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인류가 무리를 지어 살면서부터 구성원들 사이에는 항상 갈등과 문제가존재해 왔다. 이처럼 구성원들 사이의 갈등과 문제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있어왔으며, 문제의 범위도 삶의 전 분야에 걸쳐 복잡하게 존재해 왔다. 이러한 문제를 접근하는 시각은 여러 가지 다양한 관점이 있겠지만, 현재와 같은 사회문제는 산업화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사회복지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리고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도시화, 핵가족화, 임금노동이 가속화되면서 현대 사회문제는 더욱 복잡ㆍ심각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1960년대 이후 산업화의 결과로 압축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압축적인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사회문제도 짧은 시간 내에 압축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은 우리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사회복지 분야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중요한 목표가 아닐 수 없다.
이처럼 사회문제와 사회복지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관계여서, 사회복지란 결국 사회문제를 인간의 존엄성의 측면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학에서는 입문과정에서 사회문제를 이해하고자 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사회복지사 교육과정에서도 사회문제론을 법정과목으로 편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는 1학년 첫 학기에 전공 기초과목으로 사회문제론을 편성하여, 사회복지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가 해결해야 하는 사회복지적 과제들이 무엇인가를 공부하도록 하고 있으며, 사회복지학과의 전체 교수들이 전공별로 나누어 강의를 맡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교수들은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론의 교재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사회문제의 개론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사회문제론의 한 학기 수업을 위하여 모두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도입부로, 사회문제의 개괄적인 이해를 위하여 사회문제의 정의와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이론들이 정리되어 있다. 2장부터는 분야별 사회문제로, 노동문제, 지역사회의 문제, 빈곤문제, 중독문제, 정신건강 문제, 장애인 문제, 노인문제, 가족문제, 청소년 비행, 범죄, 다문화 문제 등 11개의 사회문제를 다루고 있다.
집필에 참여한 교수들은 집필회의를 통하여 공통적인 체계를 갖추고, 가능한 한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통합적인 관점으로 분야별 사회문제를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개론서의 성격상 많은 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분야별로 집필자에 따라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앞으로 계속하여 수정ㆍ보완해 가기를 바라며, 이 책이 사회복지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지침서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2020년 3월
신어산 기슭에서 집필자 일동
제1장 사회문제의 정의와 이론 11
1. 사회문제의 정의와 이론 13
2. 이론적 관점에 따른 사회문제의 해결방안 25
제2장 노동문제 29
1. 문제제기 31
2. 근대 산업사회에서의 노동문제 33
3. 후기 산업사회에서의 노동문제 44
4. 노동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동자 복지정책의 영역 45
제3장 지역사회의 문제 55
1. 문제제기 57
2. 지역사회 문제의 개념과 변화 58
3. 공동체 회복에 관한 이론 64
4. 지역문제의 실태 70
5. 지역사회 문제의 대응방안 74
제4장 빈곤문제 81
1. 문제제기 83
2. 빈곤이란 무엇인가? 84
3. 빈곤의 요인과 결과 87
4. 빈곤선ㆍ빈곤기준ㆍ최저생활비 92
5. 한국의 빈곤 실태 96
6. 빈곤문제의 대응방안 98
제5장 중독문제 105
1. 문제제기 107
2. 중독문제의 이해 108
3. 중독문제의 원인과 유형 111
4. 결 론 136
제6장 정신건강 문제 153
1. 문제제기 155
2. 정신건강 문제의 이해 156
3. 정신건강 실태와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편견과 형성기제 그리고 낙인 극복방안의 이해 160
4.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적 환경과 정신건강 문제의 대책방안 168
5. 결 론 176
제7장 장애인 문제 183
1. 문제제기 185
2. 분석의 틀 186
3. 장애인 문제의 실태 187
4. 장애인 문제의 대응방안 202
제8장 노인문제 205
1. 문제제기 207
2. 노인의 개념 및 특성 211
3. 노화 관련 이론 215
4. 노인문제의 실태 229
5. 노인문제의 대응방안 232
제9장 가족문제 243
1. 문제제기 245
2. 가족의 개념 및 특성 248
3. 결혼과 이혼 255
4. 가족복지의 개념 및 구성 268
5. 가족문제의 대응방안 273
제10장 청소년 비행 281
1. 청소년 비행의 개념과 특징 283
2. 청소년 비행의 종류와 현황 286
3. 청소년 비행 요인 289
4. 소년 사법절차 295
5. 청소년 비행의 예방과 개입방향 302
제11장 범 죄 307
1. 범죄의 개념과 특징 309
2. 범죄의 유형 310
3. 범죄이론 310
4. 형벌의 종류 313
5. 교정사상의 변화 313
6. 범죄자와 피해자의 인권 314
7. 교정복지의 방향 315
제12장 다문화 문제 317
1. 다문화의 이해 319
2. 다문화의 현황 321
3. 다문화의 문제들 328
■ 참고문헌 339
■ 찾아보기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