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평생교육프로그램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간의 가르침과 배움을 통한 의사소통 과정이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다양한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이 다루어진다. 그런데 무엇을 위한, 무엇을 만들어내기 위한, 어디로 가기 위한 의사소통인가를 물어보면 대답이 쉽지 않다. 어떻게 할 것이고, 왜 할 것인지에 대한 대답도 만만하지 않다. 이론으로, 주장과 말로 끝나지 않고 과정이 실제로 진행되어야 하고, 일정한 결과를 기대해야 하기 때문이다.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말 그대로 신(信)이 있어야 한다. 신(信)은 믿음(belief)와 다른 뜻이다. 사람의 말은 실체로써 증명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제시한 말이 실제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필요한 까닭이다.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실체로 증명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개발되는 것이 우선이다. 언제, 누가 와서, 어떤 주제로, 어느 정도 시간의 강의를 하도록 구성하는 것만을 프로그램 개발이라고 하는 것은 부족하다.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삶과 사회에 현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현상태를 이상적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은 특정 평생교육기관이나 정부기관 등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생활세계에서 다양한 모습과 방식으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진다. 일상생활에서의 모든 노력과 실천 등이 그것이다.
이 책에서는 평생교육기관 등의 영역에서 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을 다루었다. 그 기반에는 문제해결과 이상적 상태로의 전환을 두었다. 다루고 있는 내용 중 특징적인 것을 몇 가지 이야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목표를 4단계로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성패를 몇 명이 수강하였는가로 판단한다. 프로그램의 목표로 제시되는 표현과는 달리 수량적 실적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예산 측면에서의 압력도 존재한다. 보다 열려 있고 가치생성과 구체적 성과 확보를 바라보는 것이 요구된다는 관점에서 프로그램의 목표를 4단계로 설정하였다.
둘째, 학습자 분석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때 대상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 이를 보완하고 학습자를 실체적으로 만나며 이들의 욕구를 찾아내기 위해 학습자 분석을 짚어보았다.
셋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주제발굴 경로를 네 가지로 들여다보았다. 평생교육 현장에서 큰 어려움 중의 하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설정하는 것이다. 다른 곳에서 하는 프로그램을 참고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시나리오 기법과 패러다임 기법 등을 통하여 프로그램 주제를 발굴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넷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성공환경 조성을 따져보았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 할지라도 그 자체로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 수 없다. 봄에 씨를 뿌릴 때 땅심이 있는 곳에 뿌려진 씨와 메마르고 돌투성이의 땅에 뿌려진 씨는 소출은 고사하고 싹을 내는 것부터 다를 수밖에 없다. 프로그램이 성공하기 위해 어떤 환경이 필요하고 이를 어떻게 조성해야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책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 하는 것은 무엇이고, 왜 그것을 준비해야 하며,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흐름에 맞게 구성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이 책을 3부 12장으로 구성하였다.
1부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1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념을 톺아보았다. 구체적으로 평생교육의 뜻으로 본 평생교육프로그램, 전통적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념과 실제적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념, 실제적 평생교육프로그램과 마케팅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4단계 목표와 지향을 들여다보았다. 세부적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재무적 수치목표와 학습자 관련 목표, 평생교육의 가치 구현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4단계 목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지향을 따져보았다. 3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경로와 방법을 짚어보았다. 구체적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경로, 개발방식에 토대를 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방법, 개발주체에 기반을 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방법을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반 이론을 들여다보았다. 4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자 분석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학습자 특성변수와 행동변수 분석, 학습자 세분화분석, 학습자 생애분석을 따져보았다. 5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표적시장 선정과 욕구분석을 짚어보았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시장세분화, 프로그램 표적시장 선정, 프로그램 표적시장 욕구분석을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분야를 판단하기 위한 환경분석을 톺아보았다. 이를 위해 타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분석, 자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시장구조 분석을 들여다보았다. 7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주제 생산 경로를 따져보았다. 구체적으로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 주제 생산, 패러다임 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 주제 생산, 문제해결과 이상적 상태 전환 방편으로서의 프로그램 주제 생산, 프로그램 믹스 관리와 아카이브를 활용한 프로그램 주제 생산을 살펴보았다. 8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관리를 짚어보았다. 세부적으로 프로그램의 유형적 요소⋅무형적 요소의 결합과 선순환구조, 프로그램의 기능적 편익⋅심리적 편익⋅사회적 편익관리, 프로그램의 차별화 관리, 신규 프로그램 개발 관리와 기존 프로그램 개발 관리를 넘겨다보았다. 9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시장성 평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시장성 평가요인, 프로그램 시장성 평가절차와 활용을 따져보았다.
