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스마트 시대의 

원격 평생교육방법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혁명으로 교육방법이 획기적인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하는 평생교육 영역은 더욱 그 변화를 받아들여야만 하는 시대적 과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Z세대의 등장으로 인해 교실에서의 전통적 수업실천방식에 익숙해 있던 교수자들은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Zimmerman(2018)에 따르면 Z세대들은 1996년부터 2010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로서, 어린 날부터 삶의 대부분을 스마트폰과 함께 해온 첫 번째 세대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전통적 교육을 행하던 그들의 부모와 교사 세대와는 완전히 달라 공부, 일부터 시작하여 오락과 의사소통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일상 활동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이러한 기기들의 발달과 더불어 성장한 세대들이다. 이제 Z세대들이 바꾸어 놓은 교실혁명에 맞는 새로운 평생교육방법론을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처해있다. 따라서 이 책은 지난 10년간의 평생교육방법론의 강의에서 필자가 절실히 느끼고 고민하였던 것에 기반하여 집필되었다. 이에 본서는 전통적 교육방법에 토대를 두되 웹 기반 수업, 이러닝, 모바일, 스마트 러닝 등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휴타고지 학습을 더욱 강조하는 측면이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평생교육의 대상과 영역은 실로 방대하기에 평생교육방법의 적용대상이 오직 성인학습자에 국한 된다고 보는 시각은 매우 소극적이고 제한된 생각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다양한 평생교육현장에서 청소년 및 성인학습자를 지도해야 하는 평생교육사를 비롯하여 교육방법을 처음 접해보는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평생교육방법의 기초로서 교수학습 원리, 교육과정 설계, 교육방법의 역사, 교육방법의 기초를 다루고 있다. 제2부는 평생교육의 종류와 활용으로서 각각 교수자 및 집단 중심 평생교육방법과 협동⋅체험 중심 평생교육방법을 다루고 있다. 교수자 중심 교육 방법은 강의법과 문답법 내용이고 집단중심 교육방법은 토의법과 사례연구법
이다. 협동학습 중심 교육방법은 문제해결법, 프로젝트법을 다루었으며 체험학습 중심 교육방법은 역할연기법, 실습, 게임법을 다루었다. 직무현장 중심의 평생교육방법은 OJT와 코칭을 다루었다. 제3부는 원격교육과 평생교육방법으로서 이러닝,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의 스마트 러닝, SNS를 활용한 평생교육방법, 인공지능 시대의 평생교육방법을 다루고 있다. 각각의 교육방법에서 교실수업에서의 교육방법뿐만 아니라 온라인 기반에서의 교육방법을 최신 자료에 의거하여 소개하고 있는 것이 이 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모든 분야가 그러하지만 평생교육방법 분야는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이 책이 출판되는 순간에 진일보된 방법이 나와 이 책은 진부한 내용이 될지도 모른다. 책을 탈고하는 시점이 되다 보니 이러한 두려움과 좀 더 심혈을 기울여 집필할 걸 하는 아쉬운 마음이 들기도 한다. 여러 가지로 부족하고 미진한 부분은 다음 기회에 업그레이드해야 할 과제로 남기고 평생교육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에게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자리를 빌어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에 열심인 예비평생교육사들, 출판을 흔쾌히 허락해 주시고 격려해 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20년 9월
권양이

 

제1부 평생교육방법의 기초


제1장 평생교육 교수-학습의 이론적 기초 15

제1절 교수-학습의 원리 17
   1. 학습이론 17
   2. 학습동기 36
제2절 성인학습이론 37
   1. 성인학습이론 37
   2. 성인학습참여 동기 43


제2장 평생교육과정의 설계 45

제1절 교수설계 47
   1. 교수설계의 역사 47
   2. 교수설계의 개념 48
제2절 교수체제설계모형 49
   1. 대표적 교수체제설계모형 49
   2. 교수설계의 요소 54
   3. 기타 교수설계모형 56


제3장 평생교육방법의 역사 65

제1절 평생교육방법의 역사 67
   1. 원시시대 67
   2. 고대⋅중세시대 68
   3. 산업화시대 68
   4. 현대시대 69


제4장 평생교육방법의 기초 75

제1절 평생교육의 개념 77
   1. 평생교육의 정의 77
   2. 평생교육의 이념과 원리 80
   3. 평생교육의 유사개념 81
   4. 평생교육의 등장 및 필요성 83
   5. 평생학습의 동향 85
   6. 평생교육법 제정 및 관련 법 86
제2절 평생교육의 영역 89
   1. 가정교육과 평생교육 89
   2.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89
   3. 일터교육과 평생교육 90
   4. 지역사회교육과 평생교육 90
   5. 원격교육과 평생교육 91
제3절 평생교육의 내용92
   1. 문해교육 92
   2. 인문교양교육 93
   3. 시민사회교육 94
   4. 인적자원개발형의 교육 97
   5. 여가 및 취미생활 교육 98
제4절 평생교육방법 99
   1. 평생교육방법의 선정기준 99
   2. 평생교육방법 선정의 경험적 원칙 101


