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어렸을 때 우리는 놀이를 통하여 성장하였고, 그 놀이를 밑거름으로 삶에 대한 지혜와 함께하는 태도를 배워 나갔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그러한 놀이는점점 줄어들고 있다. 유아들과 함께하는 현장에서 많은 유아교사들은 우리 아이들이 행복한 놀이들을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고민하고, 실천해 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교사는 유아의 밝은 웃음을 보고 함께 웃기도 하고, 때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가 스스로에게 되묻곤 한다. 유아들의 놀이를 살펴보면서 숨은 의미가 무엇인지 들여다보고, 이론서·논문·자료들을 찾아보거나 경험을 공유하면서 고민을 나누기도 한다. 이 책은 그러한 고민과 실천 과정에서 수원대학교에서 지도교수와 제자로 만난 인연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놀이의 이론과 실제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로 놀이의 이론은 1장부터 6장까지 다루고 있다. 그중 1장부터 3장까지는 놀이의 개념, 놀이이론들, 놀이와 발달을 다루었다. 4장부터 6장까지는 놀이에서의 교사의 지원, 창의적 놀이를 돕는 교사의 이해, 놀이의 흔적 남기기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1장부터 3장까지는 예비교사뿐 아니라 유아교사들이 유아들의 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꼭 먼저 살펴보아야 하는 부분이다. 1장에서는 놀이의 개념, 놀이의 특성, 놀이의 가치에 대한 신념을 가질 수 있는 생각의 장이다. 놀이가 성인의 관점이 아닌 유아의 관점에서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 유아들이 진정한 놀이를 할 때 나타나는 고유한 특성과 이러한 놀이는 유아에게 어떠한 유익함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1장에서의 놀이의 개념, 특성, 가치를 설명하는 놀이에 관한 이론을 다루었다. 놀이이론은 고전적 놀이이론과 현대적 놀이이론으로 나뉘는데, 고전적 놀이이론은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이론이며 현대적 놀이이론은 그 이후의 이론들이다. 이 책에서는 현대적 놀이이론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놀이 이론은 유아의 발달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틀을 제공해 줄 것이다.
3장에서는 놀이의 유형,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달에 적합한 놀이환경과 놀잇감에 대해 서술하였다. 유아의 놀이행동은 유아의 발달 정도를 반영하며, 유아들에게 잠재효과를 통해 인생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놀이를 통해 유아는 발달하고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며,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의 발달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놀이환경과 놀잇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했다.
4장부터 6장에서는 유아들과 함께하는 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고민하고 있는 부분들을 풀어내고자 노력하였다. 4장에서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교사의 태도, 놀이상황에서의 교사의 개입, 흥미영역에서의 교사의 지원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교사는 놀이에 언제 어떻게 개입하고, 빠져나와야 하는가?’는 놀이상황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교사의 내적 갈등상황이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부분을 다루는 장으로 할애하였다.
5장은 창의적 놀이를 돕는 발문 이해하기, 창의성 기법 이해하기, 유아와의 상호작용 이해하기를 주로 다루었다. 이 장에서는 앞으로 더욱 필요하게 될 유아의 창의성을 이해할 뿐 아니라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신장시켜 주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놀이 시 창의적인 접근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예시들을 들어 이해가 쉽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창의성을 발현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협력하고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도울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6장에서는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교실 평가하기, 놀이의 관찰과 기록, 놀이 속 의미 찾기에 초점을 두었다. 교사는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하고 흔적들을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놀이에 숨은 의미를 해석하여 놀이를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 유용한 예시들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교사 각자의 창의성을 발휘해 보도록 독려하였다.
두 번째로 놀이의 실제는 7장부터 10장까지 다루고 있다. 7장에서는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들, 8장에서는 생활용품을 이용한 놀이들, 9장에서는 음식물을 이용한 놀이들, 10장에서는 나들이를 통한 놀이들을 다루었다.
7장에서는 유아들과 봄, 여름, 가을, 겨울 자연에서 놀이했던 모습을 소개하였다. 유아들과 함께하면서 바깥놀이뿐 아니라 뒷산, 들판, 텃밭 등 자연 속에서 놀이하면서 밝게 웃던 유아들의 행복한 경험들을 소개하였다. 돌멩이, 나뭇가지, 열매 그것이 무엇이든 자연 속 모든 것들이 유아들에게 다양한 놀이의 소재가 되는 감동적이었던 놀이 순간들을 담아 보았다.
8장에서는 생활 속 일상 소재들을 이용하여 창의성을 발휘하며 놀이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언제 어느 곳에서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들을 이용하여 창의성을 기반으로 서로 협력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호기심을 발휘하고 유아들 스스로 서로를 격려하던 의미 있는 순간들을 담아 보았다.
