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유아사회교육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삶을 살아감에 있어 개인의 사회성 발달은 그 자체로서 행복지수를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그 사회가 원하는 그리고 요구하는 구성원으로 성장해 나가는 사회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진다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해 나가며 성장하게 될 것이다.
 사람은 출생과 동시에 운명적으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구조적 환경 속에서 태어난다. 가족의 일원으로, 지역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 한 국가의 일원으로 살아가며, 그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문화를 통해 사회를 배워가는 것이다. 영유아기 모든 발달에 있어 어린 시기의 교육적 환경과 사회문화적 환경의 강력한 영향력이 언급되고 있고, 이 시기에 습득된 기본 패턴들이 전 생애에 걸쳐 한 사람의 성격, 자아, 생활습관, 가치관, 실천력, 판단력, 문제해결능력 등에 기본이 되는 사실은 자명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유아사회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주제들은 영유아들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많은 지식과 지혜에 대한 기본적 이해에 관련된 것들로, 유아교육의 다양한 교과목들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기본이 되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책은 가능한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주제들을 담으려 노력하였으며, 어린 유아들의 생의 주기를 통해 그 시기에 반드시 기본 개념으로 알고 가야 할 필요성이 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덕목들의 중요성과 교육방안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1부에서는 유아사회교육의 필요성, 내용, 이론적 접근과 유아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을 다루었고, 제2부에서는 유아사회교육의 개념으로 유아 사회성 발달의 영역인 정성, 애착, 자아개념, 성역할, 친사회적 행동, 공격성, 도덕성을, 유아 사회과학지식 발달의 영역인 지리교육, 역사, 경제, 다문화교육, 환경교육, 민주시민교육을 서술하였다. 제3부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소개로,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사회관계 영역과 누리과정에서의 사회관계 영역을 소개하고 있으며, 제4부에서는 유아사회교육의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다룰 수 있는 다양한 유아사회교육 활동들을 주제별로 소개하였다.
 유아사회교육 교재를 마무리하다 보니 여전히 부족하고 아쉬운 점이 많음을 느끼나, 초판 이후 지속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거쳐 아쉬운 부분은 보완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함께 수고해 준 저자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좋은 출판을 위해 애쓰시는 공동체 가족 여러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0년 7월
민혜영·김영희·유은석·임경령

 

PART I 유아사회교육의 개념


CHAPTER 01유아사회교육의 필요성

1. 지 식 17
2. 사고과정 18
3. 기 술 18
4. 민주적 태도 및 가치관 형성 19


CHAPTER 02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1. 유아의 사회성 발달 22
   1) 영유아의 사회적 행동 발달 25
2. 유아의 사회과학지식 발달 32


CHAPTER 03 유아사회교육의 이론적 접근

1. 성숙주의 이론 38
   1) Stanley Hall 40
   2) Arnold Gesell 41
2. 정신분석 이론 42
   1) Sigmund Freud 43
3. 행동주의 이론 51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51
   2) Watson의 조건형성 52
   3)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53
   4) Bandura의 사회학습 55
4. 인지발달 이론 56
  1) Jean Piaget 57


CHAPTER 04 유아 사회성 발달의 제 요인

1. 가 족 68
   1) 가족구조 68
   2)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70
   3) 부모의 역할 71
   4) 형제자매 73
2. 또래집단 74
   1) 또래 간 상호작용 74
   2) 또래의 역할 75
3. 유아교육기관 76
   1) 유아학급의 사회적 밀도 76
   2) 유아교육 경험 77
   3)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77
   4) 교사의 역할 79
4. 대중매체 80
   1) TV 80
   2) 컴퓨터 81
   3) 도 서 81
5. 지역사회 81


PART II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CHAPTER 05 유아 사회성 발달의 영역

