀 더 복잡하고 어려운 도구를 제시하기도 했는데 이런 경우는 교사가 검사 결과의 의미를 이해하고 교육 계획에 참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도구라고 판단한 사례에 해당합니다.
  진단 평가를 시행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해당 영유아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합한 교육(중재)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시행하면서 반복적으로 진단 평가를 시행하여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있습니다. 진단 평가는 교육의 시작인 동시에 중간 효과 측정자인 동시에 최종 성과 입증 활동이기도 합니다. 교사들은 더 잘 가르치기 위해서 교육의 진행 과정 내에서 더 정확한 진단 평가자가 되어야 합니다.
이런 능력은 여러 차례의 시행을 통해서 더 정교하게 습득되고 숙달되리라고 생각됩니다. 교사가 진단 평가자로 입문하고 성장해 나가는 데 본 교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십 년 현장지기인 강지현 선생님과 함께하는 작업 가운데 그동안 장애 영유아 및 그 가족과 일한 내용들을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시간적으로 어려운 중에 함께해 준 강지현 선생님, 본 교재의 초교 수정을 봐준 유연주 의정부 발달장애지원 센터장님, 출판해 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2019년 8월 7일(음력 7월 7일)
대표 저자 조윤경 드림

 


PART 1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기초


Chapter 1.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개요 11

1. 진단 평가의 정의 11
2. 진단 평가의 목적에 따른 단계 13
3. 장애 영유아 진단의 주요 사항 26


Chapter 2.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방법 31

1. 진단 특성에 따른 진단 방법의 유형 31
2. 공식적 진단 38
3. 비공식적 진단 : 관찰과 면담 방법 41


PART 2 장애 영유아 가족참여와 가족 진단


Chapter 3.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과정에서의 가족참여 63

1.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과정에서 가족참여의 필요성 63
2.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과정에서 가족참여를 위한 방안 64
3.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과정에서 가족참여를 통한 진단자료 수집 66


Chapter 4. 장애 영유아 가족진단 79

1. 생태지도 79
2. 사회적 지원 목록 82
3. 가족욕구조사서 83
4. 부모–아동 상호작용 행동 평가 86
5. 한국판 부모양육 효능감 검사 90
6. 한국판 부모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 97
7. 가족 적응성과 응집성 평가 척도 102
8. 장애가족 삶의 질 척도 105


PART 3 장애 영유아 관련 유형별 진단 평가 도구


Chapter 5. 장애 영유아 선별진단 111

1. 한국 영유아 발달 선별검사 112
2. 영아 선별 교육진단 검사 121
3. 부모 작성형 유아모니터링 체계 124
4. 사회성 능력 : 한국판 부모 작성형 유아 사회 정서 모니터링 체계 129
5. 한국형 영유아 기질 및 비전형 행동 척도 133


Chapter 6. 장애 영유아 발달진단 141

1. 아동발달검사 142
2. 포테이지 아동발달지침서 148
3. 장애유아를 위한 캐롤라이나 교육과정 153
4. 출생에서 5세까지 발달검사 162
5. 발달 레인보우 168
6. 기타 발달 진단 검사 171


Chapter 7. 장애 영유아 지능 및 학습 진단 179

1. 지능검사 180
2. 학습능력검사 205


Chapter 8. 장애 영유아 정서 및 행동 진단 219

1. 아동행동 체크리스트 219
2. 밴더빌트 아동 행동 척도 226
3.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230
4. 이화-자폐아동 행동발달 평가 237
5. 환경 행동적 평가 240


Chapter 9. 장애 영유아 언어진단 251

1. 영ㆍ유아 언어발달 검사 252
2.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264
3.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 277
4. 언어 문제 해결력 검사 285
5.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291
6. 우리말 조음ㆍ음운 평가 297


PART 4 진단 평가 요약하기


Chapter 10. 진단 평가 결과 종합 및 지원계획 수립 315

1. 진단 평가 종합 결과서 작성 목적 315
2. 진단 평가 종합 결과서의 구성 및 내용 317
3. 교수 및 지원 계획 수립을 위한 진단결과의 활용 333
4. 진단 평가 결과 종합 및 지원 수립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자세 336


■ 부록 : 진단도구 구입 관련 자료 340
■ 찾아보기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