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웰빙(well-being)하면 웰다잉(well-dying)한다.
웰빙(well-being)은 ‘복지, 안녕, 행복’이라는 의미로 심신의 조화, 내면의 건강을 중요시한다. 웰빙은 의식주 전반의 몸과 마음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풍요롭고 아름다운 인생의 조화와 균형의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웰다잉(well-dying)은 웰빙하는 삶의 과정 중의 하나이다.
살아온 날을 아름답게 정리하는, 평안한 삶의 마무리를 의미로 삶의 마지막이자 가장 중요한 길이라 할 수 있는 죽음을 미리 준비하는 것은 인생을 뜻깊게 보낼 뿐 아니라 남아 있는 가족들을 위한 길이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죽음학회에서는 “당하는 죽음이 아니라 맞이하는 죽음”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최근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웰다잉은 웰다잉 10계명을 이야기할 정도로 우리 사회의 관심이 되고 있다.
기독교에서 웰빙은 하나님이 주신 사명을 이 땅에서 잘 감당하고 웰다잉으로 천국에서 다시 사는 것이다. 이 땅에서 사명을 잘 마치면 천국에서의 삶을 확신하는 것이다. “죽음이 두려워서 평생 매여 있는 종들을 해방하려는 것이다(히 2:15)”. “나의 가죽, 이것이 썩은 후에 나는 육체로부터 하나님을 볼 것이다(욥 19:26)”. “내가 하늘에서 나는 음성을 들었는데 … 지금부터 주 안에서 죽는 자들은 복이 있다. 그들은 수고를 끝내고 안식할 것이다(계 14:13)”. 인간은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죄를 지어 사망에 이르게 되었으나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인간의 죄를 대속한다.
즉, 신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회복을 통하여 이 땅에서 후폐한 겉 사람의 생명이 다하면 죽음과 동시에 영혼은 천국으로 옮겨가서 사는 것이 기독교에서의 웰다잉이다.
이 책은 노년기의 삶과 죽음이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기본적인 정보와 지식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노인상담에서 상담자는 노년기의 신체적⋅정신적⋅심리적 변화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병리적 노화, 보편적 노화, 성공적 노화의 차이를 숙지해야 한다. 노화는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발달과정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반드시 상담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주호소문제와 심리적 어려움에 따른 상담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인간발달의 후반부인 노년기의 건강한 삶을 위한 노인복지적 돌봄과 간호적 돌봄을 살펴보았으며, 몸과 마음이 쇠퇴해짐에 따른 노인가족상담과 매체를 활용한 노인상담 실제를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생을 마무리하는 죽음과 장례절차를 기술하였다.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노인돌봄과 상담은 총 15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초고령사회와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특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제2장은 노년기의 삶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암에 대한 이해와 통증관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은 웰에이징(well aging)을 위한 건강⋅경제⋅정서⋅일⋅이별에 대해 살펴보고 웰다잉을 위한 참살이가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제4장은 노인돌봄의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존엄사, 연명의료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제6장에서는 치매의 정의 및 치매의 종류와 치매진단검사 및 치매환자 돌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7장에서는 노인문제와 상담으로 불안, 우울증, 성문제, 노인학대 그리고 수면장애와 노인자살문제를 기술하였다. 제8장에서는 노인가족의 문제로 가족갈등 문제, 노인가족치료의 접근법을 기술하였다. 제9장에서는 매체를 활용한 노인상담의 실제로 영화, 푸드아트테라피, 미술치료, 모래상자치료, 자서전 쓰기를 다루었다. 제10장에서는 아름다운 삶과 죽음으로 죽음의 준비교육 및 죽음에 대한 다양한 이해 그리고 전통적, 종교적 죽음 이해를 기술하였다. 제11장에서는 아름다운 이별과 애도 그리고 용서과정을 다루었다. 제12장은 남겨진 사람들과 떠나는 사람에 대해서 남은 이의 홀로서기, 떠나가는 사람의 몸의 증상과 정서적 반응 그리고 영원한 이별여행을 살펴보았다. 제13장에서는 식물인간과 여러 가지 죽음으로 뇌사, 안락사, 존엄사, 자살 및 죽음의 도덕성을 살펴보았다. 제14장은 여러 나라의 죽음 이야기로 한국, 서구, 중동 사회에서의 죽음을 탐구하였다. 제15장에서는 장례에 대한 절차 화장, 빈소, 장례법 그리고 시신 유골운구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이 책을 마무리하면서 여러 차례 교정을 봤지만 아직도 미약하고 수정, 보완할 부분이 많을 것이다. 노인돌봄과 노인상담을 연구하는 다양한 독자들의 기탄없는 비판과 지도를 겸허히 수용하여 더욱더 좋은 저서로 발전을 거듭할 것을 약속한다.
