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이 책은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교수 5인이 2007년 이 교재를 초판으로 출판하고, 2009년에는 변경된 정책과 서비스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개정작업(2판)을 하였으며, 국제사회사회복지와 새로운 사회복지 변화를 수렴하여 2014년에는 3판을 출판하였습니다. 2015년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변화 내용이 중요하게 대두되어 이를 4판에 반영하였습니다. 즉, 중앙부처와 유기적 연계를 통한 지역단위의 종합적 사회보장, 지역 간 사회보장의 균형발전을 위한 지원체계가 정비되면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기능 확대 및 활성화 전기가 마련되었습니다.
2020년도부터 지금의 사회복지학 교과목 명칭이 ‘사회복지학개론’으로 변경되고,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로 변경(2017. 5. 30)되는 등 최신 내용을 반영한 5판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장은 인간의 욕구와 사회복지, 제2장은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제3장은 사회복지발달사, 제4장은 사회복지실천, 제5장은 사회복지정책, 제6장은 지역사회복지, 제7장은 아동복지, 제8장은 노인복지, 제9장은 장애인복지, 제10장은 의료 및 정신건강 사회복지, 제11장은 가족복지, 제12장은 자원봉사, 제13장은 국제사회복지, 제14장은 한국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로 구성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사회복지를 사랑하는 후학들에게 사회복지의 기초적인 지식을 쌓아 가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데 있어서, 향후 자신의 전문분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중한 길잡이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끝으로 이 책이 10년 이상 세상의 빛을 보게 되고 5판까지 개정되어 출판되기까지 도움을 준 공동체의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20년 2월
저자 일동
제1장 인간의 욕구와 사회복지 13
1. 인간의 욕구 13
2. 사회복지의 개념 17
3. 사회복지의 관점 20
4. 사회복지의 이념 25
5. 사회복지의 실천영역 32
제2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35
1. 사회복지의 가치 35
2. 사회복지의 윤리 40
3.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 48
제3장 사회복지발달사
1.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55
2. 서구의 사회복지역사 61
제4장 사회복지실천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79
2.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82
3.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85
4. 관계론 89
5. 면담론 92
6. 과정론 95
제5장 사회복지정책 109
1. 사회복지정책 109
2. 사회복지행정 124
3. 사회복지법 138
4. 사회복지법의 실천이념 147
제6장 지역사회복지 153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153
2.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요건 157
3. 지역사회복지의 접근방향 158
4.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160
5. 지역사회복지실천 163
6. 자활사업과 지역자활센터 169
제7장 아동복지 177
1. 아동복지의 개념 177
2. 아동복지의 발달배경 180
3. 아동복지의 원칙 182
4. 아동복지서비스 186
5. 아동복지의 현황 189
6. 아동학대 195
7. 아동복지의 과제 197
제8장 노인복지 201
1. 노인복지의 개념 201
2. 노인문제에 대한 이론적 202
3. 노인복지의 원칙 207
4. 노인복지의 내용 209
5. 노인복지의 과제 214
제9장 장애인복지 219
1. 장애 및 장애인의 219
2. 장애인복지의 개념 220
3. 장애인복지의 특성 221
4. 장애의 유형과 특성 222
5. 재활의 개념 및 서비스 226
6. 시설중심재활과 지역사회중심재활 228
7. 지역사회중심재활의 원칙 및 구성요소 233
8. 장애인의 자립생활 234
제10장 의료 및 정신건강 사회복지 239
1. 의료사회복지 239
2. 정신건강사회복지 247
제11장 가족복지 257
1. 가족복지의 개념 257
2. 다양한 가족의 형태 260
3. 가족복지의 지원기관 268
4. 가족복지의 과제 270
제12장 자원봉사 275
1. 자원봉사활동의 개념 275
2. 자원봉사활동의 이론 279
3.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282
4. 자원봉사활동의 과제 288
제13장 국제사회복지 291
1. 국제사회복지의 개념 291
2. 국제사회복지의 핵심적 개념 294
3. 국제사회문제 298
4. 국제사회복지의 과제 303
5. 국제사회복지 실천사례 : 필리핀의 NGO 활동 306
제14장 한국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 309
1. 한국사회복지의 전망 309
2. 한국사회복지의 과제 314
[부록] 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321
[부록] 다문화가족지원법 323
[부록] 건강가정기본법 331
찾아보기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