9장에서는 음식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했던 놀이 모습을 담았다. 과일, 야채, 생물, 곡식 등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하여 요리하고, 관찰하고, 다른 방법으로 활용해 보며 친숙해지는 경험을 가지면서 즐거워했던 놀이들을 담아 보았다.
10장에서는 나들이 경험을 소개하였다. 가까운 우리 동네에서부터 좀 더 멀리 갔던 견학, 예술경험 등을 담았다. 나들이 갔던 경험들을 놀이와 연계하기도 하였고, 놀이와 연계하여 나들이를 가기도 하였다. 때때로 지역연계뿐 아니라 학부모 연계를 통하여 더 원활하게 진행했던 경험들도 있었다.
7, 8, 9장 놀이의 실제 예시들은 놀이를 보여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랫동안 현장에서 유아들과 생활하면서 함께했던 일상의 모습을 담았다. 놀이를 시작하는 소재와 재료들이 신체가 이끄는 감각적 배움의 통로이길 바라며, 다양한 소재와 재료들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그들의 세계를 흥미롭게 지각하고 상상하고 사고하는 장이 될 수 있도록, 놀이를 지원하고 확장하는 예시로 살펴보면 좋을 것이다. 놀이의 예시들은 어느 현장에서든 손쉬운 접근 및 창의적인 변형이 가능하며, 교사는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유아와 함께 즐기고 배우는 교사로서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생활 속 놀이에 몰입하여 행복한 영감을 불러일으켜 준 수원 아이붐·시립 오산숲 어린이집·안성 파랑새 어린이집 친구들과, 유아들과 함께 놀이하며 긍정적 에너지로 늘 충만한 선생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특히 사계절 자연의 풍성함을 담아낸 안성 파랑새 어린이집 선생님들, 아이들과 함께 웃고 놀이하며 놀이 지원을 위해 노력한 시립 오산숲 어린이집 선생님들, 유아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늘 따뜻하게 수용하며 상호작용에 힘쓰는 수원 아이붐 선생님께 고마운 마음을 표한다.
유아들의 놀이가 더욱 풍성해질 기대감에 행복한 2020년 3월에
저자 일동
Chapter 01 놀이란 무엇인가? 13
1. 놀이의 개념 16
2. 놀이의 특성 21
3. 놀이의 가치 25
Chapter 02 놀이 이론들 31
1. 정신분석이론 34
2. 인지발달이론 36
3. 각성조절이론 41
4. 상위 의사소통이론 42
5. 마음이론 46
6. 몰입이론 51
Chapter 03 놀이와 발달 55
1. 놀이의 유형 58
2.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9
3. 발달에 적합한 놀이환경과 놀잇감 75
Chapter 04 놀이 속에서 교사는 어떤 지원을 해야 할까? 85
1.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교사의 태도 88
2. 놀이상황에서 교사의 개입 92
3. 흥미영역에서 교사의 지원 104
Chapter 05 유아의 창의적 놀이를 위하여 교사는 무엇을 이해하면 좋을까? 113
1. 창의적 놀이를 돕는 발문 이해하기 116
2. 창의성 기법 이해하기 121
3. 유아와의 상호작용 이해하기 138
Chapter 06 놀이 흔적 남기기의 의미는 무엇인가? 149
1.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교실 평가하기 152
2. 놀이의 관찰과 기록 155
3. 놀이 속 의미 찾기 167
Chapter 07 감성촉촉, 자연에서 놀아요 171
1. 흙과 돌, 씨앗들 174
2. 봄에 볼 수 있는 동물들 184
3. 봄의 식물들 194
4. 여름의 자연 204
5. 여름의 친구들 214
6. 여름의 날씨 224
7. 거미, 거미줄 234
8. 열매와 다람쥐 244
9. 나뭇잎과 낙엽 254
10. 겨울 숲의 식물들, 나뭇가지 264
11. 눈, 얼음, 바람 275
12. 겨울놀이 285
Chapter 08 말랑말랑, 생활용품으로 놀아요 297
1. 보자기 300
2. 주방 도구들 310
3. 모자 320
4. 우산 331
5. 공 342
6. 어떻게 할까요? 352
7. 바퀴 363
8. 상자와 우유갑 373
9. 구멍 384
Chapter 09 요리조리, 음식으로 놀아요 397
1. 노랗다 400
2. 토마토 410
3. 수박 420
4. 알 430
5. 조개 440
6. 오징어 450
7. 텃밭의 채소 460
8. 곡식 470
9. 밀가루 480
Chapter 10 두근두근, 나들이 가요 493
1. 건강 나들이 496
2. 주변 나들이 506
3. 예술 나들이 516
4. 상상 나들이 526
● 참고문헌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