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부모와 교사가 아동을 교육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는 그들이 바람직하게 자라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겪는 어려움 중의 하나는 아동의 부적절한 행동이며, 그 때문에 아동의 부적절한 행동을 어떻게 이해하고 지도해야 하는지가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 자칫 잘못된 태도로 인하여 아동의 행동에 무관심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민감할 수 있으며 때로는 적절하지 못한 방법으로 아동의 행동에 개입하기도 한다. 관찰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아동 가까이의 성인으로서 부모나 교사는 아동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게 될 뿐 아니라 아동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아동의 필요를 충족시키게 된다.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꾸밈없는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아동의 행동을 이해하게 되며, 행동의 이유를 찾을 수 있고 이후 행동을 예견하는 데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아동에 대한 관찰은 아동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수단이 되며, 관찰을 중심으로 하는 아동 행동연구는 아동을 더 깊게 이해하는 방법이 된다. 그렇기에 관찰방법과 행동연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관찰 능력과 연구 역량을 갖춘 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특히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아동행동에 대한 교사의 세심한 관찰과 객관적인 연구가 더욱 중요하다. 

  이 책에서는 아동 문제행동에 접근하려면 아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관찰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동시에 관찰 이외의 아동행동 연구방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아동 행동에 대한 제반 이론과 원인 및 증상을 다루고, 문제행동 수정에 대한 실제 적용을 서술함으로써 부모나 교사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다양한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해 그 원인과 증상, 접근전략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책의 구성은 크게 제1부와 제2부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는 4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아동관찰과 아동연구의 기본적인 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1장에서는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알아보았고, 2장에서는 아동관찰의 절차와 과정을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다양한 아동관찰 유형을 살펴보았고, 4장에서는 아동행동 연구방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제2부는 3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를 더해주는 이론과 실제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5장에서는 문제행동의 제반 변인을 알아보았고, 6장에서는 아동의 구체적인 문제행동을 살펴보았다. 7장에서는 아동의 다양한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접근전략을 서술하였다. 특히 아동의 문제행동 발생 원인과 대체적인 증상을 서술하여 외현적인 문제행동의 수정뿐 아니라, 문제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마음속의 ‘미해결 과제’나 ‘억압된 감정’에 대해서도 관심 있게 서술하였다. 외부로 드러나는 외현적 행동에 문제가 있다고 하여 그 행동 자체만을 수정하려고 들면 아동은 더욱 빗나가고, 부모와 교사는 점점 더 힘들어질 수 있다. 외현적인 문제행동의 수정도 필요하지만, 그 원인을 파악하여 정서나 감정을 이해하고 풀어주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것이 아동을 양육하고 교육할 때 기본이 되는 “정서는 안아주고 행동은 단호하게 하라”는 말에 내포된 바일 것이다.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아동 문제행동에 접근한다면 좀 더 합리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이 책이 아동행동에 대한 적절한 ‘이론과 실제’를 제공해 주어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을 전공하는 학생과 더불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그리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언제나 지지해 주는 사랑하는 가족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이 책의 출판을 위해 지원해 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편집부를 비롯한 직원 여러분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2020년 2월

저자 일동

 

제1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이해


제1장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기초

1.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필요성 10

2.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목적 14

3.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윤리적 접근 17


제2장 아동행동 관찰의 이해

1. 아동관찰의 목적 및 필요성 23

2. 관찰의 종류 26

3. 아동관찰의 절차 30

4. 아동관찰 과정의 유의점 34


제3장 아동관찰 유형 및 활용

1. 일화기록법 38

2. 표본기록법 44

3. 행동목록법 49

4. 평정척도법 54

5. 시간표집법 63

6. 사건표집법 68


제4장 아동행동 연구방법

1. 면접법 79

2. 질문지법 84

3. 검사법 87

4. 실험법 94


제2부 아동 문제행동 이해 및 지도


제5장 문제행동 제반 변인과 평가

1. 문제행동 제반 변인 101

2. 문제행동 평가 106


제6장 아동 문제행동 이해

1. 성장과 기질의 문제 116

2. 손가락 빨기와 틱 장애 126

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133

4. 파괴적 행동장애 138

5. 언어장애 140

6. 배설문제 146

7. 섭식문제 156

8. 신경성 식욕상실증과 신경성 폭식증 161

9. 비 만 163

10. 수면문제 165

11. 정서문제 170

12. 우울증 177

13. 학업문제 181

14. 따돌림 당하는 것 185


제7장 아동 문제행동 지도

1. 강화와 벌 188

2. 자연귀결과 논리적 귀결 195

3. 체계적 탈감법 197

4. 용암법 201

5. 관찰학습 203

6. 적극적 경청 205

7. 나-전달법 206

8. 윈윈(Win-Win) 전략 208

9. 유아의 자기행동 조절능력 발달 209

10. 행동제한 211

11. 타임아웃 213


부 록 유아 문제행동 지도 사례 218


■ 참고문헌 225

■ 찾아보기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