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학위논문은 단순히 학위취득을 위한 충분조건이라는 범주를 초월하는 의미를 가진다. 학위논문 과정은 주제 선정에서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산재해 있는 여러 고비를 넘어야만 한다. 연구자는 이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의 인간적인 성숙을 한 단계 높이고 관심분야를 지속적으로 공부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다. 학위논문은 연구자의 인내와 노력으로 익혀내는 귀중한 공부의 결실이다.
학위논문은 한순간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대학원 생활의 시작과 함께 준비해야 한다. 대학원 1차 때부터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폭넓게 많이 읽고, 생각하며, 경험하고 그것을 학술적 글쓰기 형태로 풀어내야 한다. 현재 대학원 과정의 학위논문쓰기 준비 실태를 볼 때, 학술적 글쓰기, 즉 논문쓰기 훈련이 부족하고, 학위논문쓰기를 위한 수업이나 특강이 연구방법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논문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지원하지 않고, 실질적인 글쓰기 훈련이 일천하고, 논문쓰기에 대한 격려와 동기 유발, 지도가 미흡하다. 이러한 실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첫째, 연구자가 논문의 주제와 연구 수행과 관련된 사항에 몰입하지 못할 수 있다. 학위논문을 쓰기 위해 연구내용을 구체화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하며,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규정하고, 정보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연구방법을 정해야 하며, 연구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이론을 검토해야 한다. 이들은 학위논문의 구조에 기초해야 하고 전체적인 흐름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자의 이해가 일천하여 효과적으로 맥락을 형성한 연구를 추진하지 못하고, 많은 경우 각 부분의 내용이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등 혼란에 빠지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연구자가 논문주제와 연구수행에 몰입하지 못하게 한다.
둘째, 연구자가 연구내용을 제대로 진술하지 못할 수 있다. 학위논문을 쓰기 위해 논문의 구조와 글쓰기에 관련된 제반 사항, 즉 학위논문의 문법을 알아야 한다. 연구자가 학위논문의 문법을 숙지하지 못하면 연구내용을 제대로 진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학위논문쓰기의 비효과성과 비효율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연구의 수준을 높이지 못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유능한 목수는 연장을 탓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유능한 목수일수록 작업을 하기 전에 연장을 갖추고 손보는 것이 마땅하다. 연장을 갖추지 못하면 작업을 못하는 것처럼 학위논문의 구조와 문법을 알지 못하면 학위논문을 쓰기 어렵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이 책은 학위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를 살펴보고, 학위논문을 쓸 때 당면하는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따져보고자 하였다. 이 책은 5부 11장으로 구성되었다. 각 장의 내용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1부에서 학위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 부분을 짚어보았다. 1장에서 학위논문의 유형을 살펴보면서, 논문주제와 방법에 따른 특정될 수 있는 논문의 구성을 훑어보았다. 2장에서 학위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사항을 들여다보았다. 논문쓰기 추진일정과 논문의 심사와 제출 등에 관련된 행정사항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 학위논문을 쓰기 위한 환경조성을 살펴보았다. 논문쓰기 관련 비용과 인간관계 조치, 건강관리와 조력자 확보를 살펴보았다.
2부에서 학위논문의 주제 정하기를 넘겨다 보았다. 4장에서 학위논문주제와 관련된 관심영역을 고찰하는 부분을 따져보았다. 논문주제와 관련된 관심영역의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의 기본 주제를 설정하는 부분을 짚어보았다. 5장에서 학위논문의 주제를 설정하는 단계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리하며, 분석하여 논문주제를 설정하는 단계를 검토하였다.
3부에서 프로포절의 준비와 진행을 따져보았다. 6장에서 프로포절의 준비를 짚어보았다. 프로포절의 개요를 살펴본 후, 먼저 프로포절의 구성, 프로포절 시 제시할 연구의 방법 정하기, 프로포절자료 준비를 위한 확인사항, 프로포절자료의 준비를 확인하였다. 7장에서, 프로포절의 진행을 훑어보았다. 프로포절의 준비 시점, 프로포절의 실시 시점, 프로포절 실시를 위한 확인 사항, 프로포절 후 조치 사항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았다.
4부에서 학위논문을 쓰는 방법을 짚어보았다. 8장에서 학위논문 문제가 돌출하였다. 우선, 다양한 학위논문의 유형과 구성을 포괄하는 단일한 학위논문 구조를 제시하기가 어려웠다. 이는 학위논문의 유형과 구성이 각 학문영역과 연구주체,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그리고 동태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의 해결방법을 연구자가 학위논문의 구조를 참고하여 전공과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학위논문 구조를 만들 때 저자가 제시한 학위논문 구조의 맥락적 의미를 참고하도록 제안하는 것으로 가름하고자 하였다. 다음, 저자가 제시하는 학위논문의 틀에 적확한 사례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는 기존의 다른 학위논문이 보다 가치 있고 의미있는 다양한 유형과 구조 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저자의 기존 졸저들을 적절하게 인용하는 것으로 풀어내려고 하였다.
