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교육학개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2020년 COVID-19로 인해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모든 영역이 대변화를 맞게 되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큰 변화는 물리적 접촉이 최소화되면서 언택트(Untact) 문화가 확산되었다는 것이다. 비대면 언택트 상황은 원격교육, 재택근무 확산 등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2020년 대학에 입학한 새내기 대학생들은 한 번도 대학 캠퍼스에 와보지 못한 채 대학생활을 하게 되는 안타까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어느 누구도 경험해 보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가운데,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학교교육의 방향은 무엇인지 고민하는 시간이 점점 길어진다.
  우리나라의 상당수 대학생들은 대학 입학 과정에서 왜,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 충분히 고민하지 않고 대학에 입학한다. 또한 현재 배우고 있는 교과 내용이 자신의 삶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전공과 적성 간의 불일치 등의 이유로 전과, 휴학, 편입, 재입학 등을 전전하며 대학에 적응하지 못하고 혼란을 겪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의 여정 속에서 왜 배워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찾는 것이다. 이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마찬가지이다. 진로를 결정하고 이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학생들이 교육의 의미와 목적을 분명히 설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해 보자고 동료, 후배 교수들과 의견을 나누다가 교육학개론을 함께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을 집필하는 데 중점을 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개론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예비교사인 학생들이 이 책의 내용을 쉽게 읽고 이해하며 적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전문용어를 알기 쉽게 풀어서 제시하였다. 둘째, 각 장 첫 페이지의 ‘생각하기’에 교육학개론 관련 에피소드, 신문기사 등을 소개함으로써 그 장에서 다루어야 할 전반전인 이론과 내용을 미리 생각하고 학습동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최근 교육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이 일상화되었다. 또한 웹(Web)과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신세대 학생들에게 수업 중 어떤 개념이나 이론을 소개할 때 추상적인 자료보다는 구체적인 실물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림, 읽기 자료, 동영상 관련 자료를 QR코드(Quick Response Code)로 만들어 제시하였다. 넷째, 각 장의 끝에 ‘생각 나누기’에 서술형이나 논술형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그 장에서 배운 내용을 기초로 토의, 토론하며 분석, 종합, 통합하는 고차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한 학기 동안에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분량으로 내용을 축약해서 제시하였다.
  이 책의 장별 주요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교육의 이해, 교육의 기본 요소와 형태,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교육학의 성격과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교육사의 이해, 한국과 서양의 교육사를 소개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교육철학의 이해, 전통적 교육철학, 현대 고전적 교육철학과 비판적 교육철학을 소개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습자의 발달과 특성, 학습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교육사회학 발달, 이론, 연구방법과 교육과 사회변화를 소개하고 있다. 제6장에서는 교육과정의 의미와 구성요소, 교육과정의 선정과 조직, 교육과정의 유형과 개발 모형, 한국의 교육과정 변천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제7장에서는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교수설계, 교수·학습 방법, 교수매체를 제시하고 있다. 제8장에서는 교육평가의 이해와 유형, 평가도구의 판단 기준, 교육평가의 실제를 소개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교육행정의 의미,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장학과 교육인사행정, 학교경영과 학급경영을 소개하고 있다. 제10장에서는 생활지도의 의미, 영역과 활동, 상담의 의미, 상담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제11장에서는 평생교육 기초,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의미, 평생교육의 등장과 발전과정 및 향후 과제, 평생학습 강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제12장에서는 교직의 의미, 교사의 역할과 자질, 교사발달, 교사 전문성 개발을 설명하고 있다.
  각 장의 집필자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정미경은 제1장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제4장 교육심리학, 조금주는 제5장 교육사회학, 제11장 평생교육, 권재기는 제7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제8장 교육평가, 김한나는 제6장 교육과정, 제9장 교육행정, 안혜진은 제10장 생활지도와 상담, 제12장 교직과 교사, 이유정은 제2장 교육사, 제3장 교육철학을 집필하였다. 필자들은 이 책이 교육학에 관심 있는 대학생, 대학원생, 교사, 학부모, 그리고 관련 학자 등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교육학개론을 집필하고 완성하기까지 COVID-19라는 복병을 만났음에도 불구하고 함께 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내용 체계를 수립하면서 수차례 토의와 토론 과정에 참여한 집필진들의 열정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를 묵묵히 지켜보고 지지해 주신 필자들의 가족, 동료들의 적극적인 도움과 후원이 매우 컸다. 특히 이 책에서 소개한 여러 개념, 이론, 유형, 방법 등은 필자들의 독창적인 산물이 아니라, 국내․외 학자들과 관련 전문가들의 커다란 학문적 영향에 의해 도출된 산출물임을 밝힌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선뜻 맡아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 김동근 전무님 그리고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21년 3월
저자 일동

 

제1장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1. 교육의 이해 14
   2. 교육의 기본 요소와 형태 20
   3.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24
   4. 교육학의 성격과 구조 28

제2장 교육사
   1. 교육사의 이해 34
   2. 한국 교육사 36
   3. 서양 교육사 47

제3장 교육철학
   1. 교육철학의 이해 60
   2. 전통적 교육철학 63
   3. 현대 고전적 교육철학 69
   4. 현대 비판적 교육철학 78

제4장 교육심리학
   1. 교육심리학의 이해 90
   2. 학습자의 발달 92
   3. 학습자의 특성 98
   4. 학습이론 105

제5장 교육사회학
   1. 교육사회학 발달 122
   2. 교육사회학 이론 125
   3. 교육사회학 연구방법 141
   4. 교육과 사회변화 145

제6장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의미와 구성요소 156
   2. 교육과정의 선정과 조직 159
   3. 교육과정의 유형 161
   4. 교육과정 개발 모형 167
   5. 한국의 교육과정 변천 171

제7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1.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180
   2. 교수설계 188
   3. 교수⋅학습 방법 191
   4. 교수매체 195

제8장 교육평가
   1. 교육평가의 이해 204
   2. 교육평가의 유형 208
   3. 평가도구의 판단 기준 219
   4. 교육평가의 실제 230

제9장 교육행정
   1. 교육행정의 의미 236
   2.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241
   3. 장학과 교육인사행정 252
   4. 학교경영과 학급경영 257

제10장 생활지도와 상담
   1. 생활지도의 의미 266
   2.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270
   3. 상담의 의미 276
   4. 상담이론 282

제11장 평생교육
   1. 평생교육 기초 292
   2.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의미 299
   3. 평생교육의 등장과 발전과정 및 향후 과제 301
   4. 평생학습 강화 이론 317

제12장 교직과 교사
   1. 교직의 의미
   2. 교사의 역할과 자질 331
   3. 교사발달 338
   4. 교사 전문성 개발 342

❚ 참고문헌 348
❚ 찾아보기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