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인간행동, 사회환경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 복잡한 관련성을 이해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초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간행동 그리고 사회환경과 관련된 지식들은 너무나 광범위하므로 교과목에 포함되어야 할 이론의 범주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학생들의 학습량 그리고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등에 기인한 이유로 쉽게 변화를 시도할 수가 없었다. 2판에서는 2019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교과목 지침을 바탕으로 기존 교과목 구조에 약간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즉, 사회의 본질을 설명하는 이론과 사회적 불평등과 다양성 관련 주제들을 몇 가지 포함하였다.

 우선 1부의 1장에서는 이 책에서 다룰 전체 내용을 요약적으로 설명하면서 사회복지의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인권과 사회정의가 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의 학습에서 상기되어야 하는지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2장부터 5장까지는 성격이론으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정신역동이론, 행동주의 및 인지이론, 인본주의 이론을 다루었으며 성격의 생물학적ㆍ성향적 관점을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았다.
 2부는 6장부터 8장까지로, 사회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주의 이론, 갈등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그리고 교환이론을 하나의 장으로 다루었다. 애초에는 보다 자세하게 두 개의 장으로 살펴보려고 했으나 학생들의 학습 부담 등의 이유로 보다 간략하게 기술하기로 하였다. 7장에서는 사회적 불평등과 다양성 이슈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계층, 젠더, 그리고 문화와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8장은 인간과 사회환경의 상호 교류를 확인하기 위해 생태체계이론의 기본개념과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3부에서는 전 생애과정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인간발달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애초에는 각 발달단계별로 사회적 억압과 차별의 문제를 보다 집중적으로 부각하려고 했지만 다음의 과제로 남기고 발달단계별로 생물학적ㆍ심리적ㆍ사회적 특성을 기존의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3부에서는 1부와 2부에서 다루었던 인간행동 그리고 사회환경과 관련된 이론들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인간의 발달과정을 고찰하려고 하였지만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움이 있다.
 2판을 집필하려고 했던 동기와 목적은 2018년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주관한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과목 교과목지침 개발연구에 참여하면서 느꼈던 도전 과제를 해결하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모든 것이 그러하듯이 처음의 목적을 완벽하게 달성하였다고 할 수는 없으며, 부족하고 미흡한 이 책의 내용들은 향후 독자들의 조언을 통해 보완해 나가려고 한다. 끝으로 사회복지 교육의 발전을 위해 흔쾌히 출판을 허락해 주신 공동체의 김동훈 대표님과 꼼꼼하게 편집해 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를 드린다.

2020년 2월
경남대 고운관에서 엄태완


 

PART 1 인간행동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Chapter 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개관 11

1.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12
2. 사회환경을 이해하는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20
3. 전 생애과정의 통합적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27
4. 인권 및 사회정의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9


Chapter 2. 인간행동의 정신분석적 접근 37

1. 기본 개요 38
2. 주요 개념 39
3. 정신분석적 접근과 사회복지실천 59


Chapter 3. 인간행동의 신정신분석적 접근 67

1. 개인심리이론 68
2. 분석심리이론 80
3.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94


Chapter 4. 인간행동의 행동주의 및 인지적 접근 113

1. 조건형성이론 114
2. 사회인지이론 128
3. 인지이론 136


Chapter 5. 인간행동의 인본주의적 접근 153

1. 인간중심이론 154
2. 욕구위계이론 164


PART 2 사회환경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Chapter 6. 사회환경을 이해하는 기본 이론 183

1. 기능주의 이론 184
2. 갈등이론 191
3.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197
4. 교환이론 201


Chapter 7. 사회적 불평등과 다양성의 이해 209

1. 사회계층 210
2. 젠 더 220
3. 문 화 228


Chapter 8. 인간과 사회환경의 상호작용 이해 243

1. 일반체계이론 244
2. 생태체계이론 252


PART 3 전 생애과정의 통합적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Chapter 9. 태내기ㆍ영아기 발달 267

1. 인간발달 개관 268
2. 태내기 발달 277
3. 영아기 발달 287


Chapter 10. 유아기ㆍ아동기 발달 313

1. 유아기 발달 314
2. 아동기 발달 332


Chapter 11. 청소년기ㆍ청년기 발달 357

1. 청소년기 발달 358
2. 청년기 발달 377


Chapter 12. 중년기ㆍ노년기 발달 397

1. 중년기 발달 398
2. 노년기 발달 411


■ 참고문헌 435
■ 찾아보기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