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유아교육기관을 운영하는 것은 단위 학교를 운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매우 복잡하고 어렵지만 가치 있는 일이다. 영유아교육은 생애 초기에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가장 효과적인 투자인 동시에 가장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기본적으로 제공받아야 할 권리이다. 국가에서는 미래사회의 주역인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에 많은 관심과 정책적 지원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누리과정과 유아학비 지원으로 구체화되었다.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출생 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는 것은 매우 보편적인 양육 방식이 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을 운영하는 것은 더 이상 운영자 개인의 일이 아니며, 교사, 학부모, 운영자, 국가와 국민 모두의 책무가 되었다.
이 책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예비유아교사와 원장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운영관리 기초이론과 운영영역별 이론 및 실제를 다루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원장이나 원감이 운영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한다고 해서 교사의 중요도가 낮은 것은 아니다. 하나의 유아교육기관이 바람직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이 운영 목적과 목표, 실천 방향을 공유하고 협력하며 자신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해야만 한다. 저경력 교사라 하더라도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의 분장된 업무 영역들이 상호 연관성을 지니며 운영관리의 질이 교육의 질로 직결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교육뿐 아니라 건강, 영양, 안전 등의 돌봄과 관련된 기능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담임교사가 자신의 학급 수업만 성실하게 하는 것으로 책무를 다했다고 보기 어렵다.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과제는 공공성과 자율성의 조화, 저출산 사회에서의 원아모집, 영유아 및 학부모의 요구 수용,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과 융합, 영아보육의 보편화로 인한 전 연령 프로그램의 균형과 연계성, 종일반의 프로그램의 양질화, 교직원 교육과 관리 등 다양하다. 한 학기 학습으로 운영관리에 필요한 것을 모두 다루기는 어려우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곧 근무하게 될 예비교사에 초점을 두고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특성을 이해하고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집필하고자 노력하였다.
CHAPTER 01 운영관리의 기초 7
1. 운영관리의 필요성 및 개념 8
2. 운영관리의 이론 11
3. 기관 유형별 운영관리 20
CHAPTER 02 물리적 환경관리 27
1. 시설⋅설비의 계획과 운영 28
2. 비품 및 교재⋅교구 48
CHAPTER 03 원아모집과 입학준비 63
1. 원아모집 64
2. 입학준비 71
CHAPTER 04 교직원 관리 85
1. 교직원의 자격과 임용 86
2. 교직원의 구성과 역할 95
3. 교직원의 리더십과 인간관계 115
CHAPTER 05 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 131
1. 영유아교육과정의 이해 132
2. 영유아교육과정의 구성 134
3. 영유아교육과정의 계획 및 운영 136
4. 교육과정 운영 계획 148
5. 영아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시 고려할 점 162
6. 유아를 위한 놀이 주제 선정 시 고려할 점 164
CHAPTER 06 학급 관리 169
1. 학급 편성과 교사 배치 170
2. 담임교사의 역할 174
CHAPTER 07 건강⋅급식⋅안전 관리 209
1. 건강관리 210
2. 급식관리 240
3. 안전관리 247
CHAPTER 08 체험학습 및 행사 관리 271
1. 체험학습⋅행사의 목적 272
2. 체험학습⋅행사의 운영 방법 273
3. 체험학습⋅행사의 유형 290
CHAPTER 09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309
1. 가정과의 협력 311
2. 지역사회와의 협력 320
CHAPTER 10 재정 및 사무 관리325
1. 재정관리329
2. 사무관리349
CHAPTER 11 평가 관리365
1. 평가의 목적366
2. 대상에 따른 평가368
3. 기관평가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