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동복지론 [제4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세 번째 판(제3판)을 세상에 내보낸 지 3년이 좀 지나서, 네 번째 판(제4판)을 선보이게 되었다. 네 번째 판에서는 전체 장을 이전의 15장에서 13장으로 줄였고, 내용을 일부 보완하였다.

 이번 판에서는 크게 4부로 나누어서 아동복지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제Ⅰ부에서는 아동복지를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I부에서는 아동복지의 일반적 측면, 아동복지와 가족, 아동의 권리, 아동의 욕구와 아동의 발달에 관해 살펴보고 있다.
 제Ⅱ부에서는 주요한 아동복지 서비스 영역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Ⅱ부에서는 아동학대, 보육, 시설보호와 아동복지시설, 가정위탁, 입양에 관해 살펴보고 있다.
 제Ⅲ부에서는 특별한 욕구를 가진 아동과 이런 아동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Ⅲ부에서는 장애아동, 빈곤아동, 부모가 이혼한 아동에 관해 살펴보고 있다.
제Ⅳ부에서는 아동복지의 폭넓은 환경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Ⅳ부에서는 아동복지의 생태학적 측면에 관해 살펴보고 있다.
 이전 판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번 판에서도 독자가 쉽게 읽도록 하는 데 크게 주목하였다. 그래서 단어와 문장을 쉬운 표현으로 바꾸었고, 내용이 어려운 부분은 과감히 잘라냈다.
 하지만 이번 판에서도 부족한 점이 눈앞에 어른거린다. 나중에 기회가 있을 때에 부족한 점을 가다듬겠다는 속보이는 변명을 늘어놓으며 부끄러움을 살짝 감춰본다.
 이번 판을 만드는 데 여러 사람이 도움을 주셨다. 이 자리를 빌려 그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특히 곁에서 항상 격려해 주시는 사회복지연구회의 심희숙 회장님과 임원님들(김연서ㆍ김소영ㆍ이재연ㆍ간순옥ㆍ유호석ㆍ윤석연ㆍ장혜숙ㆍ조현철ㆍ홍정미ㆍ윤종선 박사님)께 깊은 고마움을 표한다. 또한 귀한 사진을 제공해 주신 최난희 박사님과 조미정 박사님에게 감사를 전한다.
 또한 이번 판을 세상에 나오게 해주신 김동훈 공동체 사장님에게 감사드리고, 꼼꼼히 편집해 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에게도 감사드린다.
 그리고 항상 옆에서 든든한 둥지가 되어주는 아내 전영신과 아들 대겸에게 사랑이 가득한 풍선을 날려본다. 이 책은 갑자기 다가온 큰 시련을 잘 헤쳐나간 아들 부부에게 바친다.

2020년 7월에
유섭(儒燮) 노병일


 

PART 01 아동복지의 기본적 토대


제1장 아동복지의 일반적 측면

   1. 아동과 아동기의 정의 15
   2. 아동복지의 정의와 목적 및 관점 19
   3. 아동복지의 특징과 원칙 24
   4. 아동복지 서비스 28
   5. 아동복지와 관련된 사회복지사의 역할 35
   6.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39
   7. 아동복지와 관련된 인구적․사회적 변화 41


제2장 아동복지와 가족

   1. 가족의 중요성과 정의 43
   2. 가족의 기능 44
   3. 가족과 관련된 변화와 가족 형태 47
   4. 아버지와 아동복지 61


제3장 아동권리

   1. 아동권리의 배경과 정의 및 제시 67
   2. 아동권리의 특징과 내용 70
   3. 아동권리의 역사와 경향 74
   4. 아동권리에 근거한 접근방식 80
   5.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전반적 상황과 배경 및 진전 82
   6.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특징과 의의 84
   7.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기본 원칙과 실행 88
   8.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상위 권리와 주요한 권리 영역 및 구체적 권리 92
   9. 아동권리 교육 101


제4장 아동욕구와 아동발달

   1. 아동욕구의 중요성과 형태 105
   2. 아동발달의 요소와 가정 109
   3. 아동발달 이론의 진전과 분류 113
   4. 주요한 아동발달 이론 115


PART 02 주요한 아동복지 서비스 영역


제5장 아동학대

   1. 아동학대와 아동복지 129
   2. 아동학대의 정의와 고려할 점 130
   3. 아동학대의 형태 134
   4.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의 역사와 아동학대 실태 139
   5. 아동학대를 보여주는 표시와 유발 요인 및 학대자 특징 144
   6. 아동학대의 영향 153
   7. 아동학대의 신고와 아동학대에 대한 개입 159
   8. 아동학대의 예방과 관련 방안 167


제6장 보육과 방과 후 프로그램

   1. 보육의 정의와 목적 및 의의 172
   2. 보육의 역사 175
   3. 보육시설의 형태와 보육의 공적 특성 180
   4. 보육의 효과 183
   5. 방과 후 프로그램 185
   6. 보육교사(방과 후 교사)가 고려할 점 189


제7장 시설보호와 아동복지시설

   1. 시설보호의 정의와 의의와 역사 및 대상 194
   2. 시설보호의 역할과 장점 및 문제점 197
   3. 그룹홈 201
   4.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시설 203


제8장 가정위탁

   1. 가정위탁의 정의와 특징과 목적 및 의의 207
   2. 가정위탁의 역사와 현황 210
   3. 가정위탁의 형태 211
   4. 가정위탁의 내용과 대상 및 기간 215
   5. 가정위탁의 장점과 문제점 218
   6. 수양부모 221
   7. 사회복지사의 역할 225


제9장 입양

   1. 입양의 정의와 목적 및 의의 231
   2. 입양의 역사와 현황 234
   3. 입양 절차와 사후관리 서비스 238
   4. 입양기관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245
   5. 입양과 관련된 쟁점 248


PART 03 특별한 욕구를 가진 아동


제10장 장애아동

   1. 아동복지와 장애아동 및 장애아동의 정의 253
   2. 장애아동의 욕구와 권리 및 현실 255
   3. 장애아동의 보육과 교육 264
   4. 장애아동에 대한 학대 266
   5. 사회복지사가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의 고려할 점 269


제11장 빈곤아동

   1. 아동빈곤에 대한 관심의 배경과 아동빈곤의 현황 276
   2. 아동빈곤의 영향 279
   3. 빈곤과 관련된 위험 요인과 중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85
   4. 한부모가족․장애․학대 아동과 빈곤 287
   5. 빈곤아동과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과 방안 289
   6. 조기개입 프로그램 295


제12장 이혼한 가족의 아동

   1. 이혼의 정의와 경향 및 아동복지 302
   2. 이혼의 영향 305
   3. 이혼 부모의 역할 315
   4. 사회복지사의 역할 316

 

PART 04 아동복지의 폭넓은 환경


제13장 아동복지의 생태학적 측면

   1. 생태학적 관점의 필요성과 정의 및 의의 327
   2. 브론펜브렌너의 생태체계 모델 329
   3. 아동복지의 생태학적 요소 333
   4. 아동복지의 생태학적 측면과 관련된 사례 338
   5. 아동복지의 정치적 요소와 사회정책 343


부록 유엔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351


참고문헌 367
찾아보기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