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성평등관점에서 본 

결혼과 가족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결혼과 가족은 우리의 인생에서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삶의 기본적 주제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생의 중대사인 결혼에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고, 건강한 가족생활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며,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한 깊은 사고를 하지 않는 편이다. 이는 결혼과 가족이 가지는 개념의 평이성, 가장 오래된 제도로서의 친숙함, 가족에 비해 사회생활이 가지고 있는 상대적 중요성 등으로 결혼과 가족은 아무런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것처럼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더 나은 가족생활을 위한 탐구와 노력이 축소되기도 한다. 정서적 유대의 근원지로서의 결혼과 가족의 중요성은 현재에도 미래에도 지속되리라 전망된다. 따라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체계적인 이해는 우리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 책의 구성을 위하여 저자들은 공동협의를 통하여 결혼과 가족에 대한 관점을 일치시켰다. 현대사회에서의 변화되는 성평등 인식과 다양한 결혼과 가족현상을 반영한 관점으로서 결혼과 가족생활을 위한 준비교육과 실제 적용에 역점을 두었다.
 이 책은 총 5부 13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의 1장, 2장에서는 결혼과 가족의 기초적 이해를 통하여 결혼과 가족의 의미와 주요 기초 개념을 익히도록 하였다. 제2부의 3장, 4장, 5장에서는 친밀한 관계의 형성과정인 결혼과정으로 성에 대한 이해, 사랑과 데이트, 그리고 배우자 선택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제3부의 6장, 7장, 8장에서는 친밀한 관계의 발전을 위하여 결혼과 가족생활의 실체 측면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부부간 가장 기초가 되며 중요한 측면인 부부간 적응, 갈등과 의사소통 및 관계 향상을 위한 기술들을 제시하였다. 제4부의 9장, 10장, 11장에서는 현대사회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때로는 실험적 형태로 시도되는 여러 모습들인 홀로 살기(독신), 싱글맘(미혼모, 한부모), 다양한 공동체 등을 다루었다. 제5부의 12장, 13장에서는 가족의 위기와 지원 및 전망에 대해 다루었다. 가족의 위기는 인구학적 측면에서의 위기가 되는 저출생, 가족 기능적 측면에서 가장 파괴적인 가정폭력 문제를 다루었다. 이어 결혼과 가족의 지원을 위해 결혼과 가족이 어떠한 형태이든 이들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 강화하는 건강가족의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들을지원, 강화할 수 있는 실천적 서비스, 정책적 지원과 전망 등을 다루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이 책이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결혼과 가족생활을 하고 있는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삶을 고민하고 있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유용한 학습서가 되기를 바란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을 지원해 준 공동체에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2020년 8월
이성희․한희선

 

PART 01 결혼과 가족의 이해


제1장 결혼의 이해 13

1. 결혼의 의미와 특성 14
2. 결혼의 동기와 통념 21


제2장 가족의 이해 30

1. 가족의 개념 31
2. 가족생활주기와 발달과제 42


PART 02 결혼과정


제3장 성의 이해 53

1. 성의 개념 53
2. 성적 자기결정권 61


제4장 사랑과 데이트 72

1. 사 랑 72
2. 연애와 데이트 82


제5장 배우자 선택 95

1. 배우자 선택 이론 96
2. 배우자 선택의 기준 102
3. 배우자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 104


PART 03 결혼과 가족생활


제6장 부부간 적응 113

1. 부부간의 적응 113
2. 부부간 적응의 유형 128


제7장 부부간의 갈등과 의사소통 132

1. 부부간 갈등 132
2. 부부간의 의사소통 142


제8장 관계 향상을 위한 개입기술 153

1.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내적 점검 154
2.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 159
3. 욕구강도 프로파일 167
4. 분노 다루기 176


PART 04 결혼과 가족의 다양한 모습


제9장 독 신 187

1. 독신의 실태 188
2. 독신의 유형과 과정 190


제10장 싱글맘 200

1. 미혼모 201
2. 한부모가족 207


제11장 다양한 공동체 219

1. 공동체의 이해 219
2. 공동체 유형 221


PART 05 가족의 위기와 지원


제12장 가족의 위기 233

1. 저출생 234
2. 가정폭력 245


제13장 결혼과 가족의 지원과 전망 263

1. 결혼과 가족의 지향점은?:건강가족적 관점 263
2. 결혼과 가족의 지원 277
3. 결혼과 가족의 전망 290


■참고문헌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