이 책의 내용을 학위논문을 처음 쓰거나, 익숙하지 않은 대학원생이 학위논문을 쓸 때 참고할 수 있다. 이 글의 내용이 학위논문을 쓸 때 절대적인 기준 노릇을 할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하고, 자명하다. 다만, 학위논문을 쓸 때 직접적이고, 실질적으로 맞부딪칠 수 있는 문제와 생소한 부분을 직접 드러냈기 때문에, 약간의 시사점과 참고사항을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학위논문을 쓸 때 이 책에서 제시한 내용을 그대로 참고할 수도 있겠지만, 가급적 전공과 논문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알맞게 변형하거나 보완 또는 새롭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 부족함이 많고 비어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자인한다. 저자가 학위논문을 처음 쓰는 대학원생의 입장에 주목했고, 너무 많은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오히려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판단을 한 것과 별도의 이유가 있다. 전적으로 저자의 생각의 얕음과 경험의 일천함, 다양한 논문의 유형과 구성 등을 융합하여 단위화하는 역량의 부족함 때문이다. 이 책의 내용에 대하여 많은 비판과 고언을 부탁드린다. 어떤 질책과 조언도 겸손함과 감사함으로 받아들이고,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발판으로 삼을 것이다.
이 책을 마무리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저자가 살아오면서 맺은 관계와 만남들, 감당했던 일들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특히 학위논문작성과 관련된 수업과 특강, 논문지도 등을 통해 오히려 많은 시사점과 도움을 준 대학원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기꺼이 책을 출판해 주신 공동체의 김동훈 대표와 김동근 전무, 그리고 책다운 꼴을 만들어 주신 김민지 팀장에게 감사하다.
끝으로, 늘 함께 삶을 만들어 가며 저자보다 더 저자를 생각하는, 친구이며 동지인 각시에게 다할 수 없는 감사와 사랑을 드린다.
2020. 7.
더위가 무성하게 자란 창밖을 보며
저자
제1부 학위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
제1장 학위논문의 유형 15
제2장 학위논문을 쓰기 위한 사전 준비 19
1. 논문쓰기 추진일정 계획 수립 19
2. 논문의 심사와 제출에 관한 행정사항 확인 25
제3장 학위논문쓰기를 위한 제반환경 조성 27
1. 논문쓰기 관련 제비용 마련 27
2. 인간관계 정리 30
3. 건강관리 33
4. 조력자 확보 34
제2부 학위논문 주제 정하기
제4장 학위논문주제와 관련된 관심영역 고찰 39
1. 논문주제와 관련된 관심영역 자료 분석 39
2. 연구의 기본 주제 설정 44
제5장 학위논문주제 설정 47
1. 선행연구자료의 확보 47
2. 선행연구자료의 정리 49
3. 선행연구자료의 분석 54
4. 논문주제 설정 55
제3부 프로포절 준비와 진행
제6장 프로포절의 준비 61
1. 프로포절의 개요 61
2. 프로포절자료의 구성 63
3. 프로포절에서 제시할 연구의 방법 정하기 68
4. 프로포절자료 준비를 위한 확인사항 89
5. 프로포절자료의 준비 93
제7장 프로포절의 진행 95
1. 프로포절자료 준비 시점 95
2. 프로포절 실시 시점 96
3. 프로포절 실시를 위한 확인 사항 97
4. 프로포절 후 조치 사항 98
제4부 학위논문을 쓰는 방법
제8장 학위논문쓰기 103
1. 제목(title) 정하기 105
2. 초록(abstract) 쓰기 110
3. 서론(introduction) 쓰기 112
4. 이론적 배경 쓰기 149
5. 연구의 방법(method) 기술하기 179
6. 연구의 결과(results) 진술하기 192
7. 요약 및 결론 쓰기 207
8. 참고문헌(references) 정리하기 211
제9장 학위논문 쓸 때 유의사항 221
1. 학위논문 쓸 때 참고사항 222
2. 학위논문 글쓰기의 표현 225
3. 수미쌍관의 원칙에 기반을 둔 학위논문 구조관계망 235
제5부 심사의 준비와 진행
제10장 심사 전 준비 243
제11장 심사 후 진행 247
■참고문헌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