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동권리와 복지 [제2판]


  • 구매하기
  • 장바구니
 

 개정판을 내게 되어 기쁜 마음 가득합니다. 또한 초고 이후에 아동의 인권에 관한 사회적, 문화적, 학문적 발전이 진전되어 감에 더욱 뿌듯한 마음입니다. 인권이란 모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권리입니다. 이는 태어나고 성장한 나라가 다르고 문화적 환경과 경제적 배경에 의해 다소간의 현상이 다를지라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또한 가져야만 하는 당연한 권리일 것입니다. 아동의 경우에도 한 인간으로서 출생과 함께 자신이 가지고 있는 권리를 누리고 권리의 주체로서 살아야 하는 당위성이 존재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1991년 이후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의 회원국이 되어 아동의 권리상황을 항상 점검해야 할 의무를 지닌 국가가 되었으며, 국가인권위원회에서는 인권 친화적인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인권교육을 공식적으로 천명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동은 성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라보는 시대와 사상에 따라 무가치하거나 소홀하게 생각되었던 경우가 있었습니다. 최근에 이르러서도 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 사건과 가정에서의 자녀에 대한 폭행 및 사망 사건이 줄지어 발생하고 있어, 아동의 인권보장을 위한 법적ㆍ제도적ㆍ사회적 관심과 노력은 더욱 가속화되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 책은 아동권리와 복지를 이해하고 실천하려는 예비교사들과 일반인들에게 유용한 지침서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한 학기의 강의계획에 맞추어 진행할 수 있도록 총 4부, 13장으로 목차를 구성하였습니다. 1부에서는 인간권리와 아동권리의 개념을 살펴보고 권리를 실행하기 위한 목표와 목적으로서 안전과 행복의 개념을 다루었습니다. 목적으로서의 행복에서는 아동의 행복과 놀 권리에 대한 내용을 첨가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아동권리 실천의 토대로서, 아동복지의 개념과 우리나라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를 고찰하였습니다. 3부에서는 아동복지를 실천하기 위하여 보육ㆍ장애아동ㆍ다양한 형태의 가정ㆍ빈곤ㆍ학대의 문제를 다루었으며, 4부에서는 국제기준에 비추어 국내 아동권리 수준을 탐색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각장마다 학습의 목표와 토론 문제들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정확하게 탐색하고 탐색한 바를 충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였습니다.
 이 책은 부족한 시간의 한계에도 열정을 다한 공저자들의 노력과 공동체의 인내가 만들어 낸 열매입니다. 도서출판 공동체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부족한 부분에 대한 독자들의 기탄없는 충고를 부탁드리며,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끝으로 이 땅의 모든 아동들이 존중받는 경험을 하는 데 이 책이 씨앗으로 사용되길 희망하며,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신 능력의 하나님께 모든 영광을 돌립니다.

2020. 8.
저자 일동

 

PART 01 아동권리의 출발


Chapter 1 인간의 권리와 생명존중교육 13

1. 인간과 아동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 14
2. 인권과 생명존중교육 16


Chapter 2 아동권리의 개념과 유엔 아동권리협약 27

1. 아동권리의 개념과 배경 28
2.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기본 원칙과 내용 31
3. 아동의 4대 기본권과 내용 34


Chapter 3 목표로서의 안전 45

1. 아동 안전의 기초 46
2. 아동의 발달 특성과 안전을 위한 교사의 역할 49
3. 학교안전교육 57


Chapter 4 목적으로서의 행복과 아동의 놀 권리 71

1. 행복의 개념 72
2. 행복의 심리학적 이론 76
3. 아동의 행복과 놀 권리 84
4. 기타 행복 관련 변인 87


PART 02 아동권리 실천의 토대


Chapter 5 아동복지의 이해 및 실천 방법 97

1. 아동의 이해 98
2. 아동복지의 개념 104
3. 아동복지의 필요성 107
4. 아동복지의 실천 방법 110


Chapter 6 우리나라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119

1.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120
2. 아동복지서비스의 이행 122
3. 아동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 147


PART 03 아동복지의 실천


Chapter 7 보육서비스 151

1. 보육서비스에 대한 이해 152
2. 보육사업의 유형 153
3. 보육사업의 현황 및 과제 156
4. 보육교사의 자격기준 및 자격증 164
5.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 181


Chapter 8 장애아동을 위한 서비스 189

1. 장애아동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이해 190
2. 장애아동의 유형 및 특성 193
3.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 205
4. 장애아동의 현황 및 실태 211
5. 장애아동을 위한 교사의 역할 215


Chapter 9 다양한 가정의 아동을 위한 서비스 221

1. 한부모가정 222
2. 재혼가정 228
3. 국제결혼가정 232
4. 북한이탈주민가정 243
5. 조손가정 249


Chapter 10 빈곤가정의 아동을 위한 서비스 255

1. 빈곤과 아동발달 256
2. 빈곤아동을 위한 복지사업의 내용 266
3. 빈곤아동 복지정책의 개선과제 281


Chapter 11 학대받는 아동을 위한 서비스 285

1. 아동학대의 이해 286
2. 아동학대 현황 295
3. 학대아동을 위한 복지사업의 내용 303
4. 학대아동을 위한 복지정책의 개선과제 309


Chapter 12 가정이 필요한 아동을 위한 서비스 313

1. 입 양 314
2. 가정위탁보호 327
3. 시설보호 341


PART 04 우리의 과제와 발전방안


Chapter 13 우리의 과제와 발전방안 357

1. 국제기준에 비추어 본 대한민국 아동권리 수준 358
2. 아동권리의 발전방안 366


■ 참고문헌 374
■ 찾아보기 383