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21세기는 새로운 지역사회복지의 시대이다. 최근 들어 지역사회는 지방자치와 지방분권화 등의 영향으로 사회복지실천의 장으로서 관심과 기대와 역할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실천의 장인 지역사회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은 ‘아주 편안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주체적인 시각에서 욕구가 성취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사회적 정책과 수단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서비스의 정책적인 확대는 지역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안들을 분석하여 지역주민들이 행복하고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복지 추진 및 전달체계에서의 다양한 실천기법과 실천모델의 재정립이 필요함을 역설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로 세움’은 실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들과 기법들이 체계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최근의 지역사회복지 동향들과 추진체계, 그리고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인력상들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라 하겠다.
본 서를 접한다는 것은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보다 나은 목적지를 찾아가는 여정에서 경험 많은 기사(다양한 실천개입방법과 이론들, 그리고 실천모델과 기술들)와 최근에 출고된 버스(최근의 지역사회에서 운영되거나 현장에서 요구되는 제반 추진체계들)에 함께 승차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정으로 본 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제1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 기초로서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제1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제2장), 그리고 공공복지와 지역사회복지(제3장)를 다루고 있다. 특히 다른 서에서는 보이지 않는 공공복지를 다루는 것은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인력상에 대한 요구 때문이다. 즉, 현재의 교육과정과 업무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의 미스매치(mismatch) 현상은 구직자와 구인현장에서 모두 문제점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능력중심의 사회로 변화시키고 실천현장에서 즉시에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그리고 태도를 연마하여 책임과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등장시켰기 때문이다. NCS는 모든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요구되는 지식이나 능력을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해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서의 제3장에서는 공공복지 차원의 NCS 직무모듈을 추가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지역사회복지 교과 전반에서 수준별 능력단위를 체크하여 중점적으로 학습하여야 할 사항들을 사전에 인지하고, 다양한 내용들을 심화학습할 수 있는 계획표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의 기본 이론들(제4장)을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과 기법의 이해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제5장), 지역사회복지실천 전략과 전술(제6장)을, 제3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및 기술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제7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술(제8장), 지역사회 자원 개발 및 동원기술(제9장), 옹호와 임파워먼트기술(제10장)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4부에서는 공공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를 제11~12장에, 제5부에서는 사회서비스 제도화와 민간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를 제13~19장에 최근의 동향을 반영하여 제시하였다.
본 서는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에서 지역사회복지론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최근의 자료를 세밀하게 검토하여 다루었으며, 특히 최근 지역사회의 전달체계 및 추진체계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실천적인 교재에 대한 필요성에서 집필하게 되었다. 끝으로 본 서를 통해 지역사회복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학생들과 현장실무자, 그리고 지역사회복지연구자들이 지역사회를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020년 1월
송현로 연구실에서
이원주
PART 01 지역사회복지 기초
Chapter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21
제1절 지역사회의 개념 21
1. 지역사회란? 21
2. 지역사회의 유형 24
3. 지역사회의 기능과 제도 27
제2절 지역사회복지 30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30
2.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32
3. 지역사회복지의 특성 36
Chapter 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39
제1절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39
1. 일제강점기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39
2. 일제강점기의 지역사회복지 42
