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현장실습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정정합니다.
본서 63페이지
4)근무지 실습 - 본인 근무지에서는 실습이 불가능하다(사회복지사협회 권고사항)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교육과정의 하나로서, 사회복지학뿐만 아니라 의학이나 간호학, 심리학과 같은 원조 전문직에서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천학문이다. 사회복지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세계의 모든 대학들은 학생들이 지식을 습득하고 실천현장에서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학과와 실습교육을 동시에 수행하는 통합된 교과과정을 제공하고 있다(Kerson, 2014; Cavazos, 1996). 사회복지 실습생들은 학교에서는 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가치, 그리고 윤리적인 행동, 특정 지식과 과학적인 실무기술을 배우며, 현장에서는 학교에서 배운 것들을 실제 상황에 적용시키는 실무경험을 하게 된다.
  실습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실습생들이 실습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습득하고 현장감을 익히는 것이다.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은 교육을 통하여 개념적 지식을 실제에 적용시켜 그 진의를 터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천과정에서 얻게 되는 경험과 관찰에 비추어 기존 지식을 다져나가거나 재확립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질 수 있게 하며, 학교와 현장교육의 병행을 통하여 전문적인 사회복지교육을 도울 수 있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학교수업에서 학습한 이론을 현장에 접목하는 공식적인 훈련을 통하여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지식·기술·태도를 습득하는 실천적 교과목이다. 현장실습은 사회복지 이론을 실질적으로 적용해 보는 기회가 될 뿐 아니라, 실습생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하게 하며, 나아가 사회복지에 대한 정체성 함양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학생의 전공 진로에 있어 절대적 중요성을 가진 실천교과목이라 하겠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준비된 사회복지사를 길러내는 사회복지 전공 교육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현장에서의 실습이야말로 사회복지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사회복지사가 전문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중요한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사회복지를 전공하여 자격증을 따려는 학생들이나 일반인들 누구나 보다 전문화된 교재를 통하여 실질적인 학습이 되도록 ‘제대로’ 된 사회복지현장학습의 길잡이를 만나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보다 실제적인 학습지도의 필요성에 따라 이 책은 먼저 실습생과 기관이 알아야 할 현장실습 Q & A를 통해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 질문사항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5개 part에 총 22장의 내용을 수록하였다. 첫 번째 part로 사회복지현장실습 총론은 제1장에서 제6장으로 구성되어 사회복지교육과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전반적인 이해와 실천의 장, 그리고 현재 각국의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관련 기준, 분류와 지도, 사회복지시설 실습을 실었다. 두 번째 part는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과 현장실습교육으로, 제7장에서 제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핵심내용으로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슈퍼비전,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 내용,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윤리와 역할 및 자세, 그리고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실습생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들과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사회복지현장 시설에 대한 part로, 제11장에서 제1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part에서는 현장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필자가 다년간의 현장실습과목을 강의하면서 학생들과 일반인들이 이해를 하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실어 현장관리자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감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사회복지현장의 시설현황, 시설 종사자 관리, 시설의 행정처분과 시설평가, 사회복무제도, 사회복지시설 업무의 전자화 시책, 사회복지시설 근로기준법,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의 재무·회계규칙을 수록하였다. 네 번째 part는 사회복지현장 실습일지 작성과 프로포절로 제18장에서 제1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part
는 현장 취업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강의 요청이 들어온 프로포절 작성법에 대하여 프로그램 제안서 실례를 들어 현장감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왔다. 다섯 번째 part는 사회복지현장실습 종결과 평가 그리고 취업전략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 종결 및 평가 단계, 사회복지학업의 졸업과 취업전략을 수록하였다. 끝으로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후 더 심도 있는 과정을 원하는 분들을 위해 사회복지사의 다양한 직업세계와 첫 직장에서의 성공적인 시작 방법으로 본 책을 마무리하였다.
  이 책은 실습을 준비하고 실습하는 전문대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사회복지 관련 기관 근무자, 그리고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실습생 입장에서 집필하였다. 그리고 이 책은 실습생에게는 가장 기본적이지만 학교 교수나 슈퍼바이저도 잘 다루어 주지 않는 사회복지현장의 시설현황과 프로포절 작성법을 소개하여 실습생 스스로가 실습을 주도적으로 해갈 수 있는 임파워먼트에 중점을 두었다.
  이 책과 더불어 실습준비를 철저히 하여 현장에서 준비된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역할을 다하길 기대한다.

