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인간의 안전에 대한 욕구는 첨단의 과학기술과 의학기술로도 충족될 수 없다는 것을 해마다 새롭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겪으면서 실감하게 된다. 물론 국가는 안전신문고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학교안전교육 7대표준안과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지도를 개발하며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작 자신의 신변을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교육이 되지 않으면 대처능력이 부족하고 상황과 결과에 대해 남을 원망하는 후회의 삶이 될 뿐이다. 따라서 가장 민감하고 민첩할 수 있는 영유아기에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남과 더불어 안전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나의 안전뿐 아니라 남의 안전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인식할 때 배려와 존중, 나눔, 협력 등의 인성적 가치를 학습하며 안전한 삶의 태도를 갖출 수 있을 것이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새해부터 적용됨으로써 놀이중심의 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를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교사의 세심한 관찰능력과 유아 스스로 안전지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오랫동안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경력이 있는 집필진이 모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제적인 안전교육의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다.
내용 구성은 크게 1부 영유아 안전교육의 이론과 2부 영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로 나누었다. 1장 영유아 안전교육의 기초 이해와 6장 국내 안전교육 프로그램, 7장 식품안전, 8장 미디어 안전, 10장 약물안전, 14장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은 김현자 교수가 집필하였다. 2장과 3장의 발달 특성 및 교육과정과 안전교육, 4장과 5장의 실내 및 실외 안전관리는 강경민 교수가 집필하였다. 9장 교통안전과 11장 화재안전, 12장 재난안전, 13장 대인안전은 김성은 교수가 집필하였다.
이 책이 예비유아교사들뿐 아니라 현장교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안전교육의 실제를 많이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그럼에도 부족한 내용이나 수정이 요구되는 법령 및 기타 사항이 있다면 계속 보완해 갈 것이다.
이 책의 마무리를 위해 끝까지 애써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20. 3.
집필진 일동
[1부] 영유아 안전교육의 이론
1장 영유아 안전교육의 기초 이해 11
1. 영유아 안전교육의 개념 12
2. 영유아 안전교육의 필요성 15
3. 안전교육의 제도적·학술적 노력 21
2장 0~2세 발달 특성과 안전교육 33
1. 만 0세 영아의 발달 특성과 안전 35
2. 만 1세 영아의 발달 특성과 안전 44
3. 만 2세 영아의 발달 특성과 안전 51
4. 표준보육과정과 안전교육 59
3장 3~5세 발달 특성과 안전교육 65
1. 만 3~5세 유아의 발달 특성과 안전 67
2. 만 3~5세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 및 대처 방법 70
3. 누리과정과 안전교육 72
4장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시설 및 안전 87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 안전관리 89
2. 실내환경 평가 102
5장 유아교육기관의 실외시설 및 안전 111
1. 유아교육기관의 실외 안전관리 113
2. 실외환경 평가 125
6장 국내 안전교육 프로그램 129
1. 안전체험관 견학 프로그램 131
2. 교육기관 내 안전교육 프로그램 135
3. 3~5세 누리과정의 안전교육 프로그램 141
[2부] 영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7장 식품안전 147
1. 식품안전의 개념 148
2. 식품안전교육의 필요성 150
3. 식품안전교육의 내용 153
4. 식품안전교육의 실제 164
8장 미디어 안전 167
1. 미디어 안전의 개념 168
2. 미디어 안전교육의 필요성 169
3. 미디어 안전교육의 내용 172
4. 미디어 안전교육의 실제 176
9장 교통안전 181
1. 교통안전의 개념 183
2.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 183
3. 교통안전교육의 내용 184
4. 교통안전교육의 실제 197
10장 약물안전 207
1. 약물안전의 개념 208
2. 약물안전교육의 필요성 211
3. 약물안전교육의 내용 213
4. 약물안전교육의 실제 216
11장 화재안전 219
1. 화재안전의 개념 220
2. 화재안전교육의 필요성 222
3. 화재안전교육의 내용 222
4. 화재안전교육의 실제 234
12장 재난안전 249
1. 재난안전의 개념 251
2. 재난안전교육의 필요성 252
3. 재난안전교육의 내용 253
4. 재난안전교육의 실제 270
13장 대인안전 279
1. 아동학대 280
2. 실 종 290
3. 유 괴 301
14장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313
1. 응급처치 314
2. 응급처치의 실제 320
부록 333
참고문헌 352
찾아보기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