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노인복지학


  • 강의자료
  • 기타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빠르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 진입을 시작으로 2017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 그리고 5년 후인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측보다 빠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은 이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응 또한 시급함을 시사한다. 그동안에도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등 고령화에 대비한 여러가지 대안들이 마련되어 왔으나 초고령사회가 되면 기존의 대비책에서 더 필요한 것은 무엇이며, 보다 적극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대안들은 무엇인지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노인복지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주요 내용으로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가르쳐지고 있다. 특히 노인들에게 중요한 경제, 건강, 사회적 역할 및 관계는 노인복지의 핵심이 된다. 이번에 새롭게 출간하게 되는 노인복지학은 이러한 노인복지의 핵심적인 내용과 함께 2019년 개편된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에 맞춰 내용을 구성함은 물론 새로운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사회복지에서 강조되는 인권과 관련된 내용이 노인의 인권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으로 보완되었으며, 지역사회의 돌봄체계가 개편되면서 등장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와 노인맞춤형돌봄서비스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노인복지에도입되는 테크놀로지, 그리고 죽음에 대한 사회복지적 지원 등에 대한 내용도 추가되었다.
 노인복지학의 집필진은 2000년에 초판으로 발간되었던 노인복지론 집필진을 중심으로 김범중 중앙대 교수과 곽민영 대구대 교수가 새롭게 합류하여 집필을 더 탄탄히 할 수 있었다. 본 저서의 전신인 노인복지론은 양옥남 강남대 교수님의 주도로 양옥남, 김혜경, 김미숙, 정순둘 교수에서 2016년 양옥남, 김혜경, 박화옥, 정순둘 교수로 집필진의 변경이 있었다. 본 저서는 노인복지론을 이어받았지만, 새로운 집필진의 보강과 함께 기존에 저술되었던 체계를 개편하여 변경된 교과목 지침과 변화하는 환경을 반영한 체계로 전면적인 재편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책의 제목도 노인복지학으로 변경하였다.
 이 책은 모두 5부 15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5주 강의에 맞춰서 15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1부에서는 노인과 노인복지의 개념을 다루고 있으며, 2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1부의 2개 장은 모두 김혜경 백석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1장은 현대 사회에서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에 대한 개관을 기술하였으며, 2장에서는 노인문제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기술하였다. 2부에서는 노인복지제도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2부의 3개 장 모두 김범중 중앙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3장은 노인에 대한 소득보장과 고용보장에 대해, 4장은 노인에 대한 건강보장, 5장은 노인복지와 관련된 법을 주로 기술하였다. 3부는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3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6장은 장기요양보험과 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곽민영 대구대 교수가 저술하였다. 장기요양보험은 노인복지제도로 포함될 수도 있으나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많아 이 책에서는 서비스로 포함하였다. 7장은 지역사회 돌봄서비스로 이번에 새롭게 등장한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 기반한 지역 및 주거 서비스, 커뮤니티 케어와 노인맞춤형 돌봄서비스 등에 대한 내용으로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8장은 노년기 여가서비스와 교육 관련 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박화옥 강남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4부는 노인복지실천과 사례관리의 2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 장 모두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9장은 노인복지실천 방법과 관련된 내용이며, 10장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5부는 노인복지 각론으로 노인복지의 이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11장은 노인인권관점에 대한 내용과 이를 중심으로 한 노인학대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김혜경 백석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12장은 노인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참여에 대한 내용으로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였다. 곽민영 대구대 교수가 기술하였다. 13장은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이슈로 우울, 치매, 자살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곽민영 대구대 교수가 기술하였다. 14장은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내용으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죽음에 대한 사회복지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내용을 보완하였다. 박화옥 강남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마지막 장인 15장은 과학기술과 산업의 발전과 함께 고려해야 할 노인복지에 대한 장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노인복지에서 꼭 고려해야 할 내용을 보완하였다. 박화옥 강남대 교수가 작성하였다.
 이번에 출간되는 노인복지학이 노인복지론의 교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변화하고 있는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 되기를 희망한다. 앞으로 더 보완해야 할 내용이나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해야 할 내용은 2판, 3판의 개정판을 통해 업데이트해 나갈 예정이다. 끝으로 이 책을 출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공동체에 감사드린다.