3.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 1950~1970년대 43
4.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 1980~1990년대 초반 44
5.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 1990년대 초반 이후~현재 45
제2절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46
1. 지역사회복지의 기원 : 1800년대 후반~1950년대 초 47
2. 지역사회복지 태동기 : 1950~1960년대 후반 50
3. 지역사회복지 형성기 : 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51
4. 지역사회보호의 발전기 : 1980년대 후반~현재 53
제3절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6
1. 지역사회복지 태동기 : 1890~1910년대 56
2. 지역사회복지 형성기 : 1920~1950년대 60
3. 지역사회복지 관심기 : 1960~1980년대 60
4. 지역사회복지 발전기 : 1990년대 이후~현재 62
Chapter 3 공공복지와 지역사회복지 65
제1절 지역사회복지계획 66
1. 복지계획 수립ㆍ설계 66
2. 지역사회 수급진단 69
3. 지역사회 의견 반영 70
4. 계획평가 72
제2절 복지예산 관리 73
1. 사업계획서 작성 74
2. 예산편성 75
3. 예산집행 77
4. 결 산 78
제3절 사회복지기관 지원관리 79
1. 법적 요건 준수 79
2. 보조금 지원 80
3. 지도감독 82
4. 사회복지기관 컨설팅 83
제4절 자원발굴 민관협력 85
1. 지역사회 자원 개발 85
2. 자원유지ㆍ관리 87
3. 민관협의체 구성 89
제5절 대상자 발굴조사 90
1. 가정방문 91
2. 전화상담 92
3. 인적자원망 활용 94
4. 발굴조사 내용 기록 96
제6절 복지대상자 지원 98
1. 복지상담 98
2. 서류관리 100
3. 자산조사 102
4. 복지급여 지원 104
제7절 자활자립 지원 106
1. 자활지원계획 수립 106
2. 맞춤형 정보제공 107
3. 자립지원서비스 제공 109
제8절 자격변동 관리 111
1. 인적정보 관리 111
2. 소득재산 관리 113
3. 근로능력 평가 115
제9절 공공사례 관리 118
1. 상담기록이력 사정 118
2. 후원결연유관기관 의뢰 121
3. 사례관리 슈퍼비전 123
제10절 복지특이민원 관리 125
1. 민원보고서 작성 125
2. 유관기관 공조 127
3. 민원결과보고서 작성 129
제11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전산운용 131
1. 사회복지통합관리망 운용 131
2. 정보화능력 프로그램 운영 134
3. 시ㆍ군ㆍ구 전자관리시스템 운용 137
Chapter 4 지역사회복지의 기본 이론들 143
제1절 지역사회를 설명하는 이론들 143
1. 사회체계이론 143
2. 생태체계이론 149
3. 힘의존이론 153
4. 인간행동이론 156
5. 사회학습이론 158
6. 갈등이론 159
7. 사회교환이론 162
제2절 지역사회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들 165
1. 사회격리이론 165
2. 사회비조직화이론 166
3. 거주지분리이론 166
4. 기타 이론들 166
PART 02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과 기법의 이해
Chapter 5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 171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의의 171
1.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필요성 171
2.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목표 171
제2절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개입모델 173
1. 로스만의 3모델 173
2. 테일러와 로버츠의 5모델 183
3. 웨일과 갬블의 8모델 187
4. 포플의 8모델 192
제3절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94
1. 지역사회개발 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94
2. 사회기획 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96
3. 사회행동 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97
Chapter 6 지역사회복지실천 전략과 전술 199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입을 위한 전략과 전술 적용 200
1. 전략과 전술 200
2. 행동체계와 표적체계 201
3. 제휴ㆍ캠페인ㆍ대항전략과 전술 201
제2절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전략과 전술의 적용 203
1. 사회행동의 전략 203
2. 정치적 압력전술 206
3. 법적 행동과 사회적 대결 207
4. 언론의 활용 및 협상전술 211
PART 0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및 기술
Chapter 7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215
제1절 지역사회사정 215
1. 지역사회사정의 의미 215
2. 지역사회사정의 중요성 216
제2절 지역사회사정의 유형 218
1. 포괄적 지역사정 218
2. 익숙한 지역사정 218
3. 문제중심 지역사정 218
4. 하위체계 지역사정 219
5. 자원사정 219
6. 협력사정 219
제3절 지역사회사정의 단계 220
1. 욕구파악 220
2. 표적집단 파악 221
3. 자료수집 222
4. 자원파악 224
5. 개입가설의 수립 224
6. 이해관계자 파악 225
7. 변화 가능성 분석 227
8. 변화방법의 선택 229
9. 전술의 선택과 선택기준 230
10. 평가와 활용 231
Chapter 8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술 233
제1절 지역사회조직화 233
제2절 지역사회조직화의 원칙 235
1. 레인보고서의 견해 235
2. 맥닐의 견해 236
3. 존스와 디마치의 견해 236
제3절 지역주민조직화의 방법 239
1. 진정한 주민참여 239
2. 진정한 주민참여의 순기능 240
3. 진정한 주민참여의 유형 240
4. 주민참여의 과제 242
Chapter 9 지역사회 자원 개발 및 동원기술 245
제1절 지역사회와 자원의 관계 245
1. 지역사회와 자원 245
2. 지역사회 자원 개발의 중요성 246
3. 지역사회 자원 개발의 필요성 246
제2절 지역사회 자원의 개발 248
1. 인적자원 개발 249
2. 물적자원 개발 250
제3절 지역사회 자원동원의 체제 252
제4절 지역사회 자원 개발의 기법 및 방법 254
1. 개인으로부터 자원개발 254
2. 공공 및 민간으로부터 자원개발 258
Chapter 10 옹호와 임파워먼트 기술 / 261
제1절 옹호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기술과 전술 261
1. 옹호의 개념 261