제2부 평생교육방법의 종류와 활용


제5장 교수자 중심의 평생교육방법 107

제1절 강의법 109
   1. 강의법  109
   2. 강의법 수업 진행기법  110
   3. 강의법의 장⋅단점  113
제2절 문답법 115
   1. 문답법  115
   2. 문답법의 유형  115
   3. 문답법 수업 진행기법  116
   4. 문답법의 장⋅단점  117


제6장 집단 중심의 평생교육방법 119

제1절 토의법 121
   1. 토의법  121
   2. 토의법의 유형  122
   3. 토의의 오해  126
   4. 토의의 자세  126
   5. 토의법의 장⋅단점  126
제2절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토론법 127
   1. 온라인 토론의 유형  129
   2. 온라인 토론의 에티켓  130
   3. 온라인 토론의 절차  132
   4. 온라인 토론의 장⋅단점  133
제3절 사례연구법 134
   1. 사례연구법 134
   2. 사례연구법의 유형 136
   3. 사례연구수업 기법 138
   4. 사례연구수업 과정 140
   5. 사례연구법 수업의 학습평가 141
   6. 온라인 사례연구법 143
   7. 사례연구법의 장⋅단점 145


제7장 협동학습 중심의 평생교육방법 147

제1절 문제해결법 149
   1. 문제해결법 149
   2. 문제의 유형 151
   3. 문제해결 기법 155
   4. 문제해결 과정 156
   5. 온라인 문제해결법 157
   6. 문제해결법의 장⋅단점 163
제2절 프로젝트법 164
   1. 프로젝트법 164
   2. 프로젝트의 유형 165
   3. 프로젝트 계획의 수립 166
   4. 프로젝트 수업의 과정 167
   5. 온라인 프로젝트법 168
   6. 프로젝트법의 장⋅단점 171


제8장 체험학습 중심의 평생교육방법 173

제1절 역할연기법 175
   1. 역할연기법 175
   2. 역할연기법의 유형 180
   3. 온라인 역할연기법 181
   4. 역할연기법의 장⋅단점 188
제2절 실습 189
   1. 실습 189
   2. 실습의 유형 190
   3. 실습과정 190
   4. 온라인 실습 192
   5. 실습의 장⋅단점 192
제3절 게임법 193
   1. 게임법 193
   2. 게임의 유형 194
   3. 게임법의 교수설계 195
   4. 온라인 게임법 197
   5. 게임법의 장⋅단점 199


제9장 직무현장 중심의 평생교육방법 201

제1절 OJT 203
   1. OJT _ 203
   2. OJT의 유형 204
   3. OJT의 기대효과 206
   4. OJT의 과정 207
   5. OJT의 장⋅단점 208
제2절 코칭 209
   1. 코칭 209
   2. 코칭의 유형 211
   3. 코칭의 목적과 필요성  215
   4. 코칭의 스킬  216
   5. 코칭의 장⋅단점  217


제3부 원격교육과 평생교육방법


제10장 이러닝 221

제1절 이러닝 223
   1. 이러닝  223
   2. 이러닝의 유형  224
   3. 이러닝의 교수설계와 개발과정  227
   4. 이러닝의 강의 유형  231
   5. 강의 제작 시 유의사항  239
   6. 이러닝 수업과정  240
   7. 이러닝의 평생학습 가능성  247
   8. 이러닝의 장⋅단점  252
제2절 블렌디드 러닝 253
   1. 블렌디드 러닝  253
   2. 블렌디드 러닝의 유형  253
   3. 블렌디드 러닝의 개발과정  254
   4. 블렌디드 러닝의 장⋅단점  256


제11장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의 스마트 러닝 257

제1절 유비쿼터스 러닝 259
   1. 유비쿼터스 러닝 _ 259
   2. 유비쿼터스 러닝의 교육적 활용  262
   3. 유비쿼터스 러닝의 장⋅단점  266
제2절 모바일 러닝 266
   1. 모바일 러닝 _ 266
   2. 모바일 러닝의 교육적 활용  271
   3. 모바일 러닝의 장⋅단점  274
제3절 스마트 러닝 275
   1. 스마트 러닝  275
   2. 스마트 러닝의 교육적 활용  278
   3. 스마트 러닝의 장⋅단점  281


제12장 SNS를 활용한 평생교육방법 283

제1절 블로그 285
   1. 블로그  285
   2. 블로그의 교육적 활용  286
   3. 블로그의 장⋅단점  289
제2절 트위터 289
   1. 트위터  289
   2. 트위터의 교육적 활용  290
   3. 실습해 보기 _ 294
   4. 트위터의 장⋅단점  294
제3절 페이스북 294
   1. 페이스북  294
   2. 페이스북의 교육적 활용  295
   3. 실습해 보기  300
   4. 페이스북의 장⋅단점 _ 301
제4절 기타 Google 플랫폼 활용 301
   1. Google Docs  301
   2. Google Docs의 교육적 활용  302
   3. 실습해 보기  305
   4. Google Docs의 장⋅단점  305

 


제13장 인공지능 시대의 평생교육방법 307

제1절 인공지능 시대의 평생교육방법 309
   1. 인공지능 309
   2.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312
   3. 인공지능의 장⋅단점 315


참고문헌 317
찾아보기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