대표저자 이원주


 

사회복지현장실습 : 실습생과 기관이 알아야 할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Q&A 14


PART 01 사회복지현장실습 총론


제1장 사회복지교육과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이해

제1절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개념 21
제2절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과정 22
제3절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주요 내용 26
제4절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27


제2장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천의 장

제1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 30
제2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31
제3절 사회복지실습기관과 교육기관의 요건과 역할 33


제3장 각국의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

제1절 각국의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38
제2절 각국의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 비교 45
제3절 한국 사회복지현장실습 체계의 개선방향 48


제4장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기준

제1절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을 위한 사회복지현장실습 50
제2절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과 실습기관 선정 59
제3절 사회복지현장실습시간 기준과 유형 61
제4절 실습 관련 주요 제출서류 목록 65
제5절 숙식, 보건관리, 준비물에 관한 사항 68


제5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분류와 지도

제1절 사회복지현장실습 분류 69
제2절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 74


제6장 사회복지시설 실습

제1절 사회복지시설과 실습지도 78
제2절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 작성 85
제3절 사회복지현장실습 진행절차 86
제4절 사회복지현장실습 단계별 정리 89


PART 02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과 현장실습교육


제7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슈퍼비전

제1절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과 필요성 95
제2절 슈퍼바이지와 슈퍼바이저의 반응 108
제3절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의 원칙 116
제4절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 그리고 슈퍼비전의 관계 119
제5절 실습 슈퍼비전 활동과 관련된 논의점 120


제8장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 내용

제1절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오리엔테이션 123
제2절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 분야 125
제3절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전공과목 및 학점 129


제9장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윤리와 역할 및 자세

제1절 사회복지사의 윤리 130
제2절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역할 135
제3절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자세 136


제10장 실습생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처방안

제1절 실습생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들과 실습 스트레스 139
제2절 실습생의 권리 148
제3절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문제 149


PART 03 사회복지현장 시설


제11장 사회복지현장의 시설현황

제1절 사회복지시설의 정의 및 종류 161
제2절 사회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 167
제3절 시설운영비 지출 원칙 169
제4절 시설 생활자에 대한 인권 보호 170
제5절 사회복지시설 서비스 최저기준 172


제12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관리

제1절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채용 173
제2절 근로기준법 등 적용 관련 174
제3절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 175


제13장 사회복지시설 행정처분과 시설평가

제1절 행정처분 180
제2절 사회복지시설 평가 183


제14장 사회복무제도

제1절 사회복무제도의 의의 185
제2절 보건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 186


제15장 사회복지시설 업무의 전자화 시책

제1절 사회복지시설 업무의 전자화 189
제2절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활용 191


제16장 사회복지시설 근로기준법

제1절 근로기준법 총칙 201
제2절 근로계약 202


제17장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회계규칙

제1절 총 칙 206
제2절 예 산 206
제3절 결 산 209
제4절 회 계 211


PART 04 사회복지현장 실습일지 작성과 프로포절


제18장 실습일지 작성과 평가

제1절 실습생 프로파일 217
제2절 사회복지현장 실습일지 작성 220


제19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및 프로포절 작성법

제1절 프로포절 작성 232
제2절 The One Page Proposal 작성방법 240
제3절 프로포절 작성의 실제(예) 245


PART 05 사회복지현장실습 종결과 평가 그리고 취업전략


제20장 사회복지현장실습 종결 및 평가 단계

제1절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경험 265
제2절 사회복지사 자격증 신청 273


제21장 사회복지학업의 졸업과 취업전략

제1절 노동시장 변화와 취업전략 277
제2절 면접 준비 기간에 해야 할 사항 285
제3절 면접 행동 요령 286


제22장 사회복지사의 직업세계

제1절 유망 전문자격 및 자격증 획득 289
제2절 첫 직장에서의 성공적인 시작 306


참고문헌 310
찾아보기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