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영유아기는 인생의 그 어느 시기보다 급속하게 발달을 이루며 개인차가 많은 시기이다. 따라서 영유아교사들이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들을 보호하고 교육하는 데 관찰은 꼭 필요하다.
훌륭한 교사란 영유아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민감하게 반응하는 관찰자이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영유아의 발달수준, 흥미, 욕구 등을 발견하여 적절한 성장과 발달을 돕는 것이다.
Bredekamp(1987)는 ‘숙련된 유아교사라 하더라도 교육현장에서 영유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려고 할 때는 곰곰이 숙고할 필요가 있다. 관찰의 핵심은 영유아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가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하지만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영유아의 행동을 관찰, 기록, 평가하고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일이다.
관찰은 영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관심이며 이것은 곧 사랑이다. 교사에게 영유아 개개인의 존재를 인정하는 관심과 사랑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관찰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영유아를 관찰한다는 것은 관심을 가지는 행위이며 이것은 영유아를 더 많이 알아가며 사랑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학기 초부터 영유아를 지도하면서 교과활동이나 프로그램을 지도함에 급급하여, 자칫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의 발달에 관한 관찰과 평가에서 소홀할 수 있음을 느꼈다. 따라서 저자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나 일선의 유아교육현장에서 직접 지도할 수 있는 유아 관찰과 행동에 대해 구체적인 실제와 함께 도움이 되는 책을 쓰고 싶었다. 이에 표준보육과정에 의거한 6개 발달영역,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의 지도방안과 유아 문제행동의 실제 부분은 현장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교과목의 표준개요에 근거하여 장별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아동관찰의 이해에서부터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의거한 아동 문제행동의 구체적인 지도와 문제행동의 실제까지 구성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제시하였다.
이 책은 총 4부 13장으로 구성되며, 유아 행동 관찰(1부), 유아관찰 유형 및 활용(2부), 유아 행동의 이해와 중재전략(3부), 유아 문제행동의 실제(4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유아관찰의 이해(1장)를 다루었으며, 2부에서는 유아관찰의 유형 및 활용(2장), 유아평가 및 유아관찰척도(3장)에 대해서 다루었다. 3부에서는 유아 행동의 이해(4장), 유아 문제행동 진단을 위한 자료수집(5장), 유아의 바람직한 행동지도 전략(6장)과 바람직한 행동을 위한 환경구성(7장),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의한 유아발달 영역에 따른 행동지도(8장)에 대해서 다루었다. 이어 4부에서는 유아 문제행동의 실제에 대한 부분으로 방해하는 행동(9장), 정서적으로 불안한 행동(10장), 참여하지 않는 행동(11장), 공격적인 행동(12장), 파괴하는 행동(13장)으로 구성하여, 유아교육기관의 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들을 수록하였다.
평소 저자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관찰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깨달은바,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영유아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었다. 또한 장차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할 예비교사들에게 효율적인 방안과 지식을 전달하는 데 이해를 돕고자 이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다. 실제 현장경험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많이 부족함을 안다. 이번에 개정된 누리과정에 의거 수정·보완되어 좋은 책으로 거듭나는 과정임을 알고 여러분들의 도움과 조언 또한 기꺼이 받아들이며 이 책이 바람직한 유아교육을 위한 좋은 활용서가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이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가 되려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현직 유아교사를 포함한 유아교육과 보육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따라서 저자는 아동관찰과 연구에 관한 전문가로서가 아닌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육을 실천하고 연구하는 교육자로서 집필한 것이기에 부족한 부분은 계속 수정하고 보완해 갈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이 계속적으로 거듭 수정 보완되어 새롭게 탄생할 수 있도록 소중한 기회를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의 가족 여러분께 고개 숙여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0년 2월
초록 들녘이 보이는 연구실에서
저자 씀
PART 01 유아 행동 관찰
CHAPTER 01 유아관찰의 이해 13
1. 유아관찰의 필요성 13
2. 유아관찰의 목적 14
3. 유아관찰의 종류 16
4. 유아관찰의 절차 19
PART 02 유아관찰 유형 및 활용
CHAPTER 02 유아관찰 유형 및 활용 25
1. 일화기록 25
2. 연속기록 30
3. 표본기록 31
4. 시간표집법 33
5. 사건표집법 39
6. 행동목록법 47
7. 평정척도법 52
8. 포트폴리오 평가 58
CHAPTER 03 유아평가 및 유아관찰척도 71
1. 유아평가 71
2. 유아관찰척도 85
PART 03 유아 행동의 이해와 중재전략
CHAPTER 04 유아 행동의 이해 113
1. 유아 행동의 이해 113
2.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 119
3. 유아 문제행동의 유형 133
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문제행동 135
5. 교사의 조기개입의 중요성과 역할 138
6. 유아 문제행동 관찰의 적용 140
CHAPTER 05 유아 문제행동 진단을 위한 자료수집 145
1. 일반적인 정보 145
2. 구체적인 정보 147
3. 정보수집 방법 147
4. 가족과의 협력 148
CHAPTER 06 유아의 바람직한 행동지도 전략 157
1.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행동지도 전략 157
2. 문제행동을 감소, 제거시키는 행동지도 전략 165
3. 문제와 갈등을 해결하는 전략 174
4. 바람직하게 변화된 유아의 행동 유지 179
CHAPTER 07 바람직한 행동을 위한 환경구성 181
1. 바람직한 물리적 환경구성 181
2. 학급일과 운영에 따른 교사의 역할 185
3. 교사와 유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192
CHAPTER 08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의한 유아발달 영역에 따른 행동지도 197
1. 기본생활 197
2. 신체운동·건강 200
3. 의사소통 204
4. 사회관계 208
5. 정서발달 215
6. 인지발달 222
PART 04 유아 문제행동의 실제
CHAPTER 09 방해하는 행동 229
1. 소리를 지르며 교실수업을 방해해요 229
2. 교실을 나가서 다른 데로 가요 231
3. 단체활동을 방해해요 234
CHAPTER 10 정서적으로 불안한 행동 237
1. 손가락을 빨아요 237
2. 짜증을 부리며 떼를 써요 239
3. 무조건 울어요 243
4. 아기 말투로 말을 해요 247
5. 대소변을 자주 실수해요 250
6. 자위행위를 해요 252
CHAPTER 11 참여하지 않는 행동 259
1. 특정한 놀잇감만 가지고 놀아요 259
2. 서로 나누지 않아요 262
3. 활동에 참여하지 않아요 264
4. 혼자서만 놀아요 267
5. 매우 산만해요 270
6. 말을 잘 하지 않아요 275
7. 자신감과 발표력이 부족해요 280
8. 요구에 따르지 않고 말을 안 들어요 283
CHAPTER 12 공격적인 행동 287
1. 나쁜 말(욕)을 사용해요 287
2. 자주 거짓말을 해요 290
3. 다른 유아를 자주 물어요 293
4. 친구들을 때리고 다치게 해요 296
5. 남의 물건을 가져가요 299
CHAPTER 13 파괴하는 행동 303
1. 변기에 물건을 넣고 물을 내려요 303
2. 장난감이나 물건을 부수어요 305
3. 종이를 함부로 낭비해요 308
4. 다른 유아의 작품을 망가뜨려요 310
■참고문헌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