2. 옹호의 유형 262
3. 옹호의 기술과 전술 263
제2절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와 평가 그리고 전망 265
1. 임파워먼트의 개념 265
2. 임파워먼트의 접근방법 267
3. 임파워먼트의 중요성과 그 효과 267
4.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 268
5. 임파워먼트에 대한 평가와 전망 269
PART 04 공공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
Chapter 11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 273
제1절 지방자치 273
1. 지방자치의 의의 273
2. 지방자치의 목적 그리고 효과 274
3. 지방자치의 과정과 발자취 276
제2절 지방재정 이양 283
1. 지방재정 이양의 추진배경 283
2. 지방재정 이양의 과정과 주요 내용 284
3. 지방재정 이양의 결과와 논의점 285
제3절 지방자치가 지역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 286
1. 지방자치의 긍정적 측면 286
2. 지방자치의 부정적 측면 287
3. 지방자치와 향후 과제 288
Chapter 12 공공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와 개편과정 289
제1절 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의의 289
제2절 공공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와 개편 291
1.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 : 1995~1999년 293
2.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 2004~2006년 297
3. 주민생활지원서비스 개편 : 2006~2009년 306
4. 희망복지 전달체계 개편 : 2008~2017년 311
5. 이명박 정부의 전달체계 개편 : 2008~2012년 314
6. 박근혜 정부의 전달체계 개편 : 2013~2017년 317
7. 문재인 정부의 전달체계 개편 : 2017~2022년 323
제3절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29
1.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연혁 329
2.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규모 330
3.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업무 331
PART 05 사회서비스 제도화와 민간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
Chapter 13 사회복지관 337
제1절 사회복지관의 개요 337
1. 사회복지관의 개념 337
2. 사회복지관의 목표 337
3. 사회복지관의 역사 338
4. 사회복지관의 법적 근거 338
5.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 원칙 339
제2절 사회복지관 사업대상과 사업내용 340
1. 사업의 대상 340
2. 사업의 기능과 분야 그리고 내용 341
Chapter 14 재가복지 349
제1절 재가복지의 개요 349
1. 재가복지와 재가복지서비스의 개념 349
2. 재가복지의 등장과 필요성 350
제2절 재가복지봉사서비스 351
1. 재가복지봉사서비스의 개념 351
2. 재가복지봉사서비스의 법적 근거 351
3. 재가복지봉사서비스의 대상자의 범위 351
4. 재가복지봉사서비스의 기능과 역할 352
5. 재가복지봉사서비스 운영의 기본 원칙 352
6. 재가복지봉사서비스의 내용 353
Chapter 15 자원봉사센터 355
제1절 자원봉사센터의 개요 355
1. 자원봉사의 역사 355
2. 자원봉사와 자원봉사센터의 개념 356
3. 자원봉사센터의 법적 근거와 추진체계 357
제2절 자원봉사센터 조직 359
1. 자원봉사센터의 기능과 역할 359
2. 자원봉사센터의 조직 및 인력구성 360
3. 자원봉사활성화 지원 361
Chapter 16 자활사업 363
제1절 지역자활사업 363
1. 자활사업의 목적과 추진체계 363
2. 자활사업 연혁 364
제2절 자활사업 대상자 선정 및 조건부과 366
1. 자활사업의 법적 근거 366
2. 자활사업의 대상자 선정 366
3. 자활사업의 참여자격 368
제3절 자활사업 지원체계 : 지역자활센터 370
1. 지역자활센터의 목적 및 추진경과 370
2. 지역자활센터의 지정 372
3. 지역자활센터의 주요 사업 372
Chapter 17 지역아동센터 375
제1절 지역아동센터의 개요 375
1. 지역아동센터의 개념 375
2. 지역아동센터의 법적 근거 375
3. 지역아동센터 지원대상과 지원내용 375
4. 지역아동센터 추진경과 376
제2절 지역아동센터 추진체계 378
1. 보건복지부 378
2. 시ㆍ도 378
3. 시ㆍ군ㆍ구 담당부서 또는 드림스타트 379
4. 아동 이용시설 379
제3절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영역 380
Chapter 18 공동모금제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83
제1절 공동모금제도 383
1. 공동모금제도의 정의 및 유래 383
2. 공동모금제도의 의의 384
3. 공동모금제도의 특징 384
제2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85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개념 및 목적과 CI 385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법적 근거 387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연혁 387
4.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필요성 389
제3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조직과 모금 그리고 배분 390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조직구조 390
2. 사회복지공동모금과 배분 391
제4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95
Chapter 19 사회복지협의회 397
제1절 사회복지협의회 개념과 발달과정 397
1.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 397
2. 사회복지협의회의 유형 398
3.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398
제2절 사회복지협의회의 발달과정과 조직, 기구 그리고 주요 업무 400
1. 사회복지협의회의 발달과정 400
2. 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구조 401
3. 사회복지협의회의 기구 및 주요 업무 402
제3절 사회복지협의회의 향후 과제 403
■ 참고문헌 405
■ 찾아보기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