2020년 2월 초 책임저자 정순둘


 

제 1 부 노인과 노인복지의 개념


제1장 현대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12

1. 인구 고령화와 호모 헌드레드 시대의 도래 13
2. 노인의 개념과 연령주의(Ageism) 27
3. 노인복지학의 학문적 특성과 방향 36


제2장 노인문제에 대한 이론적 관점 44

1. 노인의 사회적 적응과 노년사회학 이론 44
2. 노인의 생리적 변화와 노화 이론 56
3. 노인의 심리적 적응과 노년기 발달심리 이론 64


제 2 부 노인복지제도


제3장 노인 소득보장 및 고용보장 80

1. 소득보장의 이해 80
2. 고용보장의 이해 99
3. 소득보장 및 고용보장 과제와 전망 105


제4장 노인과 건강보장 110

1. 건강보장의 이해 110
2. 노인의 건강실태 111
3. 우리나라 건강보장제도 내용과 현황 114
4. 건강보장의 과제와 전망 130


제5장 노인복지 관련 법 134

1. 노인복지법 135
2.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146
3. 고용상 연령차별 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148
4. 노인장기요양보험법 150
5. 기초연금법 152
6. 국민연금법 153
7. 노인 관련 법령 과제와 전망 155


제 3 부 노인복지서비스


제6장 장기요양 160

1. 장기요양(Long-term Care)의 정의 160
2. 장기요양 욕구 실태 162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내용 164
4.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성과와 과제 181


제7장 지역사회 돌봄서비스 187

1.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위한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187
2.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위한 주거 서비스 189
3. 커뮤니티 케어(지역사회 통합돌봄) 196
4. 노인맞춤형 돌봄서비스 204
5. 전망과 과제 210


제8장 노년기 여가와 교육 서비스 217

1. 노년기 여가 218
2. 노년기 교육 236


제 4 부 노인복지실천과 사례관리


제9장 노인복지실천 250

1. 노인복지실천의 이해 250
2. 노인복지실천의 과정 255
3. 개별 개입방법 262
4. 집단 개입방법 271
5. 전망과 과제 275


제10장 사례관리 279

1. 노인사례관리의 이해 279
2. 사례관리의 과정 285
3. 사례관리자의 역할 290
4. 노인사례관리실천 모델 293
5. 전망과 과제 305


제 5 부 노인복지 각론


제11장 노인인권과 노인학대 312

1. 노인인권과 노인학대 313
2. 노인학대 실태 318
3. 한국의 노인학대 관련 법과 제도 330
4. 한국의 노인학대 대책의 전망과 과제 345


제12장 사회적 관계와 사회참여 352

1. 노년기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개념적⋅이론적 이해 353
2. 노년기 사회적 관계의 범주별 특징 357
3. 외로움(Loneliness)과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 367
4. 사회참여 370


제13장 정신건강 383

1. 우 울 384
2. 자 살 389
3. 치 매 397


제14장 죽음과 호스피스 416

1. 죽음의 정의와 관련 이론 417
2. 노년기 죽음의 의미와 태도 418
3. 웰다잉(Well-dying)과 안락사 논의 420
4. 호스피스 · 완화의료 서비스 424


제15장 과학기술 및 산업의 발전과 노인복지 437

1. 미래사회와 고령친화산업 438
2. 4차 산업혁명과 복지테크놀로지(Welfare Technology) 446
3. 고령화와 복지테크놀로지의 수요 449
4. 복지테크놀로지와 윤리적 이슈 456
5. 고령친화산업과 복지테크놀로지의 전망과 과제 458

 

▪찾아보기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