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마을에는 익명성과 공동성이 공존한다. 일정한 익명성이 보장된 공동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함께는 괴롭고, 혼자는 외롭다.’ 그래서 낄 때 끼고, 빠질 때 빠져야 한다. 이 ‘낄끼빠빠’의 기준은 자신의 관심사이다.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일,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일, 재미있게 여기는 일 등이라면 익명성이 다소 훼손되더라도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지역사회복지 현장에서 실질적인 주민참여는 매우 어렵다. 주민 스스로 생각하기에 명분이나 이익이 있거나 재미가 있어야 마을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참여하지 않거나, 다른 이유로 참여한다고 해도 곧 그만두게 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최소한의 지리적 공간은 마을, 동네, 읍면동일 것이다. 부르는 호칭은 달라도 생각하는 공간의 느낌은 비슷할 것이다. 매일같이 지나다니는 지역, 같은 사람(주민)을 자주 만나기도 하는 지역, 어디에 무엇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지역일 것이다.
마을에는 늘 접하게 되는 생활과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려는 주민들이 있다. 과제에 따라서는 혼자만의 생각일 수도 있고, 몇몇 주민의 생각일 수도 있다. 어떻게 과제에 대응해야 할지, 누가 주도적으로 해결에 나서야 할지, 어떤 방법으로 대처하는 것이 좋을지, 필요한 비용은 어떻게 마련할지, 그렇게 했을 때 과연 성과가 나타날지 등을 생각하면 생각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마을에 대해 불만과 불평이 많은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다.
행안부에서는 2017년 문정권 출범 이후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주민자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주민 주도 마을복지계획 수립⋅실행’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는 기존의 ‘행정 주도’에서 ‘주민 주도’로의 전환이라는 것과 복지계획 수립 단위를 주민의 삶의 현장인 읍면동, 마을로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제까지 익숙하게 이뤄져 온 행정 주도의 복지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주민 종속적 자세가 보편화되어 있는 현장에서 주민 주도적 마을복지계획의 수립과 실행이 가능할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된다.
지역복지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필수적이다. 주민의 주도적 참여가 제한적이면 계획의 실행과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계획의 형식화, ‘캐비넷 속의 계획’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주민 주도성을 살린 행정과의 협력, 전문가의 지원이 어우러질 때 마을의 생활과제에 제대로 대응하는 마을복지계획을 수립⋅실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018년 봄, 광주 오치1동에서 마을복지계획 수립을 위해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연락을 받고 개입하게 되었다. 연말경 마을복지계획이 완성되었고, 이어서 계획의 실행으로 이어졌다. 주민 주도의 마을복지계획을 처음 시도하는 일이라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읍면동 차원에서 마을복지계획을 세우려는 곳이나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책으로 만들게 되었다.
이 책은 마을복지계획의 이해를 돕기 위한 부분과, 오치1동 마을복지계획 수립 경험, 일본 지자체에서 지역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주민간담회 직원매뉴얼 소개 그리고 마을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매뉴얼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오치1동 마을복지계획 수립에 참여한 주민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밤늦은 시간까지 마을의 복지과제에 대하여 함께 고민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만들기를 몇 달에 걸쳐 해왔다. 이번 기회를 통해 주민 주도의 마을복지 실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오치1동 및 관련 행정 관계자들과 전문가로 참여한 분들께도 감사를 표한다. ‘주민 주도’의 가치를 지키려고 애써준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출판을 위해 애써준 도서출판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편집부 관계자에게 감사를 표한다.
2020년 봄
저자들을 대표하여 박태영 씀
Chapter 01 마을복지계획의 이해
1. 지역사회복지에서 마을(읍면동)의 위상 12
2. 주민 주체력 15
3. 마을복지계획의 특성 19
4. 마을복지계획 수립 원칙과 과정 21
1) 마을복지계획 수립 원칙 21
2) 마을복지계획 수립 과정 24
3) 마을복지계획 수립 원칙과 과정의 매트릭스 25
Chapter 02 마을복지계획 수립 경험
1. 사례지역의 개요 29
1) 유 래 30
2) 지역특성 30
3) 일반 현황 30
4) 주요 기관 및 업소 현황 30
5) 단체 현황 31
6) 인구 현황 31
7) 기타 현황 31
2. 추진 경과 32
1) 성 인 32
2) 청소년 34
3. 준비단계 34
1) 복지리더 양성을 위한 교육 기획 및 실시 34
2) 마을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사전 준비 38
4. 수립단계 54
1) 1차 간담회 55
2) 2차 간담회 65
3) 3차 간담회 75
4) 4차 간담회 81
5) 5차 간담회 87
6) 6차 간담회 94
7) 7차 간담회 103
5. 청소년간담회 123
1) 1차 간담회 125
2) 2차 간담회 131
3) 3차 간담회 135
4) 4차 간담회 138
5) 5차 간담회 143
6. 공유단계 146
1) 주민선포식 사전 준비 146
2) 주민선포식 148
3) 주민선포식 평가 153
Chapter 03 일본의 주민간담회 담당직원 매뉴얼
1. 쯔루오카시 주민간담회 담당직원 매뉴얼 158
2. 나카츠시 주민간담회 담당직원 매뉴얼 174
Chapter 04 마을복지계획 수립 매뉴얼
1. 마을복지계획 수립의 과정 및 원칙적용 205
2. 마을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단계별 유의사항 208
1) 준비단계 208
2) 수립단계 210
3) 공유단계 214
■ 부록 219
■ 참고문헌 231
■ 찾아보기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