1. 정 서 86
   1) 정서의 정의 86
   2) 정서의 발달 88
   3)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94
   4) 정서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96
2. 애 착 98
   1) 애착의 정의 98
   2) 애착의 발달 100
   3)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05
   4) 애착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106
3. 자아개념 108
   1) 자아개념의 정의 108
   2) 자아개념의 발달 109
   3) 자아개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13
   4) 자아개념 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115
4. 성역할 119
   1) 성역할 개념의 정의 119
   2) 성역할 개념의 발달에 관한 이론적 관점 120
   3) 성역할 개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24
   4) 성역할 개념 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127
5. 친사회적 행동 129
   1) 친사회적 행동의 정의 129
   2)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이론 131
   3)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34
   4) 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137
6. 공격성 139
   1) 공격성의 정의 139
   2) 공격성의 발달 141
   3)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45
   4) 공격성 감소를 위한 교사의 역할 146
7. 도덕성 149
   1) 도덕성의 정의 149
   2) 도덕성의 발달 150
   3)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론적 관점 151
   4) 도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59
   5) 도덕성 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161


CHAPTER 06 유아 사회과학지식 발달의 영역

1. 지리교육 164
   1) 지리교육의 정의 164
   2) 지리교육의 필요성 165
   3) 지리교육의 내용 166
   4) 교수-학습 방법 167
   5) 유아 활동의 예시 168
2. 역 사 169
   1) 역사교육의 정의 169
   2) 역사교육의 필요성 170
   3) 역사교육의 내용 170
   4) 역사교육 내용 선정기준 172
   5) 역사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173
   6) 유아 활동의 예시 178
3. 경 제 179
   1) 경제 개념 및 방향 179
   2) 교육내용 180
   3) 방 법 183
4. 다문화교육 185
   1) 다문화교육의 개념 및 방향 185
   2) 교육내용 186
   3) 방 법 187
5. 환경교육 191
   1) 환경교육의 필요성 및 개념 191
   2) 교육내용 193
   3) 교수-학습 방법 198
6. 민주시민교육 202
   1) 민주시민교육의 정의 202
   2)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203
   3) 민주시민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205

 
PART III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유아사회교육


CHAPTER 07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사회관계’ 영역

1. 성 격 212
2. 목 표 213
   1) 0~1세 보육과정 213
   2) 2세 보육과정 213
3. 내 용 214
   1) 0~1세 보육과정 214
   2) 2세 보육과정 215


CHAPTER 08 누리과정에서의 ‘사회관계’ 영역

1.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218
   1) 개정의 취지 218
   2) 성 격 220
   3) 추구하는 인간상 221
   4) 목적과 목표 221
   5) 구성의 중점 223
2. 누리과정의 운영 226
   1) 편성·운영 226
   2) 교수·학습 232
   3) 평 가 239
3. 사회관계 242
   1) 목표 242
   2) 내용 243

 

PART IV 유아사회교육의 실제


CHAPTER 09 유아사회교육의 실제

1. 나를 알고 존중하기 248
   1) 나는 할 수 있어요 249
   2) 블록으로 키재기 251
   3) 나의 어릴 적 모습 252
   4) 배꼽 구멍 253
   5) 노래극 발표 256
   6) 스스로 옷을 입어요 258
   7) 내 물건 정리하기 259
   8) 얼굴사진을 이용한 콜라주 260
   9) 표정으로 말해요 262
   10) 내가 꾸민 얼굴 264
   11) 풀 그림 그리기 265
   12) 소피가 화나면 정말 화나면 266
2. 더불어 생활하기 268
   1) 내가 아빠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아세요? 268
   2) 어느 날 270
   3) 가족 놀이하기 271
   4) 집에서 하는 일을 표현해 봐요 273
   5) 어버이날 감사 선물 만들기 275
   6) 참 고운 말 276
   7) 우리 집 안을 꾸며요 277
   8) 이모의 결혼식 279
   9) 우리 유치원 282
   10) 화장실 사용하기 283
   11) 꼬마 선생님 285
   12) 공 옮기기 286
3. 사회에 관심 가지기 288
   1) 우리 동네 288
   2) 케이크 만들기 290
   3) 우리 동네 꽃이 피었습니다 292
   4) 동물병원 294
   5) 나도 패션디자이너 296
   6) 알뜰시장 298
   7) 황토물 들이기 300
   8) 칠교놀이 302


참고문헌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