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최근 우리 사회는 평균수명의 증가와 가족구조의 변화, 복지욕구의 확대 등으로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경제소득의 증가와 그동안 국가주도의 성장 위주 정책들이 진행되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지방화, 분권화, 정보화가 가속화되면서 지역 사회 주민들의 참여의식이 높아졌으며, 개인의 질적 변화 요구가 확대되었다.
특히 21세기는 삶의 질을 추구하는 시대라고 표현되고 있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교육의 역할이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교육에 접근하고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교육의 안내서와 지침서가 필요하다. 인공지능 시대의 최고의 교육은 무엇일까? 정년 없는 100세 시대를 어떻게 준비할까? 라는 문제 제기 속에 본 저자는 개개인과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고 인생 재도전을 위해서 생산적인 혁신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교육의 도전과 역할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교육이 왜 중요하고 필요한지를 인식하고 지역사회 주민들이 원하는 교육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사회교육에 관련된 학문분야의 체계 정립과 보다 새롭고 다양한 실천응용 분야의 개척을 위해서 집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본 교재를 출간하였다.
아울러 본 교재는 지역사회교육의 이해를 위해서 융합적인 학문적 이론을 시도하였고, 오늘날 지역사회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제시해야 하는지와 지역사회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접근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해 볼 때 본 교재의 주요 내용 체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부 지역사회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2부 지역사회교육의 응용, 제3부 지역사회교육의 실제로 크게 16장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로는 지역사회교육의 이론적 기초로서 지역사회교육의 함의,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교육의 발전, 지역사회개발의 과제와 성장과정, 지역사회와 지역교육, 지역재생과 지역성공 사례 등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제2부로는 지역사회교육의 응용으로서 주로 지역사회와 교육복지, 지역사회교육의 계획과 과정, 지역사회교육의 사례와 평생학습도시 등으로 나누어 총 3장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부로는 지역사회교육의 실제로서 지역사회문제의 분석과 지역사회복지의 전달체계,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과 지역사회조직의 역사, 지역사회 주민참여와 자원봉사활동의 과제, 지역사회와 환경교육, 지역사회와 평생교육, 지역사회교육과 노인상담교육, 지역사회교육과 성인학습교육, 한국의 지역사회교육의 발전과 과제 등 총 8장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또한 본 교재의 내용구성은 그동안 지역사회개발과 사회교육이라는 융합에 의해 지역사회교육론을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새롭게 접근해 보려고 시도하였지만 다소 부족하였다. 다음 기회 개정판을 통하여 실천영역을 수정 보완하고자 하며, 그동안 강의와 연구논문을 통해 모아놓은 자료와 기존 인터넷 자료와 관련 교재내용들을 분석하여 하나의 교재로 만들었다. 특히 사회복지와 평생교육 분야를 전공하는 모든 분들과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이 책의 내용에 대해 많은 비판과 충고를 제시해 주기를 바란다.
끝으로 이 교재가 출판되기까지 온갖 수고를 아끼지 않은 출판사와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드리며, 좋은 교재를 만들기 위해 많은 관심과 성원해 주신 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2019년 11월
임 구 원
PART 1 지역사회교육의 이론적 기초
Chapter 1. 지역사회교육의 함의
1. 지역사회교육의 이해 13
2. 지역사회교육의 필요성 19
3. 지역사회교육의 범위 20
Chapter 2.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교육의 발전
1. 지역사회개발의 개념과 원리 31
2.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복지 43
3. 지역발전과 교육발전 47
Chapter 3. 지역사회개발의 과제와 성장과정
1. 사회교육의 역사와 지역사회개발의 과제 내용 55
2. 지역사회개발의 성장과정 65
3. 종교가 지역사회발전에 미친 영향 67
Chapter 4. 지역사회와 지역교육
1. 지역사회와 지역교육 75
2. 지역혁신과 지역사회교육 80
3. 지역교육과 연계체제 86
Chapter 5. 지역재생과 지역성공 사례
1. 지역재생과 지역 활성화 93
2. 한국과 일본의 지역재생 사례 95
PART 2 지역사회교육의 응용
Chapter 6. 지역사회와 교육복지
1. 교육복지의 의의와 교육복지의 정책 103
2. 교육복지실천의 과제 106
3. 지역사회교육 대상과 학습 동아리 108
Chapter 7. 지역사회교육의 계획과 과정
1. 지역사회 교육계획의 의미와 과정 121
2. 지역사회교육의 기술과 평가 122
3. 지역사회 교육방법의 원리와 비교 127
Chapter 8. 지역사회교육의 사례와 평생학습도시
1. 지역사회교육의 사례 135
2. 평생학습도시 140
PART 3 지역사회교육의 실제
Chapter 9. 지역사회문제의 분석과 지역사회복지의 전달체계
1. 지역사회문제의 분석관점 14 9
2. 지역사회문제의 분석이론 151
3. 지역사회복지의 전달체계 156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과 지역사회조직의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65
2. 지역사회조직의 역사와 지역사회개발의 변천 173
3. 한국의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의 역사 178
Chapter 11. 지역사회 주민참여와 자원봉사활동의 과제
1.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의 변화 181
2. 지역사회 자원개발과 주민참여 188
3.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과제 189
Chapter 12. 지역사회와 환경교육
1. 지역사회 환경교육과 환경문제 유형 195
2. 국제 환경협력과 시민환경 운동교육 224
3. 외국의 환경교육과 한국의 환경교육 239
Chapter 13. 지역사회와 평생교육
1. 지역사회와 평생교육의 필요성 265
2. 미래사회와 평생교육 268
3. 지역사회와 평생교육의 원리 274
Chapter 14. 지역사회교육과 노인상담교육
1. 노인상담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 287
2. 노인상담교육의 유형과 과정 290
3. 노인상담 기법과 성인교육 296
Chapter 15. 지역사회교육과 성인학습교육
1. 성인교육의 원리와 학습지도 301
2. 성인학습상담 306
3. 성인학습상담의 방법 311
Chapter 16. 한국 지역사회교육의 발전과 과제
1. 지역사회주민의 발전과제 315
2. 지역사회교육의 방향과 과제 318
■ 참고문헌 324
■ 찾아보기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