3부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10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짚어보았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생산, 프로그램 가격, 프로그램 촉진, 프로그램 유통을 들여다보았다. 11장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성공환경 조성과 운영관리를 짚어보았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성공환경조성, 프로그램 위기관리, 프로그램 평가관리, 프로그램 사후관리를 따져보았다. 12장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실제를 톺아보았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틀, 사회현상에서 주제를 발굴하는 신규 프로그램 개발, 특정 주제를 특정 대상에게 제공하는 신규 프로그램 개발, 기존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살펴보았다.
이 책에서 제시하고 소개한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방법이 평생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쓰이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이 프로그램 개발을 할 때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때, 장소, 상황 등에 맞게 다듬어지고 보완되며, 새롭게 만들어져 사용되어야 한다. 이 책의 내용을 전용하는 것은 평생교육 현장의 현실 상황 때문에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 책의 내용을 상황에 따라 가능한 것부터 참고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장의 프로그램개발 담당자가 프로그램 개발에 전념하고 전력을 다할 수 있는 여건을 가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 부족한 점이 많다. 이는 전적으로 저자의 모자람, 경험과 삶의 실천의 부족함, 평생교육에 대한 실천과 연구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책의 내용에 대한 그 어떤 질책과 비판도 겸손하게 받아들이고, 발전을 위한 도움과 조언으로 소중하게 여기겠다는 것을 천명한다.
이 책은 혼자 쓴 것이 아니다. 살아오면서 맺었던 관계, 만났던 사람들과 일, 경험을 통하여 느끼고, 배우고, 익힌 것을 통하여 만들었다. 모든 관계와 경험, 사람들, 일에 감사하다. 이 책의 출판을 기꺼이 허락해 주신 공동체의 김동훈 대표와 김동근 전무 그리고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고마움을 전한다. 끝으로, 늘 함께 있으면서 삶을 같이 만들어 가는 각시에게 표현할 수 없는 감사와 사랑을 드린다.
2020년 무르익은 봄날 창가에서
김 창 엽
PART 01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이해
CHAPTER 01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념 둘러보기
1. 평생교육의 뜻으로 본 평생교육프로그램 13
2. 전통적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념과 실제적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념 15
3. 실제적 평생교육프로그램과 마케팅 20
CHAPTER 02 평생교육프로그램의 4단계 목표와 지향
1.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재무적 수치목표와 학습자 관련 목표 31
2. 평생교육의 가치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4단계 목표 39
3. 평생교육프로그램의 41
CHAPTER 03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경로와 방법
1.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경로 45
2. 개발방식에 토대를 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방법 49
3. 개발주체에 기반을 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방법 56
PART 02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반 이론
CHAPTER 04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자 분석
1. 학습자 특성변수와 행동변수 분석 65
2. 학습자 세분화분석 69
3. 학습자 생애분석 72
CHAPTER 05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표적시장 선정과 욕구분석
1. 프로그램 시장세분화 77
2. 프로그램 표적시장 선정 84
3. 프로그램 표적시장 욕구분석 86
CHAPTER 06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분야를 판단하기 위한 환경분석
1. 타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및 수강생 현황 분석, 포지셔닝 분석 89
2. 자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재무 분석, 프로그램 분석, BCG매트릭스분석 93
3. 프로그램 시장구조 분석 101
CHAPTER 07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주제 생산
1.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 주제 생산 109
2. 패러다임 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 주제 생산 115
3. 문제해결과 이상적 상태로의 전환 방편으로서 프로그램 주제 생산 123
4. 프로그램 믹스 관리와 아카이브를 활용한 프로그램 주제 생산 124
CHAPTER 08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관리
1. 프로그램 개념확장 관리 유형적 요소 무형적 요소의 결합과 선순환구조 131
2. 프로그램 편익 관리 기능적 편익 심리적 편익 사회적 편익 134
3. 프로그램 차별화 관리 136
4. 신규 프로그램 개발 관리와 기존 프로그램 개발 관리 139
CHAPTER 09 평생교육프로그램 시장성 평가:학습자 유인 정도와 가능성 판단
1. 프로그램 시장성 평가요인 145
2. 프로그램 시장성 평가절차와 활용 160
PART 03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CHAPTER 10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생산, 가격, 촉진, 유통
1. 프로그램 생산 171
2. 프로그램 가격 수강료 책정 178
3. 프로그램 촉진 광고, 홍보, PR 종합계획 186
4. 프로그램 유통 학습자 지원 197
CHAPTER 11 평생교육프로그램 성공환경 조성과 운영관리
1. 프로그램의 성공환경 조성 203
2. 프로그램 위기관리 206
3. 프로그램 평가관리 210
4. 프로그램 사후관리 215
CHAPTER 12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1.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틀 217
2. 사회현상에서 주제를 발굴하는 신규 프로그램 개발 220
3. 특정 주제를 특정 대상에게 제공하는 신규 프로그램 개발 224
4. 기존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개발 225
■ 참고문헌 230
■ 찾아보기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