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다문화가족복지와 상담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21세기 지구촌은 세계화의 물결 속에 국가 간의 인적 교류가 활발하여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국경과 인종을 초월한 인적 교류는 국제결혼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결혼이주자를 통한 다문화가족의 형성은 전 세계 선진국들의 공통된 국가적 현안이 되고 있다.  

  한국 사회 역시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이 마련된 지 10여 년이 지나고 있다. 초기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 조기정착을 위한 한국 언어습득과 문화 적응을 중점적으로 지원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문화가족의 교육과 정서적 지원, 취업 지원 등에 정책의 주안점을 두게 되었다. 

  특히 여성가족부 등 관계부처합동(2012)으로 발표한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3~2017)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원정책의 기조가 다문화가족을 한국 사회 발전을 위한 하나의 동력으로 인식하여 능력 개발 및 상호문화 존중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한국 사회도 세계화 현상에 따라 외국인의 한국 내 정착이 증가하고 있고,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족의 증가로 다문화사회화가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사회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 논의나 사회적 토론을 할 여유 없이 변화된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한국 사회의 이민자 중 결혼이주여성들은 우리나라의 국민이 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들의 자녀들 또한 향후 주류사회로 진입할 것이다. 

  이주여성들은 자신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국제결혼을 결심한다. 자신의 나라와 사회적 환경에 불만족한 이주여성들은 결혼과 함께 타국으로 이주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문화적응 스트레스 등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이주여성들은 가족의 구성원으로 적응하는 단계에서도 가족적응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근본적으로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비롯해서 배우자 및 시부모, 자녀와의 관계, 경제적 어려움, 건강상의 문제 등 가족적 요인들에서도 갈등요소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에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사회적 통합과 이주민의 적응을 위한 다양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나뉘며 20절로 구성되었다. 1장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족 이해, 2장 다문화가족 복지, 3장 다문화가족 교육, 그리고 4장 다문화가족 인권, 5장 다문화가족 상담, 6장에서는 다문화가족 상담의 실제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 장마다 7명의 저자들이 다문화의 주요 내용과 요소들을 고려하여 집필하고 완성하였다. 1장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족 이해에서는 다문화 관련 용어 정의와 다문화사회의 원인, 다문화 현황과 국가정책 및 과제, 2장 다문화가족 복지에서는 한국 사회 다문화가족의 복지적인 측면, 3장 다문화가족 교육에서는 다문화가족의 교육대상과 교육정책 및 발달주기별 교육을 중심으로 접근, 그리고 4장 다문화가족 인권에서는 인권의 이해, 다문화가족 인권과 인권 사례, 5장 다문화가족 상담에서는 다문화가족 사정, 다문화가족 상담 방법과 다문화가족 상담 평가, 6장 다문화가족 상담의 실제에서는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이마고 접근, 해결중심, 현실치료, 이야기치료, 모래상자치료, 독서치료 접근으로 집필하였다.

  본 서가 다문화가족 복지, 교육, 상담 관련 다문화전공과 교양과목을 공부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그리고 다문화 관련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향후 한국 다문화사회의 정착 및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본 원고를 정리하면서 지면과 분량의 한계로 아쉬움이 남지만 추후 전문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이 책을 집필하고 발간하도록 도움을 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교정, 출판 및 인쇄에 협조해 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9. 12 

집필자 일동


 

CHAPTER 01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족 이해 9 

1. 다문화사회의 이해 11

   1) 다문화사회와 관련 용어 이해 12

   2) 다문화사회 형성의 원인과 현황 15

   3) 다문화사회 형성의 특징 22

2. 다문화가족의 이해 25

   1) 다문화가족의 유형 26

   2) 다문화가족의 현황 26

   3) 다문화가족의 현안 문제 29

   4) 다문화가족의 일상생활 및 가치관의 차이점 35

   5) 다문화가족을 위한 국가정책으로서 다문화주의와 통합주의 45

   6) 다문화가족의 정착패턴과 지원 49


CHAPTER 02 다문화가족 복지 53

1. 다문화가족 복지정책 55

   1) 한국 다문화가족 현황 및 특성 57

   2) 한국의 다문화 관련법 59

   3) 한국 다문화가족 복지정책 62

   4) 다문화복지 정책의 주요 이슈 및 과제 72

2. 다문화가족 복지와 문화 75

   1) 다문화사회(복지)와 문화적 역량의 필요성 76

   2) 문화적 역량의 개념 82

   3) 문화적 역량의 토대 84

   4) 문화적 역량의 단계 97

3.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98

   1) 사례관리의 개념 98

   2)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100

   3)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102

   4)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과정 103


CHAPTER 03 다문화가족 교육 149 

1. 다문화가족 교육 151

   1) 다문화 교육의 의미 151

   2)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의 정책적 과제 155

   3) 교육대상의 다양화 및 차별화 156

2. 다문화가족 결혼과 적응 158

   1) 다문화 이주여성 결혼 158

   2) 다문화 이주여성 적응 160

3. 다문화가족 발달주기별 교육 163

   1) 태아기 부모 165

   2) 영유아기 부모 169

   3) 아동기 부모 172

   4) 청소년기 부모 180


CHAPTER 04 다문화가족 인권 185

1. 인권의 이해 187

   1) 인권의 개념 187

   2) 외국인 차별적용 188

   3) 외국인 노동자 인권침해 사례 188

   4) 다문화 인권 과제 189

   5) 다문화 인권 전문가 190

  6) 폭력피해자 인권 192

2. 다문화가족 인권 195

   1) 이주여성 상담 195

   2) 이주여성 폭력피해자의 보호와 지원 체계 196

3. 다문화가족 상담 사례 196

   1) 가정폭력 196

   2) 성폭력 200

 

CHAPTER 05 다문화가족 상담 205

1. 다문화가족 사정 207

   1) 가족사정 207

2. 다문화가족 상담 방법 231

   1) 가족 원조의 수준 231

3. 다문화가족 상담 평가 245

   1) 가족평가 245

   2) 가족체계 유형 질문지 251

   3) 가족관계 진단용 SDS 253

   4) 부모-자녀 의사소통 측정 도구 259

   5) 갈등 대처방안 척도 Ⅱ 261

   6)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유형 척도 262

   7) 가족기능 설문지 264

 

CHAPTER 06 다문화가족 상담의 실제 269

1. 다문화가족 상담 이마고 접근 271

   1) 이마고 이해 271

   2) 이마고 부부대화법 272

   3) 이마고 부부발달단계 274

   4) 이마고 감사대화법(실제) 277

2. 다문화가족 상담 해결중심 접근 281 

   1) 기본 가정 281

   2) 기본 원리 282

   3) 목표설정 283

   4) 질문기법 286

   5) 메시지와 전달법 289

3. 다문화가족 상담 현실치료 접근 291

   1) 주요 개념:선택이론 291

   2) 현실치료의 특징 295

   3) 이론의 적용:치료 기법 및 절차 296

4. 행동변화를 위한 상담과정 300

5. 다문화가족 상담 이야기치료 접근 303

   1) 이야기치료 이해 303

   2) 이야기치료 적용하기 311

6. 다문화가족 상담 모래상자치료 접근 316

   1) 모래상자치료 316

   2) 다문화가족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321

7. 다문화가족 상담 독서치료 접근 324

   1) 다문화 독서치료의 의의 324

   2) 독서치료란 무엇인가 325

   3) 다문화 독서치료를 위한 자료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