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심리치료와 상담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 사회에서 상담 및 심리치료의 수요가 폭증하면서 한 학문으로서 상담 및 심리치료의 전문성도 고양되어 왔다. 상담 관련 전공을 개설, 운영하고 있는 각 대학 및 대학원의 증가, 상담 관련 국가자격제도의 시행, 이와 더불어 상담이론, 상담과정, 상담실제와 관련된 많은 저서와 역서의 출간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대학의 상담 관련 전공분야에서 심리치료와 상담은 가장 핵심이 되는 과목이기 때문에 이 과목의 수강은 필수이며 이 과목을 통해 잘 전수받은 지식은 좋은 상담자가 되기 위한 초석이다. 이때에 좋은 교수의 훌륭한 강의와 잘 다듬어진 교재는 상담공부의 필요충분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시중에 나와 있는 교재는 어떤 책은 상담의 이론만을 주로 다루고 있고 또 다른 책들은 상담의 실제나 과정을 다루고 있어 초심자들에게 필요한 입문서로서 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적절한 분량과 적당한 깊이의 내용을 두루 수록하고 있는 책을 찾는 것이 어려웠다. 상담 및 심리치료라는 학문의 깊이와 방대함을 고려하다 보면 책의 내용이 한 주제에 몰입하고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육대학원, 심리상담대학원, 복지대학원 등의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상담 전공자들에게 어려운 내용을 쉽게 풀어 좀 더 이해하기 쉽고 다가가기 쉬운 학문으로 잘 안내하고 있는 교재의 발간은 긴요하고 시급한 일이므로 다소 늦은 감이 있더라도 출간을 결심하게 되었다.

  본 서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적절하게 다루면서 상담에 입문한 학생들에게 기초가 될 만한 내용을 선택하여 기술하고 있다.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에서는 상담의 기초로 상담의 정의,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상담의 역사, 그리고 상담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제2부에서는 인간의 문제를 이해하고 그 해결과정을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이론을 담고 있다. 이 이론들은 세계적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가 가장 발달한 북미와 한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8가지를 선택하여 제시하고, 더불어 각 이론에 대해서 집중적인 훈련을 받을 수 있는 곳과 더 읽을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상담의 실제로 상담자의 기초 기술과 능력, 촉진적 의사소통기술 그리고 매체상담의 실제를 기술하고 있다. 매체상담은 면대면 상담의 대체기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전화상담과 2000년 이후 컴퓨터와 인터넷 매체가 활성화되면서 상담활동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사이버상담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본 서를 잘 활용하면 상담에 필요한 기초 기술을 익히고 기본 이론을 잘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 상담관련 인구(人口)의 양적 팽창으로 인해 상담윤리의 문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이 더욱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향후 개정판이나 별도의 서적을 통해 상담윤리와 관련된 쟁점을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아무쪼록 본 서가 상담자, 정신건강전문가, 사회사업가 등 상담 및 심리치료에 입문하여 전문적 조력을 직업으로 준비하는 많은 초심자들에게 상담과 심리치료라는 항해에 요긴한 나침반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해 본다. 본 서의 집필을 위해 필요한 자료수집 및 편집을 도와준 광운대 일반대학원 상담교육 박사 수료생 김지연 선생님께 깊은 고마움을 표한다.

광운대 연구실에서

저자 박경애

 

PART 1 상담의 기초


CHAPTER 01 상담의 정의 13

  1. 생활지도, 상담, 심리치료 15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19


CHAPTER 02 상담의 역사 21

  1. 미국의 역사 21

  2. 한국의 역사 25


CHAPTER 03 상담패러다임의 변화 31

  1. 병리적ㆍ치료적 접근 31

  2. 성장과 적응을 강조한 예방적 접근 31

  3. 잠재력의 개발 및 수월성의 추구 32


CHAPTER 04 상담의 준비과정 35

  1. 상담준비 35

  2. 상담과정 37

  3. 접수면접 38


CHAPTER 05 상담행정의 이해 45

  1. 상담파일의 중앙관리 45

  2. 상담회기의 녹음 및 동영상 촬영에 대한 내담자의 동의 구하기 45

  3. 각종 협의회 및 의뢰체계의 구축 46


CHAPTER 06 본상담의 과정 49

  1. 본상담의 준비단계 49

  2. 본상담의 개인적인 무대 설정 49

  3. 상담의 사회적인 무대 설정 55


CHAPTER 07 상담의 종결 63

  1. 상담종결의 준비 64

  2. 상담종결의 과정 65

  3. 상담의 종결기 68

  4. 상담종결기의 과제 70

  5. 상담종결 시점의 결정 72

  6. 상담종결 후의 생활과제에 대한 논의 73

  7. 추수상담의 수행과 그 이후 75


PART 2 상담의 주요 이론


CHAPTER 08 왜, 이론을 공부해야 하는가 89


CHAPTER 09 정신분석학(Psychoanalysis) 91

  1. 개 요 94

  2. 주요 개념 95

  3. 상담의 과정 105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109

  5. 요약 및 평가 112


CHAPTER 10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 115

  1. 개 요 118

  2. 주요 개념 119

  3. 상담의 과정 127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130

  5. 요약 및 평가 133


CHAPTER 11 의미치료(Logotherapy) 137

  1. 개 요 139

  2. 주요 개념 139

  3. 상담의 과정 142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145

  5. 요약 및 평가 148


CHAPTER 12 인간중심 상담(Person Centered Therapy) 151

  1. 개 요 154

  2. 주요 개념 154

  3. 상담의 과정 156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161

  5. 요약 및 평가 162


CHAPTER 13 게슈탈트 상담(Gestalt Therapy) 165

  1. 개 요 167

  2. 주요 개념 167

  3. 상담의 과정 171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179

  5. 게슈탈트 기도문과 선(禪) 184

  6. 요약 및 평가 186


CHAPTER 14 행동주의 치료(Behavioral Therapy) 189

  1. 개 요 190

  2. 주요 개념 191

  3. 상담의 과정 192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193

  5. 요약 및 평가 204


CHAPTER 15 인지ㆍ정서ㆍ행동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207

  1. 개 요 211

  2. 주요 개념 218

  3. 상담의 과정 223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231

  5. 요약 및 평가 238


CHAPTER 16 현실치료(Reality Therapy) 243

  1. 개 요 245

  2. 주요 개념 245

  3. 상담의 과정 248

  4. 상담의 주요 기법과 절차 252

  5. 요약 및 평가 256


PART 3 상담의 실제


CHAPTER 17 상담자의 기초 기술과 능력 261

  1. 상담관계의 독특성에 대한 이해 261

  2. 치료적 관계를 촉진하는 행동과 차단하는 행동 262

  3. 상담자가 지양해야 할 태도 264


CHAPTER 18 촉진적 의사소통기술 269

  1. 적극적인 경청(Active Listening) 269

  2.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 272

  3. 질문의 기술(Skill of Questions) 276

  4. 요약하기(Summarization) 282

  5. 재진술하기(Paraphrasing) 284

  6. 명료화하기(Clarification) 285

  7. 직면하기(Confrontation) 286

  8. 구체화하기(Concreteness) 288

  9. 자기개방하기(Self-disclosure) 289


CHAPTER 19 매체상담과 그 실제 293

  1. 전화상담 293

  2. 사이버상담 302


■ 부 록 329

■ 참고문헌 363

■ 찾아보기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