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유아 주도의 놀이와 학습으로 다가가기 

유아과학교육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유아교사는 유아들을 위한 존재이다. 유아와 매일 만나며, 그들의 성장과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므로 유아교사가 유아들을 위한 교육적 행위를 하지 않는다면 유아들의 성장과 행복은 교사에게 답보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현장에서 이해할 수 없는 일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 대학에서 배운 그 의미 있는 어휘(유아 주도, 자발적·통합적 접근 등)들이 실제로 실현되지 못하는 상황과 대면하게 된다. 그리고 교사로부터 ‘이론과 실제는 다르다’라는 목소리를 듣게 된다. 더 이상한 일은 학교현장실습을 다녀온 예비교사들의 목소리와 대면하게 될 때이다. 그들은 대학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서 볼 수 없다며, 교수님은 ‘이상주의자’가 아니냐는 이야기를 한다. 이론과 실제가 다르다면, 유아교육전공을 왜 대학에서 배우는 것이며, 예비교사를 가르치는 교수자들은 도대체 무엇을 하는 것인가에 대한 혼란과 그에 따른 반성을 하게 된다. 

  예비교사로부터 ‘이상주의자’라고 이야기를 듣는 것은 어쩌면 유아들은 능력 있는 존재이며, 그 능력 있음을 드러낼 존재인 예비교사 역할에 대해 아직도 놓고 있지 않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위안감을 갖는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상주의자’가 아님을 증명할 현장의 좋은 사례를 예비교사에게 보여주지 못한 게으름을 스스로 질책해 본다. 

  6명의 집필진이 유아과학교육을 집필하며,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놓을 수 없었던 것은 유아들도, 그들과 만날 예비교사도 능력 있는 학습자이기 때문이다. 집필진은 능력 있는 학습자인 유아들이 과학을 탐구하도록 물

리적·사회적 환경을 제공할 능력 있는 예비교사를 양성하려는 방향으로 

글쓰기를 정하였다. 그러한 글들이 잘 담겨 있는지, 혹 오류가 있는 글은 

없는지 걱정이 앞서지만, 부족한 글은 학생들과 이 책으로 함께 공부하며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이제 우리는 강의실에서 진정 능력 있는 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만날 준비를 해야 한다. 예비교사들은 그들이 우리에게 교육받은 경험에 근거하여 유아교실에서 유아들과 만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빈 그릇’에 지식을 쏟아 넣으며 학습자를 수동적이면서 능력을 기대하지 않는 교수방법으로 예비교사를 만난다면, 그들도 우리에게 교육받은 것처럼 ‘빈 그릇’으로서 유아에게 지식을 전수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태어나면서부터 능력 있는 존재로, 이 세상에 존재하도록 능력에 능력을 더하여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아직도 좋은 예비교사를 배출하고자 노력에 노력을 더하는 열정에 매일 함께 동행하여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2020년 3월 

저자 일동

 

01 유아교육의 놀이와 학습

1. 전통주의 수업과 구성주의 수업 비교•10


02 구성주의로 접근하는 유아과학교육

1. 지식의 유형에 따라 가르치기•31

2.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유아과학교육 알아보기•42

3. 구성주의 교사 역할•54

4. 구성주의 과학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알아보기•67

5. 평 가•77


03 유아과학교육의 필요성과 과학과정기술 

1. 유아과학교육의 필요성•107

2. 과학과정기술•113

3. 과학교육 내용 영역•126


04 누리과정에서의 유아과학교육

1. 자연탐구 영역•137

2. 교육과정 재구성자로서의 유아교사•139

3. 누리과정의 유아 과학활동 재구성하기•148


05 유아과학교육 계획하기 

1. 과학과 다른 교과 간 연계 계획방법•171

2. 자유선택활동에서의 과학학습•180

3. 바깥놀이에서의 과학학습•199

4. 숲에서의 과학학습•213


06 유아과학교육 접근방법

1. 문제중심학습(PBL) 방법으로 유아과학교육 접근하기•229

2. 스토리텔링으로 과학활동하기•240

3. 프로젝트 접근법으로 과학활동하기•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