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많이 부족하지만 학생들 눈높이에 맞게 쉽게 교재를 만들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집필을 결심하였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여러 역량들 중에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기술적 역량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교과목의 경우 대부분 이론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어, 예비사회복지사인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의 기획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실기 지도를 받을 기회가 쉽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과 실기수업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내용의 교재가 필요하였고 부족하지만 작은 실천을 해보자는 마음으로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가능하면 쉽고 명료하게 내용을 담아보려 노력하였다.
본 서는 총 3부 10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시중에 출판된 교과서보다 내용의 양을 대폭 줄였고 필요한 내용만을 담았다. 또한 강의를 진행하시는 교수님들이 이론과 실기를 15~16주간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하기에 적절하고 적당한 내용과 양을 담으려 노력하였다.
부족하지만 본 서가 예비사회복지사인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더불어 로직모델을 바탕으로 프로포절 작성기술을 익히는 데 기초석이 되길 바란다. 끝으로 책이 출간되기까지 도움을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2019년 10월 복사골 소사캠퍼스 연구실에서
대표 저자 임중철
PART 0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이해
CHAPTER 01❙사회복지와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의 이해 11
1. 사회복지와 프로그램의 개념 11
1) 사회복지의 개념 11
2) 프로그램의 개념 13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개념과 의의 15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개념 15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의의 17
3)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성격 17
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개념 19
1) 프로그램 개발의 의의 19
2)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과 의의 21
3) 프로그램 평가의 기본 원칙 25
CHAPTER 02❙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접근방법과 개입이론 27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접근방법 27
1) 기술적 접근방법 27
2) 사회· 정치적 접근방법 28
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전통적 개입이론 30
1)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30
2) 개별개입모델 31
3) 집단개입모델 33
4) 지역사회조직개입모델 35
3.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통합적 개입이론 38
1) 임파워먼트모델 38
2) 4체계모델 39
3) 강점관점모델 40
4) 해결중심모델 41
5) 생태체계이론 41
CHAPTER 03❙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43
1. 거시적 관점에서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구성요소 43
2. 체계적 관점에서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구성요소 45
3. 사회복지 프로그램 설계의 구성요소 46
CHAPTER 04❙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특성과 유형 및 기획과정 49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특성 및 필요성 49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특성 49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필요성 50
3)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조건 51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유형 및 기획과정 53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유형 53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정 54
CHAPTER 05❙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성과관리 57
1. 성과측정의 개념 57
2. 성과측정의 방법 58
1) 효과성 측정 58
2) 효율성 측정 58
3) 품질 측정 59
4) 성과측정 시 고려 사항 60
CHAPTER 06❙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책무성과 효과성 63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책무성 63
1) 책무성 요구의 배경 63
2) 책무성의 개념 및 유형 64
3) 사회복지의 이념과 가치 65
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성 69
1) 사회복지 프로그램 효과성의 개념과 의의 69
PART 02 사회복지 프로그램 적용 모델의 이해
CHAPTER 07❙체계이론과 로직모델의 이해 73
1. 체계이론의 개념 73
1) 체계이론의 개념 및 프로그램 구성요소 73
2) 체계이론적 관점에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 74
2. 로직모델의 개념과 구성요소 76
1) 로직모델의 개념 76
2) 로직모델의 구성요소 78
3. 전통적 서비스 프로그램 모델과 로직모델 비교 81
1) 전통적 서비스 프로그램 모델 81
2) 전통적 서비스 프로그램 모델과 로직모델 비교 81
CHAPTER 08❙사례적용을 통한 로직모델 이해 83
1. 로직모델의 사례적용 83
2. 좋은 프로그램의 조건 88
PART 0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포절 작성 방법
CHAPTER 09❙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93
1. 프로그램명 선정 93
1) 프로그램명 구성요소 93
2) 프로그램명 구성요소 분석 실습 97
2. 문제 확인 및 사업 필요성 103
1) 문제 확인 103
2) 욕구파악 114
3) 사업의 필요성 123
3. 대상자 선정 128
1)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과정 128
4. 목적과 목표 설정 139
1) 목적과 목표의 개념 139
2) 목표의 기능 및 유형 141
5. 프로그램 활동 내용 구성 146
1) 프로그램 세부 활동 146
2) 프로그램 세부 활동 실제 사례 149
6. 예산수립 155
1) 예산과 예산계획 수립 155
2) 사회복지 재원의 종류 156
3) 프로그램 예산 편성 159
4) 예산 및 결산 보고 161
7. 평가 및 향후 계획 164
1)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 164
2)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166
3)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167
4) 향후 계획 168
CHAPTER 10❙프로포절 작성 방법 171
1. 프로포절 개요 171
2. 프로포절 작성 전 유의 사항 173
3. 프로포절 작성 방법 요약 174
1) 성과중심형 174
2) 성과확산형 174
3) 산출중심형 175
4) 기능보강형 175
■ 부 록 199
부록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
부록 2. 삼성복지재단 220
부록 3. 아산사회복지재단 229
부록 4. KT&G 복지재단 236
부록 5. 중부재단 240
부록 6. 농어촌희망재단 243
부록 7. 재단법인 바보의 나눔 244
부록 8. 한국지엠한마음재단 245
부록 9. 한국타이어나눔재단 246
부록 10. KDB나눔재단 247
■ 참고문헌 248
■ 찾아보기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