2020년 8월
집필자 일동
제1장 고령화와 초고령사회 12
1. 고령화 12
2. 우리나라 노인인구와 특성 15
제2장 노년기의 삶 20
1. 신체적 변화 20
2. 심리적 변화 21
3. 사회적 변화 24
4. 암에 대한 이해와 통증 관리 25
제3장 웰에이징을 위한 준비 36
1. 웰에이징 36
2. 건강과 운동 38
3. 경제관리 43
4. 정서관리 44
5. 일 관리 44
6. 웰다잉을 위한 참살이(웰빙) 45
제4장 노인돌봄 서비스 50
1. 노인돌봄 50
2. 노인복지법 53
3. 노인복지시설 59
4. 노인장기요양보험 62
제5장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연명의료 66
1. 호스피스 완화의료 66
2.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사 69
3.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 이해 70
4. 가정형 호스피스와 자문형 호스피스 71
5. 외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73
6. 연명의료제도 78
7. 존엄사와 무의미한 연명치료 79
제6장 치매(Dementia) 86
1. 치매의 정의 86
2. 치매의 종류 87
3. 치매 단계별 증상 90
4. 치매진단검사 92
5. 국내외 치매관리정책 95
6. 치매환자 돌봄 98
7. 치매 가족에 대한 이해 103
제7장 노인문제와 상담 108
1. 불 안 108
2. 우울증 109
3. 성문제 115
4. 노인학대 116
5. 수면장애 119
6. 노인자살 123
제8장 노인상담과 노인가족상담 128
1. 가족갈등 128
2. 노인상담 129
3. 노인가족치료 132
4. 상호작용적 가족치료 134
5. 경험적 가족치료 135
6. 문제중심적 가족치료 136
제9장 매체를 활용한 노인상담 실제 140
1. 매체의 영향 140
2. 영화를 통해 보는 죽음 이야기 142
3.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노인상담 실제 153
4.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상담 실제 166
5. 모래상자치료를 활용한 노인상담 실제 183
6. 자서전 쓰기를 활용한 노인상담 실제 193
제10장 아름다운 삶과 죽음 198
1. 성공적인 삶 198
2. 죽음 준비교육 199
3. 죽음에 대한 다양한 이해 200
4. 전통적, 종교적 죽음 이해 203
제11장 아름다운 이별과 애도 그리고 용서 208
1. 아름다운 죽음 208
2. 애 도 211
3. 상 실 215
4. 용 서 218
제12장 남겨진 사람과 떠나는 사람 224
1. 남겨진 사람들 224
2. 남은 이의 홀로서기 226
3. 떠나가는 사람의 증상에 따른 준비 226
4. 떠나가는 사람의 정서적 반응 228
5. 영원한 이별여행 230
제13장 식물인간과 여러 가지 죽음 238
1. 식물인간 238
2. 뇌 사 239
3. 안락사 242
4. 존엄사 244
5. 자 살 246
6. 죽음과 도덕성 247
제14장 여러 나라의 죽음 이야기 250
1. 한국 사회에서의 죽음 251
2. 서구 사회에서의 죽음 252
3. 중동 사회에서의 죽음 253
4. 그 외 여러 장례문화 254
제15장 장례 이야기 262
1. 장례의 이해와 장례식장 의례 262
2. 장례식장 절차 265
3. 화장예약 271
4. 빈 소 272
5. 장례용품 276
6. 시신 유골 운구 279
7. 종교별 의례 281
8. 장사시설 283
9. 발인 준비 284
10. 발인 의례 285
부 록 292
1. 아름다운 삶(Well-dying) 프로그램 사례 292
2. 체험관 295
▪참고문헌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