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책을 쓰기 위해서는 그 이유가 있어야 한다. 본 서는 ‘기존의 교정활동 혹은 교정사업, 교정서비스를 진일보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서의 특징 가운데 주요한 두 가지를 기록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형사사법체계와 교정현장에 사회복지의 가치와 철학, 이론, 방법들을 최대한으로 우려내고 녹여내 보자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사회복지의 ‘도와주는 전문직(helping profession)’이라는 학문적 특성을 기존의 체계 안과 현장 속에 생동감 있게 살려내고자 고민하였다. 사회복지는 ‘사람’과 ‘그의 삶’에 지대한 관심을 갖는 학문이다. 사람의 삶에 관심을 두는 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소중히 할 수밖에 없고, 깨어진 관계는 회복(restoration)될 수 있다. 그 방법론으로 본 서에서는 ‘중재(mediation)’를 적극 소개하고 강조하였다.
교정복지는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최악의 불행 속에 있는 삶에 대한 깊은 배려와 애정의 직접적인 표현이자, 이웃과 함께 일상의 행복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 가슴 진한 노력이다. 한번 제대로 해보자는 것이다. 최선을 다해보지 않고 아예 주저앉는 것은 미래세대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둘째, 국제적으로 지대한 주목을 받고 있는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의 가치와 철학을 교정실천현장에 정확히 옮겨 실행해 보자는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현재의 방식을 고수하거나, 혹은 거실에 있는 가구를 수선하거나 일부를 바꾸어 멋진 집이 탄생하기를 바라는 것처럼, 이런 저런 프로그램을 짜깁기하거나 새로운 기기를 동원하여 잔재주를 부려서는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범죄문제를 해결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는 본 저자가 그동안 북미, 유럽, 아프리카, 유럽, 중남미, 아시아의 20여 개국의 교정기관 및 시설들을 관찰하고 얻은 교훈이기도 하다. 그래서 교정복지의 New Paradigm을 고민하였고 본 서에 담아보려고 하였다.
PART 01 교정복지의 등장배경과 New Paradigm의 필요성
CHAPTER 01 범죄문제와 교정복지 13
1. 현대사회가 당면한 범죄문제 15
2. 최근의 범죄경향과 그 심각성 20
3. 예상되는 범인성 사회환경 23
CHAPTER 02 현행 형벌제도의 한계 27
1. 현행 형벌제도의 한계 29
2. 형벌제도의 개혁운동 32
3. 구금형의 현 위치 34
CHAPTER 03 교정 및 사법체계에서 New Paradigm의 필요성과 그 내용 37
1. 새로운 패러다임(New Paradigm)의 필요성 39
2. 새로운 패러다임(New Paradigm)의 내용 40
PART 02 교정복지의 개념정립 및 이론적 배경
CHAPTER 04 교정복지의 개념 47
1. 교정복지 관점에서의 형벌의 방향 49
2. 교정복지의 핵심 개념 50
CHAPTER 05 교정복지의 독특성과 전문적 실천현장 55
1. 사법체계에서 ‘도와주는 전문직(Helping Profession)’으로서의 교정복지 57
2. 교정복지의 실천현장 62
CHAPTER 06 사회복지와 교정의 이론적 상호연관성 : 교정복지의 정당성 65
1. 사회복지의 가치와 철학 & 교정 68
2. 사회복지의 실천이론과 지식체계 & 교정 70
3.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기술 & 교정 71
4. 사회복지의 클라이언트 & 교정 72
PART 03 교정복지의 클라이언트
CHAPTER 07 가해자, 피해자, 그들의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 77
1. 가해자에 대한 이해 80
2. 가해자 가족에 대한 이해 83
3. 피해자에 대한 이해 85
4. 피해자 가족에 대한 이해 87
5.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89
CHAPTER 08 특별 교정복지 클라이언트 91
1. 특별 교정복지 대상으로서 여성 93
2. 특별 교정복지 대상으로서 노인 99
3. 특별 교정복지 대상으로서 정신질환자 105
4. 특별 교정복지 대상으로서 외국인 108
PART 04 교정복지 실천현장 및 프로그램
CHAPTER 09 사법처리단계에서의 교정복지 관련 현장 115
1. 경찰단계 117
2. 검찰단계 125
3. 법원단계 130
CHAPTER 10 시설 내 처우와 사회 내 처우 현장 139
1. 교정시설 142
2. 소년보호 153
3. 보호관찰제도 158
4. 갱생보호사업 162
PART 05 교정복지 실천방법
CHAPTER 11 교정복지 실천이론 167
1. 교정복지 실천에 대한 이해 169
2. 교정복지 실천을 위한 실천모델 이해 170
CHAPTER 12 교정복지 실천과정 177
1. 사회복지 실천과정 개요 179
2. 사정(Assessment)과정 182
3. 계획과정 190
4. 변화과정 194
5. 종결과정 197
CHAPTER 13 교정복지 실천 활동사례 201
1. 교정복지 실천 개입활동의 배경 203
2. 연구 참여자의 선정과 자료 수집 203
3. 자료 분석 및 연구결과 204
4. 케이스 연구를 마치며 214
PART 06 교정복지 실천기술
CHAPTER 14 교정복지 실천기술 221
1. 관계형성기술 223
2. 면담기술 231
3. 의사소통기술 236
CHAPTER 15 교정상담 241
1. 교정상담의 기능 및 목적 243
2. 교정상담의 종류 246
3. 교정현장상담과 일반상담의 차이 246
4. 교정상담의 딜레마 248
5. 교정복지에 있어서 상담자의 역할과 자질 249
6. 교정복지에 있어서 범죄자(재소자)의 특성과 심리 251
PART 07 교정복지의 과제와 미래
CHAPTER 16 교정복지와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 259
1. 회복적 사법정의의 배경 및 개념 261
2. 회복적 사법정의의 발전과정 265
3. 회복적 사법정의 실천 프로그램 267
CHAPTER 17 선진교정복지를 향하여 273
■ 부 록 281
■ 참고문헌 338
■ 찾아보기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