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유아교육 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고민하고 있는 것은 문제행동을 가진 유아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임상적인 수준에서 특별한 문제를 가진 아이들이라면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겠지만 그 정도가 아닌 아이들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는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문제행동을 가진 유아는 단순히 그 유아의 문제만이 아니라 교실 전체의 다른 유아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유아의 부모, 교사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물론 가장 큰 문제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입니다. 아이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그 행동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일종의 증상과 같습니다. 자신이 갖고 있는 내부적인 진짜 문제로 인해 친구를 공격하거나 계속 울거나 혹은 고립되어 버리기도 합니다. 교사는 단순히 특정 행동을 그만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진짜 문제를 진단하고 이해하여 해결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하여 문제행동을 가진 유아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여 다른 사람과 올바른 관계를 맺고, 타인에게 인정받고 사랑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행동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교사의 관점입니다. 유아의 문제행동이 교사에게 위협이 되고, 학급에 위협이 되는 불편한 것이 아니라 위험에 처해 있는 아이가 보내는 SOS 구조신호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혹은 배워야 할 것을 아직 제대로 배우지 못한 아이의 미숙함이거나 실수행동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또, 문제가 아닌 행동인데 교사로서의 자신이 너무나 예민하게 바라보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본 책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행동유형에 따라 주요한 문제들이 일어나는 원인과 지도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1장, 2장, 3장에서는 문제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인 문제행동의 개념과 교사의 관점,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다루었습니다. 4장, 5장, 6장은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절차와 예방방법, 지도전략을 담았습니다. 문제행동의 지도에서 가장 중요한 예방적 차원에서의 접근을 소개하고, 실제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과정과 각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안내하였습니다. 7장, 8장, 9장, 10장, 11장은 일반적 상황에서 볼 수 있는 기본생활습관 문제, 사회성 문제, 정서 문제, 언어 및 인지 문제를 제시하여 이를 적절히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담았습니다. 마지막 12장에서는 발달 장애 및 행동장애를 다루어 현장에서 특별한 문제가 있는 유아를 선별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습니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모색하는 가운데 Gartell(2003)의 관점은 매우 의미 있고, 사려 깊은 방법이었습니다. 본 책은 Gartell의 유아 존중적이고 유아 내부의 힘을 중시하는 관점과 방향을 같이 합니다. 또한, Kaiser와 Raminsky(2012)가 강조하는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문제행동을 이해해야 하고, 그 유아를 이해해야 한다는 시각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있어서 유아와 문제행동을 따로 분리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본 책이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고민을 가지고 있는 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책은 저자들이 수많은 협의를 거치면서 집필하였으나 아직도 미흡한 부분들이 보입니다. 이러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하며, 마지막으로 이 책이 나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지식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를 전합니다.
2020년 3월
저자 일동
PART Ⅰ 문제행동의 이해
제1장 유아 문제행동의 이해
1. 문제행동 바라보기 14
2. 문제행동의 개념 18
3. 문제행동의 기능 이해 21
4. 행동특성에 따른 문제행동의 유형 23
5. 전통적 훈육과 긍정적 생활지도 25
제2장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교사
1.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관점 34
2. 교사의 자기 이해와 성찰 40
3.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관계맺기 43
4. 교사와 부모의 관계맺기 45
제3장 문제행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1.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관계 52
2. 문제행동의 위험요인 53
3. 문제행동의 보호요인 63
제4장 문제행동의 예방
1. 사회적 맥락 72
2. 물리적 공간 80
3. 일과와 전이 83
4. 교수전략 85
제5장 문제행동의 선별 및 지도과정
1. 문제행동 선별의 의미 92
2. 문제행동 지도과정 94
3. 기능평가와 긍정적 행동지원 104
제6장 문제행동의 지도전략
1. 효과적인 전략 사용의 배경요인 116
2. 문제행동 유아를 위한 지도전략 117
3. 흥분한 유아 통제하기 127
PART Ⅱ 문제행동의 지도
제7장 기본생활습관 관련 문제행동
1.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이해 136
2. 수면습관 137
3. 식사습관 143
4. 청결습관 148
제8장 사회성 관련 문제행동
1. 사회성발달에 대한 이해 160
2. 공격성 161
3. 또래 괴롭힘 167
4. 고립행동 174
제9장 정서 관련 문제행동
1. 정서발달에 대한 이해 184
2. 분리불안 186
3. 성적인 문제 192
제10장 언어 관련 문제행동
1. 언어발달에 대한 이해 202
2. 선택적 함묵증 203
3. 폭력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유아 206
4. 말 더듬는 유아 209
제11장 인지 관련 문제행동
1. 인지발달에 대한 이해 218
2. 주의집중력이 짧고 산만한 유아 221
3.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유아 225
제12장 발달장애 및 행동장애
1. 자폐스펙트럼 장애 236
2.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244
참고문헌 251
찾아보기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