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평생교육의 주요 근간은 UNESCO ‘세계교육발전위원회’에 의해 간행된 포오르(Faure E., 1972) 보고서의 ‘존재하기 위한 학습 : 교육세계의 오늘과 내일(Learning to be : The World of Education Today and Tomorrow)’에서 찾을 수 있다. 즉, 학습은 ‘존재를 위한(to be)’ 것이지, ‘소유를 위한(to have)’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소유양식이란 재산, 지식, 직업, 지위, 권력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존재양식은 자기의 능력을 능동적으로 발휘해서 삶의 기쁨을 확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존재한다는 것은 어떤 것에도 구애받지 않고,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성장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베풀고, 이해하고, 관심을 함께 하는 것이다.
이상의 실천전략은 UNESCO와 OECD가 각기 다르다. 즉, 평생교육의 개념과 학습대상, 추진방향, 국가대상 측면에서 각각 차이점이 있다. 개념적 측면에서 UNESCO의 ‘존재를 위한 학습’은 개개인의 전 생애에 걸친 체계적 학습활동 촉진을 위한 일련의 재정ㆍ조직ㆍ행정ㆍ교수ㆍ제도 등을 개편 및 재조직하는 지도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OECD의 ‘순환교육’은 교육정책과 일반 행정 및 경제정책 간의 상호연계를 통한 실용적 국가정책을 제시하고, 교육실천 활동이 생애전반에 걸쳐 중단됨이 없이 일터와 학교와 사회에서 순환적으로 연계되도록 함에 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노동시장에서의 유연함과 경제적 윤택함을 지향함에 목표를 두고 있다.
모든 이들의 학습과 배움에의 지속적인 참여는 행복과 정신건강은 물론 사회적 존재로서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는 이행 과정이다. 즉, 새로운 완전한 인간 존재로서 채워 넣어야 할 다양한 조건들을 가득 메워가는 행위이다. 이에 모든 이들은 평생 동안 자발적이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참여를 통하여 의식변화와 함께 수시로 자신을 돌아보며 내가 왜 살고 있는지,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점검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자기비판을 통하여 자신의 결점을 찾아내고 보완해 가면서 자신의 삶 살이에 대한 의미부여가 지속될 때에 비로소 인간적 존재의 가치가 향상 될 것이다.
평생교육은 인간완성 과정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삶 자체에 근본적인 자극제이다. 인간 존재로서 자아에 대한 의미부여와 자아실현을 위한 노력은 어떤 목적을 위해서가 아닌 그 자체에 의미가 있다. 즉, 효용성에 관계없이 학습행위 자체가 인간 실존을 위한 행위이다. 재물 축적을 통한 행복 추구와 물질주의적 관념의 지배로 파괴되어 가는 인간의 존엄성 회복은 인간의 창조 정신을 풍성하게 하는 수단이 아닌 목적적 가치체계가 곧 평생교육이다.
이를 위하여 모든 이들은 학습과 배움의 일상화에 눈을 돌려야 한다. 학교교육은 물론 학교 밖의 학습과 일상생활에서의 배움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서로가 배우면서 쓰임새가 있는 그 무엇을 익히고 경험 축적을 위하여 전 생애에 걸쳐 모든 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이 처한 문제해결도 가능하고 국가의 경제 발전과 지역사회 문화 발달도 배움과 익힘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가능하다. 평생교육은 모든 이의 학습과 배움 활동의 채움으로 점화되고 확산될 수 있다. 이에 평생교육은 우리들 삶의 일상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실천 전략으로는 평생교육의 가치추구와 목표 달성을 위한 이론적 연구방법과 자발적 학습활동 참여 동기 그리고 학습만족을 위한 실천적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의 관점에서 대안으로 집필된 책이 「연구와 실천을 위한 평생교육방법론」이다. 이 책은 성인 학습자보다는 미래에 평생교육시설이나 기관 및 단체에 종사하고자 정규 대학원과정에 등록 중인 예비 성인교육자,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과정을 위한 교과교재, 평생교육 전문가로 활동하는 전문가 연수과정 교재 등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평생교육의 이해’로서 평생교육을 연구하고 실천하기 위한 기본적 바탕을 이루고 있다. 평생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 누구를 위한 교육인지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평생교육이 어떠한 역할과 지침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히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데, 예측하기 어려운 기술 변화의 폭과 속도, 사회에 미칠 영향력 등으로 인한 거대한 전환의 시대에 평생학습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지속가능한 성장의 돌파구가 필요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평생교육 관련 새로운 이론 및 실천원리 생성을 위한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의 세 가지 큰 틀 안에서 양적연구는 조사연구, 상관ㆍ인과비교 연구, 실험연구와 동향연구로 구분하여 방법 및 실제 사례를 제시했다. 