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육과정의 이해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학교교육 현장이나 교육 활동이 전개되는 곳에서의 가장 본질적인 과제는 교육대상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를 결정하고 그 과정을 확인하는 일이다. 교육과정은 이처럼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에 관하여 탐구하는 영역이다. 지금까지 교육과정은 대학의 교직과목 중의 한 과목으로 소개되어 왔으므로 실제로는 이론적인 면에 치중된 채 다소 소홀하게 취급되어 온 듯하다.

  현대사회는 교육에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또한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즉, 교육 활동은 교사인 성인이 학습자가 지닌 독특한 특성과 권리를 인정하며 한 사람의 인격체로서의 개인을 존중하고 그가 가지고 있는 흥미와 관심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전문성을 요구받는 교사 또한 교육과정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역사와 함께 변화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 나아가서 미래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본 저서는 교육과정이 지녀야 하는 교육철학적인 면을 파악하면서 미래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모색하고자 교육과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는 교육 현상이나 교육문제에 대하여 사고하고 비판 ․ 분석하여 교육에 대한 지혜와 안목을 넓히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왜냐하면 교육과정 문제의 배경에는 철학적인 질문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을 집필하면서 역점을 둔 것은 첫째, 가능한 한 전문용어를 알기 쉽게 풀어서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육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본 저서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제 교육의 현장에서 교사가 적용하기 쉽도록 교육과정이 지닌 의미를 제시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교사 임용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핵심적인 내용과 주제를 가능한 한 모두 정리하였다. 넷째, 대학에서 한 학기 강의와 수업에 적합하도록 내용을 배열하여 제시하였다.
  본 저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의 구성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우선 교육과정의 기초적인 내용과 개념을 해설하였으며, 교육과정의 철학적인 배경에 대하여 변천 과정을 따라 정리하였다. 이어서 사회문화의 변화와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교육과정의 유형에 관한 내용, 그리고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개정된 내용,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수-학습 및 수업 전략, 교육과정의 운영과 평가, 학습자와 교사의 특성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은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미 나와 있는 교육과정에 관련된 다른 책들과 차별된다. 교육평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교육과정 분야에 지면을 많이 할애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실제적인 면을 부각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의 특징인 단위학교 중심의 전문적이고 자율적인 학교 교육과정과 이를 반영한 최신 교육과정 이론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하였다.
  엄청난 변화의 모습으로 흐르는 시대와 함께 교육과정은 변화하고 있다. 우리는 이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하여 생각하고 염려하면서 또한 적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필연적으로 맞아야 할 교육과정의 변화는 우리의 교육 전반에 대하여 새로운 각오와 새로운 철학을 요구하고 있다.
  이 책은 앞서 출판되었던 『교육과정의 이해』의 개정판으로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육과정의 이해』라고 제목을 바꿔보았다. 이 개정판에는 앞서 게재되었던 내용에 3개의 내용을 추가하게 되었다.
추가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면, 제7장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추가하였는데,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이 당연히 삽입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음의 개정 교육과정이 나올 때까지 가장 유력한 교육과정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제12장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에서는 앞의 내용에 이어서 다문화 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 다문화 교육은 현재 우리 사회의 교육현장에서 크게 이슈가 되는 내용이면서 앞으로 점점 더 관심의 폭이 확대될 것이 예상되는 바이다. 이어서 제15장 “4차 산업혁명과 교육과정”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현재 우리나라 사회변화의 진로 방향과 교육과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부분이 되겠다.
  미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완전하고 희망찬 대한민국을 실행하기 위하여 교육의 중요성이 새삼 언급되는 현시점에서 교육과정을 새로운 관점으로 조망하여 개정판을 내는 것은 크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다시 강조하는 바이지만 교육과정은 교육 활동의 본질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교육학 지식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심이 되는 분야이면서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모쪼록 개정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육과정의 이해』가 교육학을 연구하고 미래를 설계하며 참교육과 사회복지를 고민하는 학습자 모두에게 크게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그러나 아직도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의 측면에 관해서는 다소 미약하다고 여겨진다. 앞으로 미진한 부분에 대한 보완과 계속적인 연구를 약속하며 여러 독자들의 더 많은 관심과 지도를 부탁드린다.
  끝으로 이 글이 교육과정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교육학자와 교육대학원생, 교사와 교육과 학생들, 교사 지원자, 그리고 학부모와 이에 관하여 연구하는 모든 분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격려와 도움을 아끼지 않았던 주위의 사랑하는 지인들과 가족들, 그리고 이 책을 출판해 주신 공동체 출판사의 김동훈 사장님께 감사의 뜻을 전하는 바이다.


2019년 8월
저자 일동

 

CHAPTER 01 교육과정의 기초 11

1. 교육과정의 개념 13
2. 교육과정의 실행상의 유형 17
3. 교육과정 활동 22


CHAPTER 02 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 25

1. 교육과정의 변천 27
2. 현대의 교육과정 33
3. 현대의 사회변화와 교육과정 41


CHAPTER 03 교육과정 이론의 확립 45

1. 초기의 교육과정의 관점 47
2. 타일러의 목표중심 교육과정 이론 50
3. 브루너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이론 57


CHAPTER 04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65

1. 재개념화 운동의 태동 67
2. 전통주의에 대한 비판 68
3. 재개념주의의 탐구 영역 69


CHAPTER 05 교육과정의 유형 83

1. 교과중심 교육과정 85
2. 경험중심 교육과정 87
3. 학문중심 교육과정 89
4. 인간중심 교육과정 90


CHAPTER 06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95

1. 실학파와 개화기의 교육과정 97
2. 일제 식민지시대의 교육과정 101
3. 해방 직후의 초 중등 교육과정 125
4. 교육과정의 제정과 개정 129


CHAPTER 07 제7차 교육과정과 최근 개정 교육과정 137

1. 제7차 교육과정 139
2. 2007 개정 교육과정 147
3. 2009 개정 교육과정 155
4. 2015 개정 교육과정 159


CHAPTER 08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165

1. 1969년 이전의 유치원 교육과정 167
2. 유치원 교육과정의 제정과 개정 169


CHAPTER 09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 179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181
2. 교육과정 개발의 유형 182
3. 교육과정 개발모형 186


CHAPTER 10 교육과정의 구성과 목표설정 207

1.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209
2. 교육목표의 설정 211


CHAPTER 11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225

1. 교육내용의 의미 227
2. 교육내용의 선정 228
3.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234
4. 단원의 구성 238


CHAPTER 12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241

1. 학습경험의 선정 243
2. 학습경험과 수업모형 조직 248
3. 다문화 교육과정 모형 251
4. 창의성 개발 교육과정 261


CHAPTER 13 교육과정의 운영과 평가 277

1. 교육과정 운영 279
2. 교육과정 평가 286


CHAPTER 14 학습자와 교사 297

1. 학습자의 변인 299
2. 교사의 유형적 측면 303


CHAPTER 15 4차 산업혁명과 교육과정 309

1. 4차 산업혁명의 의미 311
2. 4차 산업혁명의 특성 314
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교육과정 315


■ 참고문헌 330
■ 찾아보기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