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학교사회복지론 [제3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제3판 서문


 2011년 개정판을 낸 뒤로 참으로 많은 시간이 흘렸다. 몇 번이나 개정하고자 하였으나 번번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모두는 저자의 게으름 때문이다.
 그동안 학교사회복지를 둘러싸고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다. 무엇보다 2019년 법개정으로 인해 올해부터는 국가가 인정하는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증이 발급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소망하던 바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사회복지사협회와 학교사회복지학회는 물론 많은 학교사회복지실천가들의 노력이 있었다.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를 위해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거권이 하향되면서 만 18세부터 선거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었고 2022년부터는 고등학교 무상교육이 전면 실시된다. 학생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학생권리나 교육복지에 대한 욕구는 더욱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더욱이 학교 및 학생을 둘러싸고 관련 전문가들 간의 경쟁과 전문성 문제가 더 부각되면서 학교사회복지사들에게도 많은 도전과 시련이 예상되기도 한다.
 이에 앞으로 준비해야 할 부분도 더 많아졌다.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전국 어디에서나 균등한 양질의 교육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사회복지의 전달체계 구축도 검토되어야 한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이런 변화에 부응해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및 실천기술을 조금 더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사회복지사가 학교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학생 및 가족면담, 가정방문, 교사와의 협력 부분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의 현황 및 관련 자료들을 업데이트시켰고 일부 오래된 자료들은 삭제하였다.
 비우는 것은 늘 어렵다. 당초 개정판을 준비할 때는 최대한 원고 분량을 줄이자고 생각했는데 잘 되지 못했다. 또한 알기 쉬우면서도 더 다운 학교사회복지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여전히 저자들의 남은 숙제이다.

2020년 6월
홍봉선ㆍ남미애


 

PART 01 학교사회복지의 이해


CHAPTER 0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및 구성 17

1.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17
2.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21
3. 학교사회복지의 구성요소 및 특성 24


CHAPTER 02 학교사회복지가 요구되는 사회적 배경 31

1. 지식기반 사회 도래로 인한 인적자본의 강조 31
2. 평생학습의 강조 32
3. 신빈민층의 출현과 빈곤의 대물림 33
4. 공교육의 부재와 열악한 교육복지 35
5. 교육양극화 및 교육격차 36
6. 학생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 증가 37

 

CHAPTER 03 학교사회복지의 발달 39

1. 미 국 40
2. 영 국 49
3. 우리나라 54


PART 02 학교교육 및 학교조직에 관한 이해


CHAPTER 04 학교교육과 교육관련법 71

1. 학교교육의 목적 71
2. 교육관련법 73


CHAPTER 05 학교교육정책 및 행정 81

1. 학교교육정책의 개념과 주요 이념 81
2. 학교교육정책의 발전과정 84
3. 학교교육 행정기관의 역할 및 기능 87


CHAPTER 06 학교조직에 대한 이해 99

1. 학교조직의 특성 99
2. 학교의 조직구조 103


PART 03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


CHAPTER 07 학교사회복지의 관점 및 접근 모델 111

1. 학교사회복지의 이론적 관점 111
2. 학교사회복지의 접근 모델 128


CHAPTER 08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특성 137

1. 인간서비스 전달체계로서의 학교와 학교사회복지사 137
2.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유형 138
3.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 152
4. 학교사회복지사와 협력하는 타 전문직의 역할 이해 159
5.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성 및 교육 161


CHAPTER 09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정 163

1. 계 획 165
2. 사 정 175
3. 개 입 178
4. 평 가 187


CHAPTER 10 학교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주요 이슈와 고려점 203

1. 학교에서의 비밀보장 203
2. 학교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윤리적 딜레마와 접근문제 209
3. 최선의 실천을 창출하는 것 211


CHAPTER 11 학교사회복지와 학생인권 215

1. 학생인권의 의의 215
2. 학생인권의 유형과 내용 220
3.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226


CHAPTER 12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231

1. 발생배경과 의의 231
2. 추진체계 및 지원체계 233
3. 프로그램 및 서비스 내용 236
4. 사업 효과 237
5. 개선점 239


PART 0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사례


[학생중심의 개입 사례]


CHAPTER 13 외현화 및 내재화 행동문제에 대한 개입 247

1. 외현화 행동문제 248
2. 내재화 행동문제 271
3.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293


CHAPTER 14 무단결석과 학업중단에 대한 개입 301

1. 무단결석 301
2. 학업중단 312


CHAPTER 15 정서ㆍ행동장애를 가진 학생에 대한 개입 319

1. 정서ㆍ행동장애의 개념 및 특성 319
2. 정서ㆍ행동장애의 유형 320
3.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344


CHAPTER 16 취약집단 학생을 위한 개입 359

1. 빈곤아동 및 청소년 359
2. 아동학대와 방임 370
3. 동성애청소년 374
4. 가정 이외 시설에서 살고 있는 아동 379
5. 다문화가정 학생 385


[학교, 가정 및 지역사회체계 중심의 개입 사례]


CHAPTER 17 학교 차원의 위기개입 397

1. 학교 차원의 위기개입의 개념과 범위 397
2.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399


CHAPTER 18 가족개입과 부모참여 405

1. 학교 차원의 가족개입 및 부모참여의 중요성 405
2.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407


CHAPTER 19 학교교직원 및 지역사회에 대한 자문 431

1. 자문의 필요성 431
2. 학교사회복지에 있어 효과적인 자문 기술과 자문가의 역할 433
3. 교사, 부모, 행정가에 대한 자문 436
4. 학교팀과 효과적인 협력 442


CHAPTER 20 지역사회 및 정책에 대한 개입 447

1. 학교사회복지에 있어 지역사회 및 거시적 차원이 갖는 중요성 447
2. 거시적 사회복지실천 방법 449
3.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 454


■ 참고문헌 460
■ 찾아보기 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