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사회복지실천론 제3판은 최근까지의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정책 동향을 반영하고 최신의 사회복지실천 접근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또한 그동안 이 교재를 사용해 오신 여러분들의 조언을 적극 반영하였고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최신 교과목 지침서를 참고하였다. 앞으로 학부생과 대학원생은 물론 실무자들의 지침서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새롭게 선보이는 컨텐츠’, ‘2판 내용의 심화’, ‘구성 및 편집의 변경’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의 변화가 있다.
우선 새로운 컨텐츠로는 최근까지의 주요 사회복지전달체계 및 서비스의 변화, 즉 공공사례관리, 바우처 서비스, 커뮤니티케어의 등장 등으로 인한 실천현장의 동향, 사회복지실천이 수행되는 환경의 구조와 맥락 등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흐름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실천과 인권 관련 내용을 첨가하였다. 또한 실천관점에서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추가하였고 실천과정 마지막 단계인 평가 부분에서 사례평가, 기관평가, 프로그램 평가 등 다차원적 평가 유형과 질적 평가 방법 등을 새롭게 포함시켰다.
둘째, 내용을 심화시킨 부분으로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전문적 관계형성과 면접을 위해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과 기술들을 상세하게 제시하였고 사회복지실천의 사정도구, 사정 및 실행과정에서의 다양한 양식들을 보강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성 및 편집 변경은 기존 교재에서 맨 마지막 장이었던 ‘사례관리’를 별도의 장으로 소개하지 않고 통합적 접근에 포함함으로써 학생들이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하나로서 사례관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또한 실천과정은 기존의 5단계 구분에서 ‘초기단계’, ‘사정 및 계획 단계’, ‘실행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로 보다 간결하게 재편성하였다.
PART 01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 15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15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 17
3.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21
제2장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이해 25
1.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5
2. 사회복지실천 대상과 문제 42
3. 사회복지실천의 장 49
4.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인력 52
제3장 사회정의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77
1. 인권의 개념 77
2. 인권의 유형화 78
3. 인권과 사회복지 82
4.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85
5.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 89
6.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96
제4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성찰적 실천 105
1.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105
2.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 108
3.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116
PART 02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기반과 관점 127
1.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기반 127
2. 생태체계관점 132
3. 강점관점 143
4. 다문화관점 149
5. 사회구성주의 관점 155
제6장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167
1. 통합적 접근 167
2. 사례관리실천 172
제7장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와 의사소통 197
1. 전문적 원조관계의 형성 197
2. 전문적 원조관계의 특성과 원칙 198
3. 관계형성의 장애요인 209
4. 의사소통 213
5. 사회복지실천의 면접 220
PART 03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제8장 사회복지실천과정과 기록 239
1. 기록의 목적 239
2. 기록의 내용 243
3. 기록의 유형 244
제9장 초기단계-접수, 자료수집 255
1. 접수단계 주요 과업 256
2. 자료수집 267
제10장 사정 및 계획 단계 279
1. 사 정 279
2. 계 획 297
제11장 개입단계 307
1. 개인대상 개입 307
2. 가족대상 개입 329
3. 집단대상 개입 339
4. 지역사회 개입 354
제12장 종결단계 365
1. 평 가 365
2. 종 결 378
부록
1.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387
2. 가족사정기록지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