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유아교사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현재 유아교사인 사람들에게 이 길을 선택한 이유를 물어보면, 많은 사람들이 ‘아이들이 좋아서’라고 합니다. 아이들이 좋아서, 아이들과 함께하면 행복해서 유아교사를 선택했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아이들만 만나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들의 부모를 만나고 응대하며 웃고 울게 됩니다.
필자의 유치원교사 1년차를 떠올려 봅니다. 하루 일과를 마치는 귀가지도 시간. 아이들과 헤어지는 인사를 하고 나면 미소 지으며 다가오는 부모가 있습니다. 예상하지 못했던 질문을 받게 되면 어찌 응대해야 할지 당황하게 됩니다. 이런 일이 몇 번 있고 나니, 귀가 시간에 다가오는 부모들의 미소가 두려웠습니다.
필자가 기관장을 하며 많은 교사들을 만났을 때, 그들도 같은 고민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습니다. 유아교육에 있어 교사와 부모는 ‘유아’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나아가는 동반자라는 것을 모든 교사들이 알고 있습니다. 부모를 응대하는 과정에서 교사로서 자부심을 느끼기도 하지만, 자존감에 상처받는 순간도 많습니다.
유아교사가 부모와 만나게 되는 수많은 상황 중에서 특히 ‘돌발질문’에 주목해 봅시다. 연간계획에 의해 진행되는 부모면담은 교사 입장에서는 예측 가능한 부담감입니다. 하지만 부모의 돌발질문은 예상하지 못했고 준비하지 못했기에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상당한 부담감입니다. 특히 제대로 응대하지 못했을 때 교사 스스로 느끼는 실망감과 속상함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습니다. 이에 이 책에서는 부모의 구체적인 돌발질문별로 현명하게 응대하는 요령을 3단계로 소개하였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부모 마음 읽기’입니다. 질문하는 부모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마음을 공감하고 응대해야 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응대의 초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질문별로 어떤 측면에 중점을 두어 답변해야 하는지 응대 포인트를 제시하였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응대 사례’입니다. 부모와 직접 대면해서, 전화 통화로, 알림장이나 문서로 응대해야 합니다. 이에 질문별 응대 사례를 실제 대화체로 제시하여, 경력이 많지 않은 교사나 초임교사들도 비교적 쉽게 응대요령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유아교육현장에서 수고와 열정을 불태우는 많은 후배교사들과 유아교사를 꿈꾸며 대학에서 학업에 매진하고 있을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이 책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하여 여기서 소개한 응대사례가 ‘나만의 부모 응대 나무’를 키워나가는 소중한 씨앗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1장 교사-부모 관계 돌아보기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와 부모 관계 13
▶ 부모가 바라보는 유아교사 15
▶ 유아교사가 바라보는 부모 18
제2장 부모의 돌발질문 이해하기
▶ 돌발질문을 하는 부모의 마음 25
▶ 돌발질문을 대하는 교사의 마음 29
▶ 부모의 돌발질문에 대한 응대 원칙 32
제3장 질문 유형별 응대의 실제
1. 학기 초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질문 42
▶ 이전 기관에 잘 적응했는데, 적응기간 또 필요한가요? 44
▶ 맞벌이 부부라서 학기 초 적응기간 힘들어요 48
▶ 유치원에 가기 싫다는데 어떡하죠? 52
▶ 아침마다 아이랑 헤어지기 너무 힘들어요 56
▶ 뭐하고 놀았는지 물어봐도 도무지 말이 없어요 61
▶ 낮잠 자기 싫어서 어린이집에 가기 싫대요 65
▶ 우리 아이, 일찍 오고 늦게 가도 되나요? 69
▶ 우리 아이는 혼자서도 집에 올 수 있어요 73
▶ 혼합연령학급이라 형들에게 치일까 봐 걱정이네요 76
2. 유아교육기관 생활에 관한 질문 80
▶ 밥 잘 먹나요? 집에 오면 항상 배고프다고 해요 82
▶ 낮잠 재우지 말아주세요 VS 낮잠 좀 재워주세요 87
▶ 유치원이나 친구 물건을 자꾸 집에 가지고 와요 92
▶ 친구들에게 좋지 않은 말을 배우는 것 같아요 97
▶ 감염성 질환에 걸렸지만 어린이집 보내면 안 될까요? 103
3. 놀이 및 또래관계에 관한 질문 107
▶ 매일 블록놀이만 해서 걱정이네요 109
▶ 늘 혼자 노는 것 같아요. 친구가 없나요? 113
▶ 특정 아이랑 놀지 않게 해주세요 117
▶ 친구에게 양보만 하고 자기 주장을 못 해서 속상해요 121
4. 가정에서의 생활 모습에 관한 질문 124
▶ 말을 너무 안 들어요. 어떻게 훈육해야 하나요? 125
▶ 자기 고집대로 옷을 입으려고 해요 129
▶ 동생을 미워하고 괴롭히는데 어떡하죠? 134
▶ 없는 얘기를 자꾸 꾸며서 말해요 138
▶ 거짓말을 하는데 어떻게 고쳐주죠? 141
▶ 성기를 자꾸 만지작거려요 / 자위를 해요 144
5. 기질 및 성향에 관한 질문 150
▶ 막무가내로 떼쓰는 아이, 어떻게 할까요? 153
▶ 매사에 항상 느려서 정말 답답해요 157
▶ 항상 이겨야 하고, 지면 난리가 나요 160
▶ 뭐든지 우는 것으로 해결하려고 해요 165
▶ 우리 아이, 발달적으로 문제가 있나요? 168
6. 학습에 관한 질문 173
▶ 책 읽기를 너무 싫어해요. 어떡하죠? 174
▶ 한글교육은 언제 시작할까요? 178
▶ 도무지 숫자에 관심이 없어요 183
▶ 매일 놀기만 하면 공부는 언제 하나요? 186
▶ 학습지를 보내면 같이 풀어주실 수 있나요? 191
7. 다른 부모나 교사에 관한 질문 194
▶ 그 아이 부모가 누구인가요? 알려주세요 196
▶ 선생님 초임이시죠?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199
▶ 선생님들끼리 의사소통이 안 되나요? 202
[부록] 부모 질문별 응대 사례의 적정 연령 205
참고문헌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