질적연구는 평생교육에서 접근하기 용이한 문화기술지, 현상학적 연구, 생애사, 근거이론, 사례연구, 합의적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혼합연구에 대한 접근 시 필요한 연구설계, 자료수집과 분석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제3부는 실제적으로 평생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위한 평생교육 실천방법을 다룬다. 평생교육은 전 생애에 걸친 학습이기에 다양한 연령, 성별, 계층, 사회적 지위나 배경에 따라 전방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학습자 관점으로 청소년, 성인, 노인 대상에 따른 교육방법 및 설계원리, 실제적 접근을 위한 내용 기술, 기술발전으로 인한 기업교육에 대한 접근과 교육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사회 및 교육환경 변화를 반영한 교육의 형태를 융합형 교육으로 묶어 MOOCs, VR, AR, 메이커 교육과 디자인 씽킹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책의 내용을 위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현대사회의 환경 변화와 인간 실존적 가치 추구 증진을 위하여 모든 이들이 학습과 배움을 일상화하고 학습참여 시간이 증가하는 시대적 상황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평생교육에 관한 기초적 이해와 학습대상자별 적합한 교수방법 그리고 학습내용 전달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배움(learning how to teaching)’으로 실천적 이론과 사례 및 학습만족도 측정을 위한 평생교육방법 평가과정까지도 제시하였다.
이 책의 집필은 나의 학문적 제자인 김현영 박사와 김윤정 박사의 동행으로 완성되었다. 이들은 내가 재직 중인 대학의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교사 지망생 대상 교직과목 강의 및 정규대학의 평생교육전문요원 양성과정 교과목 강의도 담당하고 있는 교육학자이다. 나와 이들 집필자는 이 책이 교육의 본질을 토대로 평생교육현장에서 성인교육자 혹은 성인교육전문가가 학습대상자들의 학습요구 충족에 좀 더 기여할 수 있는 지식 전달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바쁜 일과에도 마다않고 일정에 맞추어 원고를 완성해 준 공동 저자와 이 책의 출판을 맡아주신 김동훈 공동체 출판사 사장님 및 직원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연구실에서
2020년 6월
저자 한 상 길
PART 01 평생교육의 이해
CHAPTER 01 평생교육의 의미
1. 평생교육의 정의 13
2. 평생교육의 이념 15
3. 평생교육의 목표 18
4. 평생교육의 특성 20
5.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23
CHAPTER 02 모든 이를 위한 평생교육
1. 학교교육 37
2. 성인교육 44
3. 노인교육 59
4. 지역사회교육 65
CHAPTER 03 평생학습 패러다임 변화
1. 지역사회와 평생학습 네트워크 형성 71
2. 테크놀로지와 평생학습 81
3. 시대흐름과 평생학습의 전환 93
PART 02 평생교육 연구방법론
CHAPTER 04 양적연구
1. 조사연구 106
2. 상관ㆍ인과비교 연구 108
3. 실험연구 113
4. 동향연구 118
CHAPTER 05 질적연구
1. 문화기술지 연구 126
2. 현상학적 연구 129
3. 생애사 연구 133
4. 근거이론 연구 135
5. 사례연구 141
6. 합의적 질적연구 143
CHAPTER 06 혼합연구
1. 연구방법의 혼합 목적 147
2. 혼합연구 설계 150
3. 혼합연구 자료수집 및 분석 159
4. 혼합연구의 정당성 163
PART 03 평생교육 실천방법론
CHAPTER 07 청소년 교육방법
1. 청소년의 이해 169
2. 청소년의 평생교육 접근 172
3. 청소년 교육방법 177
CHAPTER 08 성인 교육방법
1. 성인의 학습동기 191
2. 성인 교수자의 역할 195
3. 성인 평생교육 설계 197
4. 성인 교육방법 207
CHAPTER 09 노인 교육방법
1. 노인 학습자의 특징 219
2. 노인교육의 실제 223
3. 노인 교육방법 230
CHAPTER 10 기업교육
1. 기업교육의 이해 233
2. 기업의 인재육성 제도 241
3 기업교육의 적용방법 252
CHAPTER 11 융합형 교육
1. 웹 기반 교육 265
2. 가상현실 활용 교육 277
3. 증강현실 활용 교육 282
4. 메이커 교육과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288
CHAPTER 12 평생교육평가 방법
1. 평가의 개념 및 구성요소 299
2. 평생교육평가 특징 303
3. 평생교육평가 절차 307
4. 평생교육평가 모형 316
■ 참고문헌 338
